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의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s of Youths' Money Attitude on Their Consumption Behaviors :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t-time job experience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경험
실태,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에 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
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으로, 비합리적 소비성향을 감소시키고 합리적인 소비성향
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
로 실시하였고, 설문지 700부를 배부하였으며, 634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과 기술통계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으며, 요인분석과 신
뢰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쉐페의 다중범위검정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르바이트 실태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의 52.5%가, 대학생의 90.1%가
아르바이트를 경험하였다. 소득에 대한 사용처는 고등학생이 옷, 신발 등 패션비
용에 사용하는 경우가 37.6%로 가장 많았고, 대학생은 학비나 생활비에 사용하
는 경우가 37.9%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도 시작동기, 주된 근무시기, 주중 근무
일수, 일간 근무시간, 월 평균소득, 처음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나이 등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실태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화폐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
학교 급별, 고등학교-학년, 거주형태, 경제적 형편,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소득사
용처, 일간근무시간, 월평균소득, 처음으로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나이에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소비행태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
학교 급별, 학년, 가족형태,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시작동기, 소득사용처에서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교 급별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고등학
생과 대학생 모두 소비행태의 하위요인별로 화폐태도의 하위요인이 대부분 정(+)
의 영향을 미쳤고, 일부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관계는 고등학생과 대학
생 집단 간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별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
한 결과 소비행태의 하위요인별로 화폐태도의 하위요인이 대부분 정(+)의 영향을
미쳤고, '경험 유' 집단에서만 일부가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관계는 '경험
유'와 '경험 무'의 집단 간 다르게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 급별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은 매개효
과가 있을 것인가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은 화폐태도와 소
비행태와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화폐태도의 하위요
인 중 미래안정의 도구와 소비행태와의 관계에서는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은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와
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장차 주된 소비자로서 현명한 소비생
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합리적인 소비성향을 증가시키는 방안들을 모색하
였다. 비합리적 소비를 지양하고, 합리적 소비를 지향함으로써 똑똑한 소비자, 현
명한 소비자, 합리적 소비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향상된 재화와
서비스 즉, 향상된 복지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행
복을 추구하게 되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money attitude
on consumption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t-time
job experiences on the relation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by looking at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part-time job
experiences,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in Jeju Island.
Ultimate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seek ways to reduce irra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to increase rational propensity to consume.
A survey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Jeju Island by distributing 700 questionnaires.
634 of thos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0. Wit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in results of the abov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reality of part-time job experiences showed that
52.5%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90.1%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d
part-time job experiences. In addition to this, the high school and the
university student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reality of their part-time job
experiences in many other factors including the motive for starting part-time
jobs, income usage, main working time, the number of working days in a
week, working hours in a day,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age at
which they had the first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whether socio-demographic factors
would make a difference to money attitude display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ender, school level, the grade in high school, the
type of residence, economic situations, part-time job experiences, the usage of
earnings, working hours in a day,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age at
which they had the first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whether socio-demographic factors
would make a difference to consumption behavior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school level, the grade, the type of family,
part-time job experiences, the motive for starting part-time jobs, and the
usage of earnings.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by school level exhibited that most
sub-factors of money attitude had positive effects on each sub-factor of
consumption behaviors in both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A few
sub-factors had negative effects and the patterns of the relationship were
different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link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depending on part-time job experiences showed thatmost sub-factors of money attitude had positive effects on each sub-factor of
consumption behaviors and some of the sub-factors had negative effects only
in the group of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The
relationship displayed different patterns between the groups who 'had' and
'did not have the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Six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if part-time job experiences would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by school level revealed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part-time job experience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ir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eans of future st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part-time
job experiences was not found. Meanwhil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of
working part-time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link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This study tried to find ways to help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increase their ra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so that they can lead a sensible
consumption life as main consumer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tried to do
so because students who abstain from irrational consumption and pursue
rational consumption can become smart, wise, and rational consumers and, as
a consequence, they can benefit from improved goods and services, in other
words, improved welfare services. Eventually, their ra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will become a driving force behind the pursuit of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Author(s)
김태한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31
Alternative Author(s)
Kim, Tae Han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Ⅱ. 이론적 배경 7
1. 아르바이트 7
2. 화폐태도 8
3. 소비행태 9
1) 정상소득에 의한 소비행태 이론 10
2) 소득 이외의 요인에 의한 소비행태 이론 10
3) 합리적 소비 11
4) 비합리적 소비 11
(1) 과시소비 13
(2) 충동소비 13
(3) 모방소비 13
4. 선행연구 고찰 14
1) 아르바이트의 선행연구 고찰 14
2) 화폐태도의 선행연구 고찰 15
3) 소비행태의 선행연구 고찰 15
Ⅲ. 연구방법 16
1. 연구문제 16
2. 연구모형 16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7
4. 측정도구 17
1) 사회인구학적 요인 18
2) 화폐태도 18
3) 소비행태 18
4)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18
(1) 화폐태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19
(2) 소비행태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21
5. 자료분석방법 22
Ⅳ. 분석결과 및 해석 2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4
1)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일반적 사항 24
2)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아르바이트 관련 사항 25
2.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전반적인 경향 28
1) 화폐태도의 전반적인 경향 28
2) 소비행태의 전반적인 경향 30
3.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화폐태도의 차이 32
1)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일반적 사항에 따른 화폐태도의 차이 32
2)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아르바이트 관련 사항에 따른 화폐태도의 차이 35
4.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소비행태의 차이 38
1)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일반적 사항에 따른 소비행태의 차이 38
2)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아르바이트 관련 사항에 따른 소비행태의 차이 40
5. 주요 변수간 상관관계분석 43
6. 학교 급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45
1) 학교 급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과시소비)에 미치는 영향 45
2) 학교 급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충동소비)에 미치는 영향 46
3) 학교 급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모방소비)에 미치는 영향 47
4) 학교 급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합리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48
7.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49
1)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과시소비)에 미치는 영향 49
2)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충동소비)에 미치는 영향 51
3)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모방소비)에 미치는 영향 52
4)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별 화폐태도가 소비행태(합리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53
8.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54
1) 화폐태도(인정받기위한 수단)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54
2) 화폐태도(성공의 상징)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56
3) 화폐태도(미래안정의 도구)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57
4) 화폐태도(감정충족의 도구)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58
5) 화폐태도(불안의 원천)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60
6) 화폐태도(인색과 불신)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61
Ⅴ. 결론 63
1. 요약 63
2. 논의 및 제언 66
참고문헌 70
부록 76
Abstract 8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김태한. (2015). 청소년의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