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바디스원형의 설계 및 착의평가 개선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Basic Pattern Design and Wearing Test Improvement : Based on Analysis of Somatotype for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Abstract
최근 20대와 30대 여성의 체형은 성형수술과 서구화된 식습관 문화, 늦은 결혼
과 출산, 다이어트와 체형관리 등의 사회적 분위기, 다운에이징의 패션시장의 흐
름으로 인해 20대와 30대의 여성의 체형 변화와 구분이 모호해졌고, 이에 따라
20대와 30대 여성 모두 잘 맞는 원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30대 여성을 위한 바디스 원형의 제도법을 제시하고, 그것
을 평가하는 방법을 새롭게 모색하고자하였다. 착의평가 외에 원형의 각 부위의
길이, 둘레, 각도 등의 치수와 신체치수와의 차이를 통해 정확도를 평가하는 방
법을 제시하여 기존의 착의평가방법을 개선하고 다양화하는 데 있다.
원형 개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시중에 판매되는 옷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하여 불만족도와 불편정도 등을 파악하고, 원형설계를 위해 제6차 한국인 인체치
수 조사 사업 보고서의 데이터를 활용해 20~30대 여성의 체형을 분석하였다. 원
형설계의 대표항목 선정을 위해서는 상관관계분석과 Steiger's Z test를 실시하였
고, 회귀식을 산출하여 원형설계 시 참고하였다. 연구에서 제시한 원형의 각 부
위별 치수 측정 도구에 의한 평가 방법과 착의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3종의 다른
원형과 비교하면서 연구원형을 검증하였다. 통계적으로 집단 간 차이 검증 시에
는 Effect Size인 η2, d, Cramer's V를 산출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매자의 구매실태 및 착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불만족 제품(브랜드)의
이유에 대해서는 사이즈가 59.7%로 가장 많았고, 수선경험은 블라우스가 21.5%,
재킷이 34%이며, 수선하고 싶은 부위는 모든 부위에서 줄이거나 늘리고 싶은 것
으로 나타났다. 브래지어 컵크기, BMI, 젖가슴둘레의 집단 간에 상의 불만족도와
불편정도를 조사한 결과, 불편정도에서는 목, 진동, 겨드랑앞벽사이길이, 젖가슴
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어깨사이길이, 위팔둘레, 소매밑단둘레 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불만족도에서는 젖가슴둘레에 옷을 맞춰 입으면 다른 부
위가 맞지 않는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로 컵크기가 크거나, 비만일수록, 젖가슴둘레가 클수록 불편과 불만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의 ES인
η2는 0.04~0.12, 불편정도의 η2는 0.04~0.24로 중간이상의 크기를 보였다.
둘째, 20~30대의 체형구성인자와 유형화 결과, 체형구성인자는 몸통의 크기
및 굵기. 젖가슴의 처진 정도, 허리의 잘록한 정도, 상반신 몸통 크기 및 젖힌 정
도, 목밑둘레 크기 및 겨드랑둘레 크기와 형태, 어깨의 좁음에 따른 솟은 정도,
젖가슴부위의 몸통 굵기 및 어깨 크기, 젖가슴 크기 및 돌출 정도, 상반신 몸통
짧은 정도, 어깨 부위 젖힌 정도 총 10개의 인자가 추출되었고, 6개의 체형으로
유형화되었다. 6개의 체형 집단 간 요인점수의 차이를 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ES인 η2 0.16~0.27
로 매우 큰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차이를 보이는 집단 간 Cohen의 d는
최소 0.2이상으로 실제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원형 설계를 위해 유형별로 대표항목을 선정한 결과, 목옆젖꼭지허리둘
레선길이, 등길이,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어깨가쪽사이길이 6개의 항목
이 선정되었다.
넷째, 원형 설계 결과, 가로폭은 앞길은 B/4+B/40, 뒷길은 C/4+B/50이며, 겨드
랑앞벽사이길