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방언의 친척 명칭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Relative Names in the Jeju Dialects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 가족 조직에서 나타난 제주 방언의 친척 명칭들을 종합적으로 수
집하고, 이를 가족 구성에 따라 '직계혈족'(直系血族), '방계혈족'(傍系血族), '인척'(姻
戚)의 유형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한 제주 방언의 친척 명칭 중 古語의
모습이 남아 있는 개별 어휘들을 찾아 조어론적 의미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어휘의 분류 과정에서 나타난 제주 친척 명칭의 대표적 어휘인 '삼춘', '아시', '성
님' 등을 통해 부계적(父系的) 원리가 기본인 친척 명칭의 구조와 달리 제주에서는
부계원리만 강조되지 않는 사회 문화적 영향을 찾을 수 있었다. 제주 방언 '삼춘',
'아시', '성님'이 표준어에 대응되는 '삼촌', '아우', '형님'과 같이 남성을 대표하는 친
척 명칭임에도 불구하고 모계혈족을 포함한 가계(家系)의 제약 없이 친척 여성에게
도 흔히 사용되어 성별에 제약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뿐 아니라 조사 과
정에서 친척 명칭 중 일부는 의미 기능의 확대로 친척의 범위를 넘어 일반인 범위
까지 사용이 가능한 어휘들이 많았다. 물론 표준어의 '할아버지', '할머니', '아주머
니', '삼촌', '형' 등이 동일하게 일반 어휘로 존재하지만 제주방언 '삼춘'이나 '성님'
그리고 '아시'가 여성 사이에서도 활발히 쓰인다는 점이 독특하다.
이러한 친척 어휘의 의미 사용 범위가 확대될 뿐 아니라 친척 명칭에서는 아랫 사
람이 손윗 사람에 대해 지칭으로 평칭 사용이 빈번함을 찾을 수 있었다. 본래 화자
보다 항렬이 높음에도 평칭 '아주망(아지망)', '아주방(아지방)', '삼춘', '오라방' 등이 지칭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었다.
이렇게 성별과 항렬의 제한을 많이 받지 않음으로 제주 방언의 친척 명칭은 각각
다른 가계(家系)의 대상이라 할지라도 중복되어 쓰이는 어휘들이 많았다. 예를 들면
방계혈족의 지칭으로 여성 화자가 남성 친척에게 사용하는 '아주방(아지방)'이 인척
의 시가(媤家)에서 남편의 형제에게 동일하게 쓰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준어에서
는 언어예절로 격식을 차리는 '도련님', '아주버님'과 달리 제주 방언은 이름이나 비
칭으로 가리키는 것이다. 이는 제주라는 한 지역 내에 시가나 처가 등 가족 조직이
함께 거주하는 형태가 많은 지리적 배경으로 화자와 친척 간에 친소 관계(親疎關
係)가 가까워 가계(家系) 구분 없이 편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여러 가족 구성에서 중복되는 어휘들은 누구를 부르고 가리키는
지에 대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제주 사람들은 '하귀 성님', '명희 삼춘'과 같이 주로
명칭 앞에 '택호명'이나 '이름' 등을 넣어 대화의 불편함이 없도록 자연스럽게 사용
하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제주 방언의 친척 명칭은 의미 사용에 있어 제약이 크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뿐 아니라 어휘의 형태면에서도 친척 어휘들의 다수가 중세
국어의 모습이 지금까지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어학적 가치가 뛰어나다 할 수 있
다. 이러한 점에서 표준어 사용이 확대되어 가는 시기에 제주 방언이 사라지기 전
에 채록하고 학술적으로 국어학적 가치를 알릴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주에서 실생활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친척 명칭들을 통해
제주 방언의 어휘적 특징을 밝힐 뿐 아니라 보존 가치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synthetically collected relative names in the Jeju dialects shown in
the Jeju family organization, and then classified them in the type of linear
blood relatives, collateral blood relatives and relatives by marriage. Finding
individual words with the trace of archaic words among relative names in the
classified Jeju dialects, they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semantics and
word-formation.
Through the representative words of relative names of Jeju such as,
'samchun', 'asi' and 'seongnim' shown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it is
possible to find the social/cultural background in which the paternal principle is
not the only one emphasized in daily life even when the paternal principle is
the basis. Even though the Jeju dialects, 'samchun(uncle)', 'asi(younger
brother)' and 'seongnim(older brother)' are the relative names representingmen, they are also commonly used for women, so that it is not limited by
'sex'.
Moreover, some of the words among relative names of the Jeju dialects could
be a lot used for 'ordinary person' exceeding the range of 'relative' due to the
expansion of functions of meaning. Of course, it also has the standard language
such as 'grandfather', 'grandmother', 'aunt', 'uncle' and 'younger brother'.
However, it is unique that the Jeju dialects, 'samchun', 'seongnim' and 'asi' are
actively used between women.
On top of the expanded range of meanings of such relative words, the humble
names are frequently used in the relative names of the Jeju dialects. Even
when the person's generation in the family tree is higher than the speaker, the
humble words such as 'ajibang', 'ajimang', 'samchun' and 'orabang' are
commonly used.
Since they are not limited by 'sex' and 'generation in the family tree', there
are lots of relative names of the Jeju dialects used for overlapping cases even
when they belong to different family lines. For example, 'ajubang', the name of
a collateral line, used by female speakers is also used for the brothers of
husband in the same way. Contrary to 'doryeonnim' and 'ajubeonim' sticking to
formality in the standard language, the Jeju dialects indicate them with names
or humble names.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s and the
relatives is very close as a lot of families are living together in a region of
Jeju, they are comfortably used with no division of family lines.
In order to prevent the confusion over who is called or indicated by
duplicated words in several family composition, Jeju people are naturally using
the 'name of household' or 'name' in front of the relative names such as 'Hagui
seongnim' and 'Myeonghee samchun' for the convenience of conversation.
The relative names of the Jeju dialects have not much limitations on the use
of meanings. In the aspect of word forms, moreover, a lot of relative words
still show the trace of middle Korean, which has the excellent linguistic value.When the use of the standard language is expanded, in this aspect,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rd the Jeju dialects in a book and also inform the academic
value before they disappear.
This study aimed to not only reveal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Jeju
dialects, but also emphasize the value of preservation through relative names
mostly used in daily life of Jeju.
Author(s)
박민경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23
Alternative Author(s)
Park, Min kyou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3
1.3. 연구 방법과 범위 5
2. 제주 방언의 친척 명칭 체계와 분류 7
2.1. 直系 9
2.1.1. 부계혈족 9
2.1.2. 모계혈족 14
2.2. 傍系 15
2.2.1. 형제 19
2.2.2. 방계존속 21
2.2.3. 방계비속 22
2.3. 姻戚 24
2.3.1. 시가 24
2.3.2. 처가 27
3. 분류에 따른 국어학적 고찰 31
3.1. 直系관련 명칭 31
3.2. 傍系관련 명칭 40
3.3. 姻戚관련 명칭 56
4. 결론 59
63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민경. (2015). 제주 방언의 친척 명칭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