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다문화사회에서 관용(tolerance)의 확대적용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Ways to Expand 'Tolerance' in the Multi-cultural societies : Focused on Jeju Islan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과 외국에서 이주해온 이주민, 그리고 탈북 새터민에게 집중면접하여 제주도에서 느끼는 불관용 문제실태를 분석하고 이의 해결과 관용의 정책이 자리잡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외국인 이주자의 체험적 시각을 통하여 제주사회의 관용성의 수준을 측정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는 계속 늘어나는 외국이주민을 제주도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자는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그동안 다문화와 관련된 논의, 그리고 관용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하고 제주도의 관용과 불관용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를 찾아내고, 그 지표에 따라 제주도지역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관용과 불관용에 미치는 영향 요소를 찾아 강화하거나 제거하는 정책, 그리고 종합적으로 제시하려고 한다.
이뿐만 아니라 다문화에 대해서 경계의 차원을 넘어서 발전의 에너지와 원동력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관용을 베풀어야 할 상황이기도 하며, 결국에는 서로 이해하고 같이 공진(co-evolution)하는 융화된 공동체사회를 만들어야 할 과제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에 대한 관용의 변증법적 지양과 발전을 통한 융화적인 공동체 사회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진행하고자 했다.
이주에 대해 1단계에서는 다름에 대해 경계하고 그러한 경계가 많아지면서 갈등으로 연결되는 상황이 된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 단계는 불관용의 단계가 될 것이다. 2단계에서는 다양한 제도와 교육을 통해서 관용의 노력과 현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3단계에서는 다름을 인정하고 관조하거나 무관심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같은 수준이 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지원하는 단계로 통합적 발전을 해야 한다는 규범적인 단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과 외국에서 이주해온 이주민을 면접하여 제주도에서 느끼는 불관용 문제 실태를 분석하고 이의 해결과 관용의 정책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그동안 다문화와 관련된 논의, 그리고 관용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하여 제주도의 관용과 불관용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를 찾아 정리하였다.
1) 관용해주는 사람들의 특성과 그 모습들
2) 관용해주지 않는 사람들의 특성
3) 제주도주민과의 갈등 사례 여부
4) 다문화가족의 사회부적응의 사례
5) 자녀들의 사회부적응의 사례
6) 고향국가의 문화에 대해 존중해주는 문화사례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제주도민들은 관용적이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제주어를 어느 정도 아는가가 관용적이라고 느끼는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셋째, 문화의 차이에 대한 해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쇼핑할 때 불관용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개선해야 한다.
다섯째, 가난한 후진국의 외국인들에게 폄하하는 경향이 있다라는 추론을 할 수 있었다. 관용의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주도를 고향 국가 친지나 후배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불관용을 제거하고 관용의 제주도를 만들기 위한 전략을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첫째, 초기 불관용의 단계에서의 대응이다. 지역 다문화에 대한 포용의 철학 정립이 필요하다. 동시에 반다문화(反多文化)에 대한 연구와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서로 다름에 대한 인정과 관용 단계의 대응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기능주의적 맥락의 새마을 운동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 다문화정책의 수준은 법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같은 수준으로의 배려 지원하는 서(恕)의 단계와 대응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관용하는 자'와 '관용되는 자'의 구분과 경계 허물기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관용누적 문화운동을 통한 사회 안정을 유도해야 한다.
넷째, 관용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성 극복 대응도 필요하다. 먼저 관용이 가져올 수 있는 이중적 효과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부정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긍정화 시키기 위해서는 창조도시 조성으로 다문화상황을 긍정화로 유도시켜야 한다는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제주의 문화가 자연 환경적 고립, 그로인한 패쇄적, 배타적인 면이 있다는 지적을 받아 왔지만, 현재에는 교통과 통신의 발전으로 천혜의 자연환경과 잘 보존된 문화적 자원을 바탕으로 국제 자유도시로의 발전을 표방하고 있다. 향후에는 제주사회가 다양한 출신지의 이주자들과 어우러지고 그 다양성이 제주지역 발전을 견인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용의 철학의 일상화와 제도화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of tolerant policy to the public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 series of intensive interviews with both immigrants from foreign countries to Jeju Island and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bout their experiences about intolerant cases at face to face encounter everyday situations. It is significant that we try to make an opportunity for them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Jeju society on their way as a member of immigrants. Of course, it will be appropriate for Jeju society to prevent conflicts between citizens and immigrants in advance. To achieve the aim, I try to find a couple of discussion about aspects of multicultural society, articulate some arguments on real intolerant situation, and do a research on some indicators on factors which influences intolerant ones each other in Jeju community. As the result of researches on indicators on tolerance-untolerance situations, we can suggest a comprehensive policy and solutions to intolerant situations. It's a time for us to tolerate each other that will play their role as energy for development of society as a whole. In the end, they can understand each other for co-evolution toward common commitments of integrated community. In a sense, this study can classify some cases into six kinds of groups to the public upon basic assumption that society can be developed into integrated community dialectically through actualizing right phases of immigrant policy as follows;
1) Characterisitics and figures of people who tolerates each other
2)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doesn't tolerate each other.
3) Some cases are conflicts with Jeju residents
4) Some cases of multucultural families are not accustomed with Jeju society
5) Some cases of children of multucultural families are not accustomed with Jeju society
6) Some cases of people who respects cultural customs of native countries.
I can find some kinds of implications about multicultural phenomena from my case studies as belows ;
First, Jeju people is inclined to tolerate each other facing situation multicultural phenomena.
Second, I confirm that the more they tolerate each other the more they understand Ieju dialect to the extent.
Third, I learn that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is significant factor that makes them to tolerate each other.
Fourth, I learn they feel some kinds of intolerance from some cases at shopping makets or making use of transportation such as bus.
Fifth, as I conclude that public shows some kinds of disrespect to foreigners from their poor native countries, we need some kinds of policy to improve tolerant attitutes toward them.
Sixth, immigrants are proud that they recommend their relatives and friends to choose Jeju island as their newly native hometown.

