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NIE 활동과 아동의 창의력 신장에 관한 실행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Action Research on NIE Activities and Improvement in Creativity of Children
Abstract
제7차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 교육은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생중심 교육과정으로써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21세기는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부를 창출하는 사회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창의력을 가진 인재들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육현장은 교과특성에 맞게 교육내용과 방법에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요소들을 적용하고 실천해 나가고 있다.
신문은 언제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고 몇 년에 한 번 개정되는 교과서와는 다르게 생생한 사회문제를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선택하여 학습에 유용한 보조교재와 교수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또한 사진·광고 등의 창의적인 시각 자료가 풍부하고, 기사·운세표·TV편성표·일기예보·만화 등의 자료가 날마다 새롭게 올라오기 때문에 그 자료들을 재구성하고 활용한다면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하는데 효과적인 교육 재료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NIE 활동과 아동의 창의력 신장에 관한 실행연구를 하고자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NIE와 창의력 교육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둘째, NIE의 구성요소별 활동 방법을 제시하고, 교육과정에서 교과목 별 창의요소를 참고하여 NIE 학습 내용을 조직하고 셋째, NIE 학생중심 교수-학습 방법을 구성하기 위하여 NIE 교수·학습 형태와 Osborn의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을 참고하였으며 넷째, 초등 5-6학년 남·여학생 15명을 대상으로 2월 8일부터 4월 19일까지 8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활동지 내용, 교사의 관찰내용, 소감문, 인터뷰를 비교·분석하여 실행 연구를 실시한 결과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NIE를 배운 기간이 18개월 이상인 경우 창의력의 하위요소 4가지(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를 모두 충족하였고 어려운 문제일수록 흥미를 느꼈으며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끝까지 해결하려는 문제해결력이 강하게 드러났다. 또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두려워하지 않았고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
이처럼 NIE는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되지만,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교육과정 안에서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년에서 다음 학년으로 연계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연계 될 필요성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NIE 지도자와 학교, 지역사회의 꾸준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 NIE 활동이 학교교육 안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노력과 연구가 병행될 때 NIE 활동은 교육의 중요한 방법으로 정착되고 나아가 한국교육의 여러 가지 문제, 특히 창의력 신장 등에 관련된 것에 많은 실제적인 시사를 주고 학교 현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그렇게 될 때 여러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NIE 활동은 교육의 중요한 방법으로 정착될 것이다.
As can be seen from the goal of the seventh curricular revision, school education emphasizes creativity in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based on autonomy and originality. Since th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aims to generate wealth ba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creative individuals of talent with the objective of coping with such a social change. Accordingly, an attempt is being made to apply elements that can help cultivate creativity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n educational practice.
A newspaper can be used not only as a useful learning aid but also as a teaching material since it is highly accessible anytime, anywhere, may enable one to identify new social problems, unlike textbooks that are revised every several years, and gives diverse options of information. It is also full of creative visual materials, including photographs and advertisements, and has daily update of articles, fortunetelling tables, TV program plans, weather forecasts, and cartoons; therefore, the reconstruction and use of the materials is expected to give effective materials in creativity education.
To conduct action research on NIE activities and improvement in creativity of children, first,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NIE and creativity education; seco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IE activities using the components of NIE and improvement in creativity was suggested and the NIE learning contents for each of the components were organized with reference to the creative elements for each subject in the curriculum; third, an NIE research model was built with reference to the NIE teaching-learning types and Osborn's creativity development learning model to develop an NIE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fourth, 8 sessions of instruction were provided to 15 fifth- and sixth-graders, regardless of gender, from February 8 to April 19.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udents' worksheets, the teachers' observations, written impressions, and interview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chool year but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particular, those provided with NIE for at least 18 months met all of the four sub-factors of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got more interested in more difficult problems, and showed problem-solving ability to implement a given task perfectly. They didn't get afraid or ask for help when a problem was given.
NIE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improving creativity; however, it cannot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but needs to be implemented within a curriculum on a steady basis. It needs to be transferred not only between school years but also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level.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 plan to allow NIE leaders, schools, and communities to make steady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apply the NIE activities to school education.
Such efforts and research are expected to settle the NIE activities as an important type of education, give lots of practical suggestions concerning several matters in South Korean education,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improvement in creativity, and enable the activities to be used at school. Until then, the NIE activities are expected to be settled as an important type of education, despite several limitations.
Author(s)
김향란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46
Alternative Author(s)
Kim, Hyang Ran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2
3. 용어의 정의 2

Ⅱ. 이론적 배경 4
1. NIE의 이론과 발전 4
가. NIE 개념 4
나. NIE의 필요성 6
다. NIE 발전과 사례 7
2. 창의성의 이론과 하위요소 11
가. 창의성의 개념 11
나. 창의성의 하위요소 12
3. NIE 활동과 창의력의 관계 15
4. 교육과정 및 수업 모형 23
5. 선행연구 분석 32

Ⅲ. 연구 방법 36
1. 학습자 분석 36
2. 학습 내용 38
3. 학습 방법 39
4. 연구 모형 41

Ⅳ. NIE 활동과 창의력 신장의 실제 및 분석 42
1. 프로그램 실제 42
2. 프로그램 분석 82
Ⅴ. 결론 및 제언 89
1. 요약 89
2. 결론 93
3. 제언 95

참고문헌 97

ABSTRACT 100

부록 1. 소감문 10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향란. (2015). NIE 활동과 아동의 창의력 신장에 관한 실행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