제주대학교 Repository

내용 영역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아의 성취 수준 및 오류 유형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ccording to Content Area and Problem Type, Achievement Level and Analysis of Error Type on Mathematics Underachieversin High School
Abstract
본 연구는 수학 학습 부진아를 대상으로 수학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수학 내용 영역별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파악하여 영역별 정답률 분포, 성적 분포별 특징, 내용 영역별 주요 오류 등을 연구하여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 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고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아의 문제 영역별 성취 수준은 어떠한가?
나. 고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아의 문제 영역별 오류 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33명의 수학 학습 부진아와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내용 영역별 정답률 평균은 수와 연산이 36.29%, 문자와 식 24.19%로 내용 영역 중 가장 낮았으며 확률과 통계는 49.6%으로 정답률 평균이 가장 높은 영역이다. 함수는 38.71%, 기하는 35.48%의 정답률을 나왔다.
수학 학습 부진아들의 부진의 원인을 이해의 문제, 기술의 문제, 정의적인 영역의 문제 세가지로 나누었다.
수와 연산 영역에서는 부진의 원인이 이해의 문제 15번, 기술의 문제 10번, 정의적인 영역의 문제7번이 나왔다. 문자와 식 영역에서는 부진의 원인이 이해의 문제 19번, 기술의 문제 4번, 정의적인 영역의 문제 6번이 나왔다.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는 부진의 원인이 이해의 문제 7번, 기술의 문제 0번, 정의적인 영역의 문제 8번이 나왔다. 함수 영역에서는 부진의 원인이 이해의 문제 8번, 기술의 문제 2번, 정의적인 영역의 문제 12번이 나왔다. 기하 영역에서는 부진의 원인이 이해의 문제 10번, 기술의 문제 0번, 정의적인 영역의 문제 9번이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을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수학 학습 부진아 기준을 정립하는데 수학시험 총점수가 낮은 학생으로 단정 짓는 것이 아닌 영역별 학생들의 점수 분포를 고려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수학 학습 부진아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에서 학생의 영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학 학습 부진아 맞춤형 지도 가이드 라인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 전문가를 양성하면 부진아 학생들의 꾸준한 사후 관리를 할 수 있고 발생 빈도가 높은 오개념을 짚어 줄 수 있는 등 의 이점이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performing mathematics test for mathematics under achievers check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in each mathematics contents section, with analyzing distribution of each area answers rate, error on each content area for helping the teaching plan of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question are set up.
First, What about the achievement level each problem –area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high school student?
Second, What about the type error according to each problem – area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high school student?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have gained after having face to face talk with 33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mathematics underachievers.


Look at the average rate of each content area: the average rate of Numbers and operation is 36.29%, Letters and operations is 24.19% This 2 areas are the lowest in content area.
The average rate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s 49.6%, the highest ansewer rate average. Function is 38.71%, Geometry is 35.48%.
The cause of mathematics low achievement are divided into 3 types: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echnique, the problems of definition.


In area of Numbers and operations, the cause of low achievement are 15 times i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10 times in the problem of technique, 7 times in the problem of definition.
In area of Letters and operations, the cause of low achievement 19 times i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4 times in the problem of technique, 6 times in the problem of definition.
In area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e cause of low achievement are 7 times i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no time in the problem of technique, 8 times in the problem of definition.
In area of Function, the cause of low achievement are 8 times i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2 times in the problem of technique, 12 times in the problem of definition.
In area of Geometry, the cause of low achievement are 10 times i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no time in the problem of technique, 9 times in the problem of definition.


I will suggest considering the requirement for the upcoming study base on the survey results.

First, we need the study associated mathematics underachievers that not determining students who have the low total score but select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core in each area for establishing the definition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Second, we need to develop the customized guideline for mathematics underachievers considering students' areal quality in instructing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Third, we need to train the expert on instructing mathematics underachievers. The expert will take care of the underachievers steadily and help the underachievers solving false concept of the high frequency of tricky problems in mathematics. This will contribute greatly for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Author(s)
권주희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13
Alternative Author(s)
Kwon, Ju Hee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학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2
3. 용어의 정의 3
4. 연구의 제한점 3

∐. 이론적 배경 5
1.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5
가. 수학과 평가 영역 5
2. 수학 학습 부진아 7
가. 수학 학습 부진아의 정의 7
나. 수학 학습 부진아의 원인 8
다. 수학 학습 부진아의 유형 10
3. 선행 연구 고찰 14

Ⅲ. 연구 방법 17
1. 연구 절차 17
2. 연구 대상 19
3. 분석 방법 19

Ⅳ. 연구 결과 20
1. 내용 영역별 결과 20
가. 수와 연산 21
나. 문자와 식 34
다. 확률과 통계 48
라. 함수 54
마. 기하 63

Ⅴ. 결론 및 제언 78
1. 결론 78
2. 제언 82

참고 문헌 82
Abstract 84
부록 8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권주희. (2015). 내용 영역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아의 성취 수준 및 오류 유형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