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내 고등학생의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및 나트륨 저감화 급식 실태 조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the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the sodium intake and the management of sodium reduction in school food servi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과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 유무, 나트륨 저감화 급식 실태를 파악하고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과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 나트륨 저감화 급식 실태, 학년, 성별, BMI와의 관련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평균 BMI는 남학생 22.7±4.08, 여학생 21.2±3.40으로 나타났고, 체중군별 분포는 저체중군 6.5%, 정상체중군74.6%, 과체중군 9.0%, 비만군9.9%로 나타났다.
둘째,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총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p<0.001), 학년별, 체중군별, 식사담당자의 직업별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점수는 학년별로 2학년의 점수가 낮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01), 성별, 체중군별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점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이 92.6%로 나타났고,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는 학생은 71.0%로 나타났다.
94.3%의 학생들이 나트륨 저감화 사업 추진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나트륨 저감화 급식 시행 필요성은 84.8%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시행하고 있는 나트륨 저감화 시책에 대해 학교급식 식단에 포함된 나트륨 총 함량을 공지하여 알려준다면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 64.5%, 식사 제공 시 거의 간을 하지 않고 따로 소금을 준비한다면 싱겁게 먹도록 '노력한다' 60.7%, 국 없는 날 또는 국 자율의 날 시행에 대한 찬성도 76.2%로 나타났다. 나트륨 저감화를 위해 육․가공식품(햄, 소시지 등) 제공량 감소와 나트륨 감소로 평소보다 맛이 약간 떨어지는 식단 제공에 대해서는 '절대 안됨'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3.7%, 33.9%로 높게 나타났으나 나트륨 저감화를 위해 국, 찌개 배식량 감소, 탕수육, 돈까스 등 양념 및 소스류 따로 제공, 배추김치 대신 배추겉절이 대체 제공, 염분배출 돕는 채소류, 과일류 증가는 '상관 없다' 또는 '감안'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나 학교급식에서 시행하고 있는 나트륨 저감화 시책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내 고등학생은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점수와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점수는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나트륨 저감화 사업 추진을 모르고 있었고 나트륨 저감화 급식 시행 필요성과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시행하고 있는 나트륨 저감화 시책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기호도가 높은 육․가공식품(햄, 소시지 등) 제공량 감소는 '절대 안됨'의 응답률이 높게 나타나 지속적인 나트륨 저감화 사업 홍보와 효과적인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food behavior related to sodium intake, the nutritious knowledge of sodium, nutrition education of reduction of sodium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food service for reduction of sodium. This study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of grade, gender and BMI to the food behavior related to sodium intake, the nutritious knowledge of sodium, nutrition education of reduction of sodium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eduction of sodi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BMI of those surveyed of boys and girls are 22.7±4.08 and 21.2±3.40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weight by groups were 6.5% of group of low weight, 74.6% of group of normal weight, 9.0% of group of overweight and 9.9% of group of obesity.
Second, in the case of the total score of the food behavior related to sodium intake, the score of gir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ys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ssified food behavior related to sodium intake of grades, weight level and meal manages.
Third, the score of nutritious knowledge of sodium by grad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s second year students have the lowest scores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nutritious knowledge of sodium by gender and weight.
Fourth, 92.6% of the students have not experienced a nutritious education of the reduction of sodium, however 71.0%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a nutritious education of reduction of sodium is needed. Even though 94.3% of the students did not recognize the business promotion of the reduction of sodium, 84.8% of the students think that the school food service with less sodium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olicy of a reduction of sodium on the school food service, 64.5% of students answered they were willing to reduce the intake of sodium if the total amount of sodium included in the school food menu is informed. 60.7%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willing to have bland meals only if there is some salt provided separately after serving meals without salt. 76.2% of students favor the implement of a day without being served a soup. On the other hand, 43.7% of students answered "never" to reducing the supplies of livestock processed product (ham, sausage, and so on) to reduce sodium intake. 33.9% of students answered "never" to being supplied some not tasty meals due to the reduction of sodium. In addiion, they answered "do not care" or "will consider" to the contents of cutting down the amount of soup or stew served, and serving separate sauces or spices for sweet and sour pork or a pork cutlet, serving a substitute of fresh kimchi for kimchi,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vegetables and fruits to excute excess salt. This shows that the current policy of sodium reduction at school meal service appeared slightly positive.
In conclusion, even though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showed over the average on the scores of the food behavior related to sodium intake and nutritious knowledge related to sodium, they do not know about the policy of reducing sodium. Therefore, serving school food with less sodium and educating about the needs of reducing sodium should be highly enforced. Although students recognized the policy of reducing the sodium at school food service, as they answered "never" to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livestock processed product which is highly favored, there should be continuous public discussions and nutrition education towards reducing sodium.
Author(s)
최희선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98
Alternative Author(s)
Choi, Hee Su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제한점 2

Ⅱ. 이론적 배경 3
1. 청소년 나트륨 섭취 현황 3
2. 나트륨과 건강 4
3. 학교급식 나트륨 저감화 필요성 6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8
1. 조사 대상 및 기간 8
2. 조사내용 및 방법 8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및 신체계측 조사 8
2)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9
3)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9
4) 나트륨 저감화 급식 실태 9
3. 조사자료 분석방법 10

Ⅳ. 연구결과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및 신체계측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11
2)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 13
2.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16
1) 성별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16
2) 학년별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18
3) 체중군별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20
4) 식사담당자별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22
3.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26
1) 성별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26
2) 학년별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28
3) 체중군별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30
4. 나트륨 저감화 급식 실태 32
1) 나트륨 저감화 관련 영양교육 경험 유무 32
2) 나트륨 저감화 관련 영양교육 필요성 33
3) 나트륨 저감화 사업에 따른 인식 34
4) 학교급식에서 시행하고 있는 나트륨 저감화 시책에 대한 인식 35

Ⅴ. 고찰 48

Ⅵ. 요약 및 결론 54

Ⅶ. 참고문헌 58

Abstract 64

부 록 7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최희선. (2015). 제주도내 고등학생의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및 나트륨 저감화 급식 실태 조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