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개인의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 on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Donation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에 있어 지역사회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문화를 대변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을 활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개인의 기부가 기부의도 및 기부동기 등 개인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 참여와 같은 유무형 자본이나 개인의 문화적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출발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기부를 단순한 자선과 소극적 대인 서비스 차원으로 인식하여 개인적 요인, 동기적 요인에 초점을 둔 변수를 설정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기부지속성 측정지표를 사회관계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으로 세분하여 구성하였고,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는 Putnam의 사회적 자본지수와 Esser의 사회적 자본 구조도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신뢰, 사회규범, 사회참여, 네트워크로 세분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문화성향은 Singelis와 Triandis(1995)가 개발하고, 김기범(1996)이 표준화한 4가지 문화성향(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수평적 집단주의)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타지역에 비해 개인 기부자 비율이 월등히 높을 뿐만 아니라 행정구역상 단일 행정구역으로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독특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로 한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기부경험이 있는 일반도민으로서 총 550부의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이 중 미회수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530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유교일수록, 월평균가구 총 소득이 높을수록, 정기적으로 기부할수록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 거주지, 직업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월평균 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기부횟수,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 기부지속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기부금액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서, 제주지역은 과거부터 상부상조와 수눌음 등 자신이 경제적으로 부유하지 않더라도 이웃을 돕고자 하는 실천적 나눔에 대한 전통이 남아있어 고소득가구와 저소득가구의 기부금액 혹은 기부욕구가 차이가 없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의 요인 중 신뢰와 사회참여는 기부지속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규범은 기부지속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규범의 척도는 지역사회주민의 규범준수 여부, 지역사회 내 출신지역에 따른 차별 여부, 지역 내 의사존중과 반영여부,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청렴정도 인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기부가 사회규범 수준이 높고, 사회적 계층이 높은 사람들만 하는 어려운 행위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인 행위로 인식이 확대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는 유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문화성향 요인 중 수직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개인주의는 기부지속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집단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이타심이 발현가능성이 높으며, 기부행동이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타적 나눔이라고 할 때, 집단주의 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높게 나타난 연구들(김선우․김난도, 2010; 홍승범・박혜경, 2013)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일면 제주지역만의 독특한 문화성향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다른 일면으로는 문화성향과 기부지속성을 설명하는 제3의 다른 요인에 의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인지를 보다 엄밀히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을 동시에 투입하여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만 투입했을 때보다 기부지속성에 대한 설명력을 2.5%-4.2%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기부지속의향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즉 문화성향은 기부지속성을 설명하는 유용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 관점과 문화성향 관점에서 기부지속성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선행연구에서는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자본의 다양한 구성요인과 문화성향을 검증한 연구들이 부족하고, 기부자의 인구사회적 요인, 기부기관의 신뢰도 등의 변인을 사용하여 측정한 연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관련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과거 이타성과 이기성이라는 인간의 이원적 본성 즉 개인적 요인 중심의 연구를 넘어서 사회관계적 측면, 문화적 측면에 주목함으로서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으로 지평을 확장하여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하여 신뢰와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수직적 개인주의 및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을수록 기부지속성이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자본의 하위 구성요인들과 개인의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을 실천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특히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을 설명하는 유용한 변수임이 확인됨에 따라 기부를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문화적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s on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donations utilizing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 that can represent local society's unique life style and its cultur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ndividual donations can be influenced by not only individual factors such as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motives but also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cluding local society's trust, norms and participation or cultural inclination.
Preceding researches have understood donations as simple charity or passive service to other people, so they have set variables mainly focused on individual factors and motivation factors. Therefore, to approach the measurement indicators of donation continuity from social relations' point of view, this study subdivided indicators as frequency of donations, amount of donations, intention of donations continuity, intention of donations recommendation. And based on Putnam's social capital index and Esser's social capital structure chart, this study subdivided measurement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as trust, social norms, social participation and network, which have showed in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In terms of cultural inclination, this study utilized four cultural inclination factors(vertical individualism, horizontal individualism, vertical collectivism, horizontal collectivism) developed by Singelis and Triandis(1995) and standardized by Kim Gi-beom(1996).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o that this study can secure higher reliability of measurement with its comparatively high rate of individual donations and formation of a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 local characteristic as an island which has its own unique social network.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general residents over 18 living in Jeju who have donated before. I distributed 550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530 data except unanswered and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are higher, and one has Confucian belief and donates regularly, the higher their continuity of donation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ex, residential district, jobs. Meanwhile, the more monthly average income is higher, the higher the frequency of donations, continuity of donations, intention of donations continuity, intention of donations recommendation. However, the amount of donations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is come out by reflec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Jeju has long had mutual aid tradition called suneulem so Jeju people try to help their neighbors in need even though they are not wealthy enough.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at Jeju's mutual aid characteristic influenced the fac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donations and intention of donations between the highly income household and low income household.
Second, among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ontinuity of donations. Namely,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trust level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 are high, the higher the frequency of donations, amount of donations, intention of donations continuity, intention of donations recommendation and donations continuity. Meanwhile, social norms do not influence the donations continuity. The index of social norms of this study consists of norm observance by local residents, discrimination depending on the region of origin in local society, respect and reflection of opinion in local society, recognition of integrity degree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It is a useful result in understanding the fact that, in modern society, donations are not difficult act to be done only by those who has high social norms and social status, but a general act done by everybody.
Third, among cultural inclination factors,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have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the donations continuity. This fact does not fit preceding research results (Kim Seon-woo ․ Kim Nan-do, 2010; Hong Seong-beom・Park Hye-kyeong, 2013) that the more the collectivism tendency is strong, the higher the chance of expression of altruism. And if donations are altruistic sharing to social value, collectivism tendency highly influences on the continuity of don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 is caused by Jeju's own unique cultural inclination, but this may be the point that needs further investigation whether there is another factor that can explain cultural inclination and the donations continuity.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zing result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 on donations continuity, those two factors boost explanation power of donations continuity 2.5%-4.2% than analyzing only with social capital. Especially, they increase the explanation power of donations continuity the highest. It confirms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a useful variable in explaining donations continuity.
Based on those positi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strategies encouraging donations continuity with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s points of view.
First, as preceding researches lack social capital's various organizing factors and cultural inclination as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continuity and most of the researches only used donor'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redibility of donating organization as variables, this result can offer a new perspective to related researchers.
Second, as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this study took note of social relations and cultural aspects beyond the preceding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individual factors that premise dualistic human nature of altruism and selfishness. Ther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erms of expanding variables even to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ird, through this research, it verified that the more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rate,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are high, the higher the donations continu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social capital's sub-components and cultural inclination a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continuity. Especially, as it is confirmed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a useful variable in explaining donations continuity, individual cultural inclin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courage donations continuously.
Author(s)
서영숙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58
Alternative Author(s)
Seo, Young Suk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1
제1절 연구 목적1
1. 연구 필요성1
2. 연구 목적4
제2절 연구방법 6
1. 연구 범위 6
2. 연구 방법 및 과정 6

