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등산활동이 심리적 행복변인에 미치는 영향:활동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Mountain Climb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s: Mediating Effect of Activity Involvement
Abstract
본 연구는 등산활동과 생활만족,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등산활동
과 결과변인인 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자아실현감, 유능감, 몰입감, 쾌락적 즐거움)
간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
여 등산활동을 하는 278명을 대상으로 등산활동, 활동관여도, 생활만족 및 심리적
행복에 대한 설문조사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위하
여 SPSS 18.0, SPSS Macro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
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분석 결과, 등산활동은 활동관여도, 생활만족, 자아실현감, 유능감, 몰
입감, 쾌락적 즐거움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활동관여도는 생활만족, 자아실현감, 유능감, 몰입감, 쾌락적 즐거움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
다.
둘째, 등산활동과 생활만족, 심리적 행복(자아실현감, 유능감, 몰입감, 쾌락적 즐거
움) 간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위계적 회귀분석에 대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1) 등산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2) 등산활동과 자아실현감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3) 등산활동과 유능감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4) 등산활동과 몰입감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5) 등산활동과 쾌락적 즐거움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
climb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s(i.e., life satisfaction, feeling of
self-realization, sense of competence, sense of flow, and hedonic
enjoyment)among mountain climbing participants, an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are mediated by activity involvement. Participants were 278
mountain climbing and parasitic volcanos climbing society club members.
Participants completed climbing activity, activity involvement scale, and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8.0, SPSS
Process Macro statistical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mountain climb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activity involvement, life satisfaction, feeling of self-realization,
sense of competence, sense of flow, and hedonic enjoyment, And activity
involve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eeling of self-realization, sense of
competence, sense of flow, hedonic enjoyment. Secon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climbing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s(life satisfaction, self- realization, competence, sense of
flow, hedonic enjoyment,) we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 climbing and life satisfaction
was fully mediated by activity involvement
2) The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 climbing and feeling of
self-realization was fully mediated by activity involvement.
3) The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 climbing and sense of
competence was fully mediated by activity involvement.
4) The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 climbing and sense of flow was
fully mediated by activity involvement.
5) The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 climbing and hedonic enjoyment
was fully mediated by activity involvement.
Author(s)
정상수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58
Alternative Author(s)
Jung, Sang Soo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가설 6
4.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등산활동 9
2. 활동관여도의 이해 11
1) 활동관여도의 개념 11
2) 활동관여도의 수준과 측정 13
3. 심리적 행복 14
1)심리적 행복의 개념 14
2)심리적 행복의 구성요소 18
4. 선행연구의 고찰 19
1) 등산활동 19
2) 활동관여도 21
3) 심리적 행복 22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측정도구 26
1) 등산활동 27
2) 활동관여도 27
3) 심리적 행복변인 28
3. 연구절차 30
4. 자료 분석 및 처리 30
IV. 연구결과 32
1. 변인들의 기술통계량과 상관관계 분석 32
2. 가설 검증 33
1) 가설 1 : 등산활동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33
2) 가설 2 : 등산활동과 자아실현감 간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35
3) 가설 3 : 등산활동과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37
4) 가설 4 : 등산활동과 몰입감 간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38
5) 가설 5 : 등산활동과 쾌락적 즐거움 간의 관계에서 활동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40
V. 논 의 42
VI. 결 론 48
참고 문헌 49
부 록 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정상수. (2015). 등산활동이 심리적 행복변인에 미치는 영향:활동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