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무용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자율성 지지와 무용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검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in Relations between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Dance Burnout of Dance Students in High School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율성지지와 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예술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고등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자율성지지, 정서조절 및 탈진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율성지지는 정서조절의 인지적 재구성에 정(+)의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표현 억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서조절에서 인지적 재구성은 탈진에 부(-)의 직접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서표현 억제는 탈진에 정(+)의 직접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성지지와 탈진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는 인지적 재구성 경로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별 자율성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동료의 지지에서만 학년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학년별 정서조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학년별 탈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동기저하와 수행저하 요인에서 학년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mediator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in relations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burnout of dance students in high school. For this, th questionnaire survey about autonomy support, emotion regulation, and burnout was conducted on 217 dance students who attend in high schools of performing ar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18.0 and AMO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utonomy support has directly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refiguration of emotion regulation but has no sta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Second, in emotion regulation, perceived refiguration has directly negative influence on burnout while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has directly positive influence on burnout. Third, for relations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burnout, mediator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had complete mediator effect in the path of perceived refiguration.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differences of autonomy support by grader, peer's support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r.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differences of emotion regulation by grad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r. Six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differences of burnout by grader, factors to lower inspiration and performance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r.
Author(s)
이영주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86
Alternative Author(s)
Lee, Young Ju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가설 7
4.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자율성지지 9
2. 정서조절 11
1) 정서이론의 정의 11
2) 정서조절의 개념 13
3. 무용 탈진 15
1) 탈진의 개념 15
2) 탈진의 특징과 징후 18
4. 선행연구고찰 18
1) 자율성지지와 탈진의 관계 18
2) 자율성지지와 정서조절의 관계 21
3) 정서조절과 탈진의 관계 22
4) 자율성지지와 정서조절 및 탈진의 관계 23

Ⅲ. 연구방법 26
1. 연구 대상 26
2. 측정 도구 27
1) 자율성지지 27
2) 정서조절 29
3) 무용 탈진 30
3. 연구 절차 31
4. 자료 분석 및 처리 31

Ⅳ. 연구결과 33
1.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르는 자율성지지, 탈진과 정서조절의 차이 33
1) 학년별 자율성지지 차이 분석 결과 33
2) 학년별 정서조절 차이 분석 결과 34
3) 학년별 탈진 차이 분석 결과 34
2. 자율성지지와 탈진 및 정서조절 간 인과관계 분석 35
1) 측정변수의 기술 통계 치와 분포특성 35
2)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구조모형 분석 36
(1) 측정모형 검증 36
(2) 구조모형 검증 38
(3) 최종 선택 모형의 모수 추정치 분석 40
(4) 최종 모형의 총 효과 분해 및 매개효과 검증 41

V. 논의 42

Ⅵ. 결론 48

참고문헌 50

Abstract 58

부 록 : 연구의 설문지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영주. (2015). 무용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자율성 지지와 무용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검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