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컬렉션에 나타난 플럭서스 퍼포먼스의 연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Direction of Fluxus Performance Shown in Collections
Abstract
21세기 현대는 대중매체의 발달과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화적, 역사적 경험을 통하여 상상을 초월한 공감대를 현성하는 다중복합문화(multicomplex complex culture)의 시대이다. 이러한 시대적 특성이 대중으로 하여금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자극적이며 사회적 일탈이 가미된 새로운 문화 형성 및 대중의 욕구를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이로 인한 대중의 심리가 반영된 예가 플럭서스 퍼포먼스라고 한다.
사회적 트랜드 형성의 예술을 추구하는 플럭서스의 예술적 가치와 관련하여 현대의 예술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사료되며 플럭서스 퍼포먼스가 컬렉션에 있어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고 생각한다. 컬렉션에 나타나는 플럭서스 퍼포먼스의 특성을 연구하기위한 방법으로 98S/S에서 2010 S/S에 이르기까지 패션사이트 Style.com과 wkorea.com 을 참고하였다. 플럭서스 퍼포먼스의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게 된 연구방법으로 플럭서스 퍼포먼스의 패션문화의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후세인 샬라안(Hussein Chalayan) 3인의 컬렉션을 연구하였다.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의 컬렉션에서는 타이트하며 체형의 윤곽선을 그대로 드러내 주며, 화려한 소재들과 환상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다. 살아있는 빅토리안 인형을 연상시키듯 하얀 스타킹과 리본이 매달린 퍼포먼스나 과장되게 부풀려진 투명한 소재의 소매, 그리고 솜사탕과 같이 끝없이 위로 부풀려진 헤어 등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가 보여주는 세계는 사랑스러웠다. 메이크업과 모델들의 표정 그리고 음악 등 마치 인형연극을 보러 온것처럼 착각이 들 정도로 쇼의 여러 요소들을 조화롭게 응용하였다.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의 컬렉션에서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즉흥적이며 단일성을 띤 퍼포먼스로서의 요소가 충분했고, 알렉산더 맥퀸의 모델은 즉흥적으로 묘사된 단 하나의 의상을 입은 채 무대 뒤로 사라지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퍼포먼스는 더 이상 동일 한 것으로는 다른 컬렉션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유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후세인 살라안(Hussein Chalayan)의 컬렉션에서는 기존의 패션쇼에서 들려지던 하우스뮤직과는 다르게 흰색으로 감싼 합창단이 라이브로 연주한 배경음악이 돋보이며, 음악과 패션쇼 각각의 특성이 드러난 총체예술로서 설명되고 있다.

