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따른 자기효능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elf-Efficacy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
인하고 장애인의 새로운 경제활동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애인의 경제활동이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제활동영역 즉, 업체 취업
과 장애인식개선교육강사활동에 따라 자기효능감이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장애인의 경제활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장애인의 경제활동영역에 따라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내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에서부터 만 60세 미만의 성
인장애인 총 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강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남성장애인 1명을 면접 조사하여 연구결과 해석에 대한 보충자료로 사용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중 학력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부모와 형제가 함께 거주하고 있는
가족이 다른 가족형태(혼자 또는 배우자+자녀)보다 높다.둘째, 장애인의 경제활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본 결과, 장애인의 경제활
동은 자신감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고,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는 유의
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의 경제활동영역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에 대해서는 장애인의 경제활동여부와 마찬가지로 자신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장애인의 경제활동영역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Scheffé 검증한 결과, 업체
취업과 강사활동은 미취업보다 높지만 업체취업과 강사활동의 차이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 결과는 본 연구자가 중증장애인이 장애인식개선교육강사라는 사회참여 활동을 중증장
애인들의 일반적 경제활동 영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했던 연구의 목적
을 달성하는 데는 다소 무리가 있다.
본 연구는 총 57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례는 집단간 차이를 통
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소 적은 사례이고 특히 장애인식개선교육강사라는 영역에
장애당사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기간이 오래 지나지 않았다는 점과 제주도내에서 활동
하고 있는 17명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강사활동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강사활동을 통해 경제활동이 안
정되었다고 여겨지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수행한다면 강사활동과 다른 취업활
동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장애인식개선교육은 '장애'를 소재로 누가 진행하든 교육에 참여만 하면 장애
인식이 개선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진행되어져 왔고, 교육 진행여부에만 치중한 나머지
교육의 진정한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민에 대해서는 깊게 고민할 기회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장애인복지의 패러다임이 장애당사자로 변화되어 가는 시점에서 장애에
관한 이야기를 중증장애인들이 직접 풀어내게 된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이런 측면
에서 그동안의 연구들이 장애이해교육의 효과성을 밝히고자 하는 논문이었던데 반해 본
연구는 장애당사자의 경제활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인에게
있어 경제활동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했던 점에서 의의가 있
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self-efficacy is expressed
depending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nd data to expand new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Therefore
this researcher tried to prove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ing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In addition, it was tried to reveal the self-efficacy varies with
the economic activity area, that is, employment and educational lecturers' activities in
improving the awareness in the disability. The issues of the research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like this are presented as follows:
Issue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and self-efficacy?Issue 2. Does the self-efficacy vary with the economic activity areas of the
disabled?
The survey was made for the total 57 adults with disabilities from 20 years old to
more than 20 years old residing in Jeju Island and used an interview with a male
adult with disability who performs a role of lecturer improving the awareness in
disabilities as a supplement data.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u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s higher in the family residing with the parents and siblings than
other family types (single or spouse + childre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conomic activities of disabled on the
self-efficacy,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lf-regulating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but on the self-confidence.
Third, according to the effects of economic activities by the disabled on the
sub-elements of self-efficacy,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lf-regulating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but on the
self-confidence as shown in the economic activity status of the disabled.
Fourth, according to the Scheffé verification on th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the employment and lecturer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e unemploymen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ployment and lecturer activities was not found. These results were a little bit hard
for this research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hich intended to use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severely disabled as a lecturer for improving the awareness in
disabilities as basic data to expand to the area the general economic activity area of
the severely disabled
This study was made based on the survey of total 57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was hard to reveal whether the lecturer activities affect the self-efficacy in that
these cases are a little bit small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systematically, especially the period when the disabled participated in the area of
lecturer for improving awareness in disabilities principally did not take long and thissurvey was made on 17 persons who were making activities in Jeju Island.
Accordingly, if the study subject is expanded and the subsequent study is made on
the disabled who considers the economic activities are stabilized trough lecturer
activities,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between lecturer activities and other
employment activities would be revealed.
It is true the education on improving awareness in disabilities were made under the
assumption the awareness in disabilities would improve whoever proceeds with the
education with the theme of 'disabilities' and there was not even a change to deeply
think of the concern for improving the genuine effects on education too concentrated
on the education progress status to date. At the time when the paradigm of welfare
for the disabled is changing to the disabled themselves, it is natural the severely
disabled solve the story about disabilities themselv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tried to prove how much the economic activities affect the
disabl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economic activities on the self-efficacy of the
disabled while the studies in the past have tried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uthor(s)
김정옥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15
Alternative Author(s)
Kim, Jeong ok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연구가설 4
4.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1. 장애인 현황과 특성 6
2. 장애인의 경제활동 14
3. 경제활동영역 중 장애인식개선교육강사의 필요성 16
4. 경제활동과 자기효능감 19
5. 선행연구 고찰 25
Ⅲ.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측정도구 30
3. 연구절차 31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3
1. 일반적 특성 33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35
3. 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따른 자기효능감 38
4. 장애인의 경제활동영역에 따른 자기효능감 40
5. 장애인식개선교육강사 활동 사례 41
Ⅴ. 논의 및 결론 49
1. 논의 49
2.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4
Abstract 60
부록목차 63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정옥. (2015). 장애인의 경제활동에 따른 자기효능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