Ⅱ. 이론적 배경 8
제1절.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이론적 논의 8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8
2.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14
제2절 문화성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 21
1. 문화성향의 개념 21
2. 문화성향의 구성요소 25
제3절 기부지속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29
1. 기부의 개념 및 현황 29
2. 기부지속성의 구성요소 35
제4절 선행연구 검토 40
1. 사회적 자본 관련 선행연구 40
2. 문화성향 관련 선행연구 43
3. 기부지속성 관련 선행연구 45

Ⅲ. 연구설계 47
제1절 연구 모형 및 연구문제 47
1. 연구모형 설정 47
2. 연구문제 48
제2절 측정도구 49
1. 사회적 자본 측정도구 49
2. 문화성향 측정도구 51
3. 기부지속성 측정도구 54
4. 분석에 사용한 변수의 구성 56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59
1. 자료수집 59
2. 분석방법 60

Ⅳ. 분석결과 61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1
제2절 기부지속성에 대한 인식 63
1.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량 63
2. 응답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기부지속성 인식 차이 64
제3절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68
1.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횟수에 미치는 영향 71
2.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금액에 미치는 영향 73
3.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75
4.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77
5.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79

Ⅴ. 결론 82
제1절 연구결과 요약 82
제2절 기부지속성 실천전략 86
1. 사회적 자본 중심의 기부지속성 실천전략 86
2. 문화성향 중심의 기부지속성 실천전략 91
제3절 연구의 한계 98

[참고문헌] 100
ABSTRACT 113
부록: 설문지 117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서영숙. (2015).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개인의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