결론으로
첫째, 플럭서스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결과, 플럭서스는 전통적, 보수적 순수 예술에 반기를 드는 예술의 사회화, 예술의 대중화, 예술과 생활의 재결합이라는 반 예술, 비예술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둘째, 98S/S에서 2010S/S까지 컬렉션에 나타난 플럭서스 퍼포먼스적 요소는 각각의 특징이 있다.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는 타이트하면서 체형의 윤곽선을 그대로 드러내주며, 화려한 소재들과 환상적인 조화를 표현하였다.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은 모델에게 단 하나의 의상을 입힌 채 무대 뒤로 사라지게하며, 이 패턴은 더 이상 동일 한 것으로는 존재할 수 없는 유일성을 가지며 즉석에서 패턴이 만들어지는 즉흥성을 보여주고 있다. 후세인 샬라안(Hussein Chalayan)은 음악과 패션쇼 각각의 특성이 드러난 총체예술로서의 플럭서스 퍼포먼스에 잘 나타난 컬렉션으로 설명되고 있다.
셋째,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후세인 샬라안(Hussein Chalayan)의 컬렉션에 나타난 플럭서스 퍼포먼스를 분석한 결과, 패션에 첨단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미래지향적인 패션 퍼포먼스로 기존의 정형화된 사고의 틀을 깨고, 고정화된 개념을 없애고 독특한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관객들은 관조적이 아니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연극과 같은 컬렉션의 장르가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는 교훈을 얻음으로서 우리 컬렉션에서도 교훈삼아 다양한 변화를 시도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실험 예술가들, 건축가들, 작곡가들, 그리고 디자이너들이 가까이 또는 변두리에서 플럭서스에 합류해 오고 있다. 추후 플럭서스 퍼포먼스가 컬렉션에 나타난 총체예술에 대해서 심화된 연구를 하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the multi-complex culture where a bond of sympathy beyond imagination forms. It is acquired through various cultur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thanks to bo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nd advances in technology. Such characteristics of the time have enabled the public to break out of the existing frame and establish a new type of culture which is provocative and incorporates social deviance as well as arouses the desire of the people. Fluxus performance art is one example of how reflecting the mental state of the public is caused by the demand of the time.
With regard to the artistic value of fluxus performance art, which has led the art to form a social tren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performances have not only had a profound impact on modern art and culture but has also brought about great changes in collections. For the methods used to study the properties of fluxus performance shown in collections, this research refers to the fashion sites style.com and wkorea.com from 1998 S/S to 2010 S/S. In order to discover the artistic value of fluxus performance, the study also looked into the collections of John Galliano, Alexander McQueen, and Hussein Chalayan, all of whom represent the fashion culture of fluxus performances. John Galliano's collections are in harmony with colorful materials as well as reveal tight outlines of body shape. The world John Galliano was trying to portray was lovely, using white stockings which reminded viewers of a living Victorian doll, a performance with hanging ribbons, excessively puffed sleeve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s, and puffy hair that outstretched upward like a cotton candy. He harmoniously applied various factors in his shows including makeup,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models, and music, putting audience under the illusion that they were watching a puppet show.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 was full of the elements that made a performance imaginative, spontaneous, and homogeneous. In addiction, McQueen showed a performance where the models disappeared backstage, wearing a single costume which was extemporaneously expressed and created on the spot. It can be regarded that such a performance had a uniqueness that would never be found in other collections. In Hussein Chalayan's collection, unlike the house music usually played in the common fashion shows, background music was sung by a choir covered in white. This stood out, and it is seen as an example of intermedia art,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concert music and fashion shows.
In conclusion, first,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luxus art shows that this new type of art takes an anti-art or inartistic stance that supports the so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art. It expresses a reunion of art and life against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pure art.
Second, the elements of fluxus performance which appeared from 1998 S/S to 2010 S/S have their unique traits. John Galliano showed a fantastic harmony with colorful materials, revealing tight outlines of body shapes. Alexander McQueen had his models disappear backstage wearing only one piece of clothing, indicating that the patterns used in his show were unique and that the same ones would never be found in other collections by making patterns right on the spot. And Hussein Chalayan's collection is regarded as an intermedia art that well portraye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music and fashion show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fluxus performances shown in the collections of John Galliano, Alexander McQueen, and Hussein Chalayan, this study has concluded that by combining a future-oriented fashion performance with cutting-edge technology in fashion, it is possible to break from the existing stereotypical mind set by getting rid of fixed concepts and selecting distinctive places. Furthermore, through the lesson that a new genre of collections where the audience can interact just like plays rather than taking a contemplative view has made rapid progress, so it is desirable to try to make a number of changes in our shows. Experimental artists, architects, composers, and designers from places nearby or in the outskirts have joined the fluxus movement. In the future, an in-depth study on intermedia art, in which fluxus performance is expressed collections, will be carried out.
Author(s)
송수민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88
Alternative Author(s)
Song, Su min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범위와 방법 1

Ⅱ. 이론적 고찰 3
1. 플럭서스의 개념 3
1) 플럭서스의 발생 5
(1) 플럭서스의 12가지 사상 6
2) 플럭서스의 형성과정 8
3) 플럭서스 경향에 대한 사례 9
(1) 백 남준 예술의 플럭서스 경향 9
(2) 오노 요코 예술의 플럭서스 경향 9
2. 퍼포먼스의 개념 10
1) 해프닝(Happening) 11
2) 이벤트(Event) 12
3) 퍼포먼스의 전개과정 12
(1) 백 남준 12
(2) 요셉 보이즈 12
3. 아방가르드패션 13

Ⅲ. 플럭서스 퍼포먼스의 컬렉션 연출 분석 14
1. 존 갈리아노 (John Galliano) 14
2. 알렉산더 맥퀸 (Alexander McQueen) 19
3. 후세인 샬라얀 (Hussein Chalayan) 26

Ⅳ. 결 론 37


참고문헌 39

ABSTRACT 4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송수민. (2015). 컬렉션에 나타난 플럭서스 퍼포먼스의 연출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