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addiction and dietary habits of junior high students in the Jeju Islan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분석을 연구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성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자기통제력, 식습관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중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 과제완수, 자기
중심성, 화내는 기질이 스마트폰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45개 중학교의 2학년 학생 7376명 중 제주시 7개 학교의 2학년 학생 429명과 서귀포시 3개 학교의 2학년 학생 128 명, 총 10개 중학교 2학년 557명을 제주도 동, 서, 남, 북 전 지역이 골고루 표집 되도록 할당 표집 하여 2015년 4월 30일 ~ 2015년 5월 7일까지 5일간(휴일 제외)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첫째, 식습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홍희(2009)의 설문지를 이나나(2014)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국정보화 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자기통제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Gottfredson과 Hirschi(1990), Grasmick 등(1993)과 정혜승(1995)의 척도를 참고하여 박혜연(2004)이 우리 실정에 맞게 4개의 하위요인 총 28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제작한 자기통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t-검증, 교차분석, Pearson상관 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력, 식습관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은 식습관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 중독과 부적 상관을, 식습관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 과제완수, 자기중심성이 스마트폰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화내는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부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자기통제력이 부분 매개하여 식습관을 향상시키는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띠라 본 연구 결과가,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 향상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대상자들이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in regards to association between smart phone-addiction and dietary habits in junior high students in the Jeju Island. Major research questions in the study were as follow:

Study question 1. Is smart phone-addiction related with sex in junior high students?
Study question 2. Is smart phone-addiction significantly related with self control and dietary habits?
Study question 3.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elf control (and their sub factors, impulsivity, task accomplishment, egocentrism, and angry temperament) in regards to association between smart phone-addiction and dietary habits?

In order to address above research questions, we recruited a total of 557 sophomore students of junior high schools in the Jeju Island during five days (April 30th 2015 through May 7th 2015, except for holiday) through the quota sampling method which allows evenly enrolling subjects over east, west, north and south areas of the island; of all sophomore students (i.e., 7,378 students of 45 junior high schools in the Jeju Island), 429 students and 128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7 and 3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the Jeju city and Seogwipo city,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the questionnaire of the Nana Lee (2014),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the Honghui Kim (2009) was utilized to assess dietary habits of subjects. Secondly, the self-diagnosis scale for smart phone addiction, develop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used to evaluate the addiction of smart phone addiction.
Third, self-control was evaluated using the scales that were reconstructed into 28 questions with 4 sub factors for Koreans by Hyeyeon Par (2004) based on the scales of Gottfredson and Hirschi(1990), Grasmick et al. (1993), and Hyeseung Jung (1995).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cros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followed by the Sobel test via the SPSS 22.0.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study analyse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smart phone addiction between sexes. We found that female students tended to be more addicted to smart phone over male students.
Second, we also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elf control and dietary habits against smart phone addiction. Specifically, the smart phone addic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ietary habits. Although self contro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mart phone addiction,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etary habits.
Third,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self control as well as sub factors of self control (i.e., impulsivity, task accomplishment, and egocentrism) on associations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dietary habits. Another sub factor, angry temperament, however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gards to the mediating effects towards associ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dietary habits.

Taken altogether, we found that the smart phone addiction was negatively and directly impacting on dietary habits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self control in junior high students. Therefore, we anticipate that the study results herein may be utilized for development of programs which aid to form proper dietary habits of junior high students with smart phone addiction.
Author(s)
김영례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73
Alternative Author(s)
Kim, Yeong Rye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연구가설 5
4.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제주특별자치도 중학생 8
2. 스마트폰 중독 12
3. 자기통제력 17
4. 식습관 21
5 가설 및 연구모형 2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절차 26
3. 연구도구 26
4. 자료처리 및 분석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0
1.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중독수준 30
2. 측정 변인들의 기술통계 32
3. 스마트폰 중독수준, 자기통제력, 식습관의 상관관계 33
4.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 및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들의 매개효과 34

Ⅴ. 논의 및 결론 44

참고문헌 48

Abstract 65

부록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영례. (2015). 제주도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