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초등학교 남자농구 선수들의 순발력, 민첩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on the Power, Agility and Blood lipid in male basketball players of elementary school
Abstract
본 연구는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초등학교 농구선수들의 순발력, 민첩
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남자초등학교 농구선수 13명을
선정하였으며, 운동군 6명과 통제군 7명으로 주3회씩 12주간 트레이닝을 실시하
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Sargent Jump 기록은 운동군에서 4.42cm
증가하였고, 통제군에서는 1.86cm 증가하였다. Sargent Jump는 운동군과 통제군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50m Sprint 기록은 운동군에서 0.54sec 감
소하였고, 통제군에서는 0.08sec 감소하였다. 50m Sprint는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
셋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40cm Drop Jump 기록은 운동군에서 5.42
cm 증가하였고, 통제군에서는 0.71cm 증가하였다. 드롭점프는 운동군에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넷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SEMO Run Test 기록은 운동군에서 0.56
sec 감소하였고, 통제군에서는 0.14sec 감소하였다. SEMO Run Test는 운동군에
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Zigzag Run Test 기록은 운동군에서 1.09
sec 감소하였고, 통제군에서는 0.42 sec 감소하였다. Zigzag Run Test는 운동군
과 통제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TG 수치는 운동군에서 11.17mg/dl 증가
하였고, 통제군에서는 0.17mg/dl 감소하였다. TG는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TC 수치는 운동군에서 11.0mg/dl 증가하
였고, 통제군에서는 0.50mg/dl 감소하였다. TC는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덟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수치는 운동군에서 12.0mg/dl 증가하였고, 통제군에서는
1.71mg/dl 증가하였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홉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후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수치는 운동군에서 3.17mg/dl 감소하였고, 통제군에서는
2.50mg/dl 감소하였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12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프로그램
은 순발력, 민첩성과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의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농구 선수들의 전반적인 체력증진훈련으로이 프로그램이 적합하고, 체력을 기반으로 하는 농구 기술 습득과 다양한 체력
증진 훈련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lyometric
training on the power, agility and blood lipid in male basketball players of
elementary school. An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effectiveness of
plyometric training with 13 male elementary school basketball players, 6
players for exercise group and the other 7 players for control group. The
exercise group was trained 3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First,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sargent jump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increased by 4.42cm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increased by 1.86cm. The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better than control group.
Second,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50m Sprint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decreased by 0.54sec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decreased by 0.08sec.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better
than control group.
Third,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40cm Drop Jump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increased by 5.42cm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increased by 0.71cm.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better than control group.
Fourth,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SEMO Run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decreased by 0.56sec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decreased by 0.14sec.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better
than control group.
Fifth,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zigzag run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decreased by 1.09sec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decreased by 0.42sec. The result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Sixth,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triglyceride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increased by 11.17mg/dl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decreased by 0.17mg/d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Seventh,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total cholesterol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increased by 11.0mg/dl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decreased by 0.50mg/d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ighth,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increased by 12.0 mg/dl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increased by 1.71mg/dl.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better than control group.
Ninth,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fter
plyometric training was given, exercise group decreased by 3.17mg/dl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decreased by 2.50mg/d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plyometric training for 12 weeks was proved as efficient
training by improving power, agility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herefore male elementary school basketball players appropriate plyometric
training for increasing fitness and obtaining basketball skills. Also, this study
expects promoting a variety of fitness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uthor(s)
남희광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00
Alternative Author(s)
Nam, Hee Kwa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가설 4
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1. 플라이오메트릭 6
1) 플라이오메트릭 정의 6
2) 플라이오메트릭 원리 7
3) 플라이오메트릭 효과 8
2. 농구의 특성 10
3. 체력의 이해 11
1) 순발력 11
2) 민첩성 12
4. 혈중지질 12
1) 중성지방 12
2) 총콜레스테롤 13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13
4)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13
Ⅲ. 연구 방법 15
1. 연구 대상 15
2. 연구 설계 15
3. 트레이닝 프로그램 17
4. 측정항목 및 방법 21
1) 순발력 21
2) 민첩성 22
3) 혈액검사 23
5. 자료처리 24
Ⅳ. 연구 결과 25
1. 집단의 동질성 검사 25
2. 순발력의 변화 26
1) Sargent Jump 26
2) 50m Sprint 27
3) 40cm Drop Jump 28
3. 민첩성의 변화 29
1) SEMO Run Test 29
2) Zigzag Run Test 30
4. 혈중지질의 변화 31
1) 중성지방(TG)의 변화 31
2) 총콜레스테롤(TC)의 변화 32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의 변화 33
4)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의 변화 34
Ⅴ. 논의 35
1.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 35
2.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37
3.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38
Ⅵ. 결론 41
참고문헌 4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남희광. (2015).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초등학교 남자농구 선수들의 순발력, 민첩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