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학교 영양(교)사의 식생활교육과 영양상담 실태 및 인식 조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perception on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of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영양 ․ 식생활교육과 영양상담의 실태 및 인식도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영양 ․ 식생활교육 및 영양상담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제주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7일부터 5월 1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배부된 160부의 설문지 중 14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14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 하였고, 각 조사 항목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빈도차이 검증은 -test, 평균차이 검증은 t-test, ANOVA를 사용하여 집단 간의 유의성을 살펴보았으며, ANOVA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세부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근무경력은 10년 이상~20년 미만(37.9%)의 근무자가 가장 많았고, 고용형태에 있어서는 영양교사(67.2%)가 영양사(32.8%)에 비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지 특성에 있어서는 학교 설립유형은 국․공립(89.3%), 학교형태는 초등학교(55.0%), 학교급식유형은 도시형(55.7%)이 높게 나타났고, 급식인원수는 500명 미만(57.1%), 급식횟수는 1일 1식(84.3%)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급식관리, 영양·식생활교육 및 영양상담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직무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수행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01), 영양·식생활교육과 영양상담은 급식관리 영역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조사대상의 92.1%가 영양·식생활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고, 학생대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월 3.71회로 가장 많았고, 근무경력이 길수록 교육횟수가 유의적으로 많게 나타났으며(p<0.01), 영양교사의 교육 횟수가 영양사에 비해 많게 나타났다(p<0.05). 학생 대상 영양·식생활교육은 직접형태에서는 급식지도(87.5%)를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간접형태는 가정통신문을 통한 교육은 96.8%, 학교홈페이지를 통한 교육은 96.1%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의 영양·식생활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효과적인 이용시간으로는 관련 교과(실과, 기술·가정 등)수업시간 47.1%, 창의적 체험활동(특별, 재량활동 포함)시간 44.3%로 나타났으며, 교육 실시에 겪는 어려운 점에 있어서는 과중한 급식 및 행정업무(4.36점), 표준화된 지도안 및 지침서 부족(4.06점), 식생활교육 과정의 체계화 부족(4.00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양·식생활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의견에 있어서는 교수능력 향상방안으로는 학습자료 개발(34.4%), 직무연수 강화(30.7%)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과중업무 해결방안으로는 급식행정업무의 간소화(61.4%)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기적 영양·식생활교육 운영 방안으로는 식생활교육 독립교과 설치(52.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영양상담에 있어서는 조사대상의 95.0%가 상담을 실시하고 있었고, 대상별 상담횟수는 학생 대상(월2.83회)이 가장 많았으며, 학부모 영양상담은 급식인원이 많을수록 시행횟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 학생대상 영양상담은 주로 대면상담(95.4%)으로 이루어지고, 상담 실시 후 지속적 관리는 5점 만점에 대해 2.69점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의 80.3%가 연수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영양 상담에 대한 인식 및 의견에 있어서는 영양상담 실시를 위한 효율적 방안에 대해 일회성이 아닌 주기적 상담, 영양(교)사의 상담기술이 각각 4.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상담 실시에 겪는 어려운 점은 과중한 업무로 인한 상담시간 부족이 4.2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담프로그램 및 자료의 부족(3.89), 영양 상담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인식부족(3.76)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지역 학교 영양(교)사는 과중한 급식 및 행정업무로 인해 영양·식생활교육 및 영양상담 실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행정 업무 개선을 통한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해 직무 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영양(교)사들은 스스로 영양·식생활교육 및 영양 상담에 관한 실천 의지를 갖고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operation and perception on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of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at schools in Jeju and provide the effective ways to implement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of schools. The subjects included 94 nutrition teachers and 46 dieticians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Jeju surveyed from May 7-14, 2015.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est, t-test, ANOVA, using the SPSS Win program(versio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working periods, 37.9% of subjects showed 10 years more and less than 20 years and 67.2% of subjects were the school nutrition teachers. The type of schools was public with 89.3% and the forms of school was elementary school with 55.0%, and food provision was urban type with 55.7%. As for the type of foodservise, most of subjects were self-operation management with 90.7%.

Second, as the analysis results of works of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by three categories, that is foodservice operation,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the importance of work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in all aspects(p<0.001).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showed lower scores than foodservice operation in all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ird, 92.1% of subjects implemented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tudents indicat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3.71 times a month. Nutrition teachers showed the more education frequency than dieticians(p<0.05). In terms of the direct education for students, 87.5% of subjects implemented the foodservice guidance. Indirect education for students were the education through home correspondence with 96.8% and the education through school homepage with 96.1%.

Forth,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ubjects for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effective education time were the related course time(that is,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with 47.1% an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ime(including extracurricular activity) with 44.3%. In terms of difficulties of education program operation, heavy foodservice and administration works showed the highest score, at 4.36 points.

Fifth, with regard to the opinion for improvement of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teaching ability improvement were the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with 34.4% and strengthening job training with 30.7%. In terms of solution of overwork, 61.4% of subjects perceived that they needed to simplify administration works. Regular operation of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was the adoption of the independent course for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with 52.9%.

Sixth, 95.0% of subjects implemented nutrition counseling and the counseling for students indicat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2.83 times a month. In terms of counseling for student, 95.4% of subjects implemented by face to face counseling. Continuous management after the counseling scored 2.69 points, out of 5 scales. And 80.3% of the subjects did not have training experience.

Seventh,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opinion of subjects for nutrition counseling, the methods for efficient nutrition counseling were regular counseling with 4.90 points and counseling skills of nutrition teacher and dieticians with 4.90 points, out of 5 scales. In terms of difficulties of nutrition counseling, the deficiency of counseling time due to heavy work scored 4.20 points and the shortage of counseling program and related data scored 3.89 points and insufficient perception of parents and students on nutrition counseling scored 3.76 points, out of 5 scales.

Finall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had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because of too much foodservice and administrative works. To implement effective nutrition and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research on reducing unnecessary administrative works and job analysis is needed.
Author(s)
박은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96
Alternative Author(s)
Park, Eun A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영양·식생활교육 3
1) 영양·식생활교육의 필요성 3
2) 학교 영양·식생활교육의 실태 4
2. 영양상담 7
1) 영양상담의 필요성 7
2) 학교 영양상담의 실태 8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0
1. 조사대상 및 기간 10
2. 조사내용 및 방법 10
3. 자료 분석 및 통계처리 12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3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
2. 영양(교)사 직무의 중요도 및 수행도 15
1) 직무 중요도 및 수행도 15
2) 일반사항에 따른 직무 중요도 17
3) 일반사항에 따른 직무 수행도 21
3. 학교에서의 영양·식생활 교육 25
1) 영양·식생활 교육의 실태 25
2) 영양·식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 30
3) 영양·식생활 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의견 33
4. 학교에서의 영양상담 35
1) 영양상담 실태 35
2)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 및 의견 40

Ⅴ. 결론 및 제언 43

Ⅵ. 참고문헌 47

Abstract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은아. (2015). 제주지역 학교 영양(교)사의 식생활교육과 영양상담 실태 및 인식 조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