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학교급식 채식의 날 운영에 따른 메뉴선호도 및 만족도 조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urvey on Menu Preference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Vegetarian Diet Day of School Food Service amo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Jeju Area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들의 채식에 대한 인식과 채식의 날 운영에 따른 메뉴선호도 및 만족도를 조사・분석하여 학교급식의 보다 나은 채식식단 및 채식의 날 운영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활용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1,003명을 대상으로 총 48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직접설문기법으로 2015년 3월 16일부터 4월 17일까지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52.3%, 여학생 47.7%이었고, 4학년 32.2%, 5학년 33.7%, 6학년 34.1%이었다.
채식의 정의를 알고 있는 학생은 83.0%, 채식관련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학생은 39.2% 받은 적이 없는 학생은 60.8%였으며 채식을 먹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은 82.7%로 조사되었다. 채식을 경험한 학생들이 경험한 장소는 가정(40%) > 학교(38%) > 식당(18%) 순이었다. 채식을 경험해보고 선호하는 채식형태는 채소, 과일, 계란, 우유, 어패류만(Pesco-Vegetaria)먹는 식사가 각각 26.4%, 25.9%로 가장 많았다. 채식을 경험한 이유는 학교급식 메뉴로 나와서(33%) > 건강의 도움을 위해(28%) > 부모님의 권유로(18%) > 맛이 있어서(18%) 순이였으며, 채식을 경험하지 않은 이유는 맛이 없어서(36%) >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28%) > 균형적인 영양섭취를 위해(24%) 순으로 조사되었다.
채식에 관한 인식도는 '채식은 우리 몸건강에 도움을 준다', '채식은 생활습관병(비만, 고혈압, 심장병)에 도움이 된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채식에 관한 인식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어머니가 식사를 준비하는 학생의 인식도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채식의 정의를 인지하고, 채식 교육을 받은 적이 있고, 채식을 먹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채식에 관한 인식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평일 학교급식만족도 분포 및 점수가 채식의 날 학교급식만족도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채식을 알고 있고(p<0.01), 관련교육을 받고(p<0.001), 채식을 먹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p<0.001)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채식의 날 급식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평일 및 채식의 날 학교급식만족도가 높은 학생이 식습관 점수도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평일과 채식의 날 학교급식 잔반량을 비교한 결과 전체잔반량은 평일 급식 잔반량(1.56점) 보다 채식의 날 급식 잔반량(1.75점)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01), 음식종류에서는 주식 잔반량(1.32점), 김치 잔반량(1.88점), 과일․빵․음료․유제품․우유 모두 더한 전체 후식류에서 채식의 날 잔반량(2.75점)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채식의 날 메뉴 기호도는 과일류(4.68점) > 음료류(4.63점) > 후식류(4.56점) > 일품요리류(4.26점) > 구이·전류(4.21점) > 밥류(4.12점) > 튀김류(4.14점) > 볶음류(4.08점) > 찜·조림류(4.01점) > 무침·샐러드류(3.93점) > 국·찌개류(3.89점)순으로 조사되었다. 채식의 날 학교급식 메뉴 기호도가 가족모두와 함께 식사를 하는 학생이 혼자 식사하는 학생의 기호도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채식의 날 학교급식 메뉴 섭취경험에 따라 먹어본 경험이 있다고 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모든 음식군에서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채식의 정의를 알고 있고 채식관련 교육과 먹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채식에 관한 인식도와 식습관점수가 높았으며, 급식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평일 학교급식만족도가 채식의 날 급식만족도 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채식의 날 급식 총 잔반량이 평일 급식 보다 많았다. 채식의 날 메뉴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메뉴를 직접 먹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 보다 기호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채식의 날 급식 잔반량을 줄이기 위해 기호도를 고려한 채식 메뉴의 개발과 다양한 메뉴 구성으로 급식만족도를 향상시키며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채식 관련 교육과 홍보가 이뤄져야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awareness of vegetarian diet, the menu preference,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day of vegetarian diet among the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ablish basic data of vegetarian diet menu for operating the day of vegetarian diet in school.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1003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a direct questionnaire survey with 48 survey questions from March 16th to April 17th in 2015. Those participants were 52% of boys and 47.7% of girls, and 32.2% from the fourth grade, 33.7% from the fifth grade and 34.1% from sixth grade. On the vegetarian diet, 83.0% of participants understood the definition. Among those participants, 39.2% of participants had taken lectures about vegetarian diet, but 60.8% had not. 82.7% of participants had tried vegetarian diet before. Those who had experienced vegetarian diet had tried at home (40%), school (38%) and restaurants (18%). The highest menu preference of vegetarian diet was Pesco-Vegetaria only including vegetables, fruits, eggs, milk and seafood with 26.4% and 25.9% respectively. The reason why they tried vegetarian diet was as follows: 'as a school menu' (33%), 'for health' (28%), 'by parents' recommendation' (18%) and 'good taste' (18%). Besides, the reason why they had not tried vegetarian diet was as follows: 'not preferring the taste of vegetables' (36%), 'no need for a vegetarian diet' (28%) and 'for the intake of balanced nutrition diet' (24%).