I want to propose some ideas of making Jeju island tolerant society overcoming intolerant phenomena at every corner of Jeju society as follows ; Firstly, we need an institutional responses and strategies to intolerant phenomena in Jeju society, in which residents activate their philosophy to tolerate multicultual situation in Jeju island.
Secondly, it is essential for us to respond to preparing for opening a more tolerant stage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some differences of members in Jeju society functionally and legally.
Thirdly, we are ready to support a kinds of tolerant attitute which tolerate each other in Jeju society. We are together that to tolerate somebody is as same as to be tolerated by someone such as leading a kinds of tolerance movement in everyday situation of ordinary people in Jeju society.
Fourthly, we are ready to respond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from doing tolerant multicultural phenomena everyday face to face encounter situations in every corner of Jeju society. Basically tolerant attitutes makes society going toward a more creative and desirable destination.
Author(s)
문성화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11
Alternative Author(s)
Moon, Seong Hwa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사회복지전공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문제제기 1
제2절 연구의 배경 3
제3절 연구의 구성과 흐름도 7

제2장 관용관련 이론연구와 선행연구 검토 8
제1절 관용의 개념과 유용성 8
1. 관용의 개념 8
2. 다문화주의와 관용 9
제2절 다문화관련 이론 11
1. 다문화 사회를 보는 상반되는 두 개의 국가론적 시각 11
2. 다문화주의와 다양성에 대한 제반 이론들 12
제3절 관용에 대한 분야별 경향 14
1. 종교적 관용의 후견주의적 성격으로써의 한계 14
2. 이주자(이민자)에 대한 관용으로써 수용조건 14
3. 관용적 정부의 명과 암, 그리고 대응으로써 융화 15
4. 관용에 대한 교육적 측면과 법적 관용성 16
5. 타자(나 외의 다른 사람) 대우의 두 원칙 : 관용과 적극적인 배려의 서(恕) 17
6. 예술분야에서 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관용 18
7. 관용정책의 일환으로 체류 외국인의 체감안전도 제고 20
제4절 다문화정책에 대한 외국사례와 선행연구 검토 21
1. 외국의 다문화정책 사례 21
2. 선행연구 검토 24

제3장 관용의 실태와 욕구에 대한 분석 26
제1절 연구방법 26
1. 연구 분석틀 26
2. 연구 방법론 27
3. 조사일정과 대상 28
제2절 관용의 실태 분석결과 30
1. 관용해주는 사람들의 특성과 그 모습들 분석 30
2. 관용해주지 않는 사람들의 특성 분석 36
3. 제주도주민과의 갈등사례 여부 분석 41
4. 다문화가족의 사회부적응의 사례 분석 44
5. 자녀들의 사회부적응의 사례 분석 45
6. 고향국가의 문화에 대해 존중해주는 문화사례 분석 47
7. 관용과 불관용 분석의 함의 49

제4장 관용의 확대 방안 51
제1절 초기 불관용의 단계에서의 대응 51
1. 지역 다문화에 대한 포용의 철학 정립 51
2. 반다문화(反多文化)에 대한 연구와 대응전략 수립 51
제2절 다름에 대한 인정과 관용 단계의 대응 52
1. 다문화시대 기능주의적 맥락의 새마을 운동 확대 52
2. 법적 관용의 확보에 대해 노력 52
제3절 같은 수준으로의 배려 지원하는 서(恕)의 단계와 대응 53
1. '관용하는 자'와 '관용되는 자'의 구분과 경계 허물기 53
2. 관용누적 문화운동을 통한 사회 안정 유도 53
제4절 관용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성 극복 대응 54
1. 관용이 가져올 수 있는 이중적 효과에 대한 대응 54
2. 창조도시 조성으로 긍정화 유도 54

제5장 정책제언 및 결론 55
제1절 정책제언 55
제2절 결론 및 요약 57
참고문헌 60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 63
ABSTRACT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문성화. (2015). 다문화사회에서 관용(tolerance)의 확대적용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