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자기성찰이 점복에 대한 태도 및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Self-reflection on the Attitude toward Divin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 Especially in Jeju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민의 점복에 대한 태도와 상담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
보고, 자기성찰이 점복에 대한 태도 및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점복에 대한 태도와 상담에 대한 태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점복에 대한 태도 및 상담에 대한 태도에 대한 자기성찰의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 중인 20세 이상 성인
4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2월 2일부터 2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히 응답한 363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점복에 대한 태도 측정을 위해 박은경(2008)의 점복에 대한 태도 척도
(총 31문항, 4점 Likert)를, 상담에 대한 태도 측정을 위해 남숙경(2006)의 상담에 대한
태도 단축형 척도(총 10문항, 4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자기성찰의 측정을 위해서는 황주연(2011)의 자기성찰 척도(총 20문항, 5점 Likert)를 사용하였고 위 세 가지 기존 척도
외에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점복 및 상담에 대한 과거 경험 및 미래 의향 여부를 묻는 질
문을 추가로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22.0를 통한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점복에 대한 태도와 상담에 대한 태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므로 선행
연구에서 고찰되었던 점복문화 배경의 내담자를 위한 상담전략을 내담자들에게 일괄적으
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상담의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원리를 유지하며 내담자에 따라 적
절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점복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이고 점복자와 같은 상담
자를 기대하는 내담자일지라도, 궁극적으로 필요한 책임인식과 자기표현 등을 늘려가야
할 것이다.
둘째, 점복에 대한 태도에는 자기성찰이 부적 영향을 미치고, 상담에 대한 태도에는 자
기성찰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에 대한 탐색과 이해를 비교적
많이 하지 않는 사람들이 점복에 대해 호의적이고, 자신에 대한 탐색과 이해를 비교적
많이 하는 사람들이 상담에 대해 호의적이었다. 그러므로 자기성찰이 낮은 이들도 상담
을 추구하는 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자기성찰을 증진할 방안을 제공하고, 상담에 대해
다양한 홍보와 접근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미 상담을 찾은 이들에게는 자기
성찰을 더 전문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상담자들은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divin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on the attitude toward divin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This research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especially in Jeju.
Three hundred and sixth three people (156 men and 207 wome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ach participant received a package of the instruments;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Short Form(ATSPPH-SF)(Fisher
& Farina, 1995), the Divination Attitude Scale(Park, 2008), and the Self-Reflection
Scale(Hwang, 2011).To analyz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divin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elf-reflec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divin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divin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so counselors need to apply the skills or approaches considered fit to the clients with
divination culture-backgroun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lients. The need to
publicize counseling to the people who favor divination is also suggested.
Secondly, the lower the self-reflection was, 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divination was and the higher the self-reflection was, 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was. The result shows, some programs or educative process that are able
to raise the self-reflection of potential clien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counseling
service use.
Author(s)
양정은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76
Alternative Author(s)
Yang, Jeong Eu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가. 제주도민 5
나. 점복에 대한 태도 5
다. 상담에 대한 태도 5
라. 자기성찰 6
Ⅱ. 이론적 배경 7
1. 자기성찰 7
가. 자기성찰의 개념 9
나. 선행 연구 10
2. 점복에 대한 태도 11
가. 점복의 개념 11
나. 점복과 상담 14
다. 점복과 자기성찰 15
라. 제주도민과 점복 16
마. 선행 연구 20
3. 상담에 대한 태도 22
가. 상담의 개념 22
나. 상담에 대한 태도 23
다. 상담과 자기성찰 24
라. 제주도민과 상담 25
마. 선행 연구 27
4. 가설 30
Ⅲ. 연구방법 31
1. 연구대상 31
2. 연구절차 31
3. 연구도구 31
가. 점복에 대한 태도 척도 32
나. 상담에 대한 태도 척도 33
다. 자기성찰 척도 34
4. 자료처리 및 분석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6
1.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36
2. 측정 변인들의 기술통계 평균 및 표준편차 40
3. 점복에 대한 태도와 상담에 대한 태도 간의 상관관계 41
4. 자기성찰이 점복에 대한 태도와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44
Ⅴ. 논의 및 결론 45
1. 논의 45
2. 결론 51
참고문헌 54
Abstract 64
부록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정은. (2015). 자기성찰이 점복에 대한 태도 및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