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of the awareness on vegetarian diet, the highest responses were that 'vegetarian diet is good for our health' and 'vegetarian diet is helpful to prevent lifestyle diseases including obesity, high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s.' The higher the students' grade is, the higher the scores of the awareness of the vegetarian diet were significantly (p<0.001) and the scores of the awareness of the participants whose mothers make vegetarian di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articipants whose mothers do not (p<0.05). Moreover, the scores of the awareness of the vegetarian diet were significantly high (p<0.001) with the participants who had recognized the definition of the vegetarian diet, had taken related lectures and had tried the vegetarian diet before. The scores and distribution of the satisfactions of the school food service on normal day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those on the vegetarian diet day. The scores of the satisfactions of participants who were aware of the vegetarian diet (p<0.01), had taken the related lecture (p<0.001) and had tried a vegetarian diet (p<0.00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had not on the days of vegetarian diet in school. The scores of the dietary habit were significantly high (p<0.001) as with the participants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chool food service on normal days and on vegetarian diet days.
In comparing the amount of leftovers of school food on normal days and the vegetarian diet day, the total amount of leftovers on the vegetarian diet day (1.75)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that of the normal days (1.56). On the vegetarian diet days, the amount of leftovers of the main meal (1.32), kimchi (1.88) and the dessert (1.32) were significantly high (p<0.001). In the order of the preference menu on vegetarian diet day were fruits (4.68), beverage (4.63), dessert (4.56), one-dish dinner (4.26), roasted and grilled dish (4.21), rice (4.12), fried dish (4.14), stir-fried dish (4.08), boiled dish (4.01), salad (3.93) and soup and stew (3.89). The scores of the preference of the participants who had had that meal with their family showed a higher (p<0.05) on the vegetarian diet day than that of those who had meal by themselves. The scores of the preference of the participants who had tried the vegetarian diet showed high scores on all dish groups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t.
In conclusion, the higher grade students who recognized the definition, took the related lecture and had tried the vegetarian diet at elementary school in Jeju showed high scores on the awareness, the eating behavior and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e vegetarian diet. The scores of the satisfaction of school food service on the normal days were higher than those on the vegetarian diet day. The total amount of leftovers on vegetarian diet day was more than that on the normal days. On the preference of the vegetarian diet, the scores of the preference of the students who had tried the vegetarian diet for themselves were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t. Therefore, the vegetarian diet menu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ir preference to reduce the amount of leftovers on the vegetarian diet days and there should be various menu option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od service. Moreover, there should be more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related to vegetarian diet.
Author(s)
강은정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99
Alternative Author(s)
Kang, Eun Jeo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채식의 날 정의 및 목적 4
2. 채식의 날 운영 현황 5
3. 제주지역 초등학교 급식 채식의 날 운영 7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9
1. 조사 대상 및 기간 9
2. 조사내용 및 방법 9
1) 일반사항 10
2) 식습관 조사 10
3) 채식에 관한 인식 및 경험과 교육 10
4) 채식의 날 학교급식만족도 10
5) 학교급식 채식의 날 메뉴 기호도 10
3. 통계처리 11

Ⅳ. 연구결과 12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12
2. 식습관조사 14
1)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분포 및 점수 14
2)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별 식습관 점수 16

3. 채식에 관한 인식 및 교육과 경험 18
1) 채식의 정의 인지 여부와 채식관련 교육 및 채식 경험 유무 18
2) 채식경험 실태 23
3) 채식에 관한 인식도 27

4. 채식의 날 학교급식만족도 33
1) 평일 및 채식의 날 학교급식 만족도 33
2) 평일과 채식의 날 학교급식 잔반량 비교 44

5. 채식의 날 학교급식 메뉴 기호도 4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별 채식의 날 학교급식 메뉴 기호도 47
2) 채식의 날 학교급식 메뉴 섭취 경험 유무에 따른 먹고싶은양과 기호도 64

Ⅴ. 고찰 66

Ⅵ. 요약 및 결론 75

참고문헌 80

부 록 85

Abstract 9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은정. (2015).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학교급식 채식의 날 운영에 따른 메뉴선호도 및 만족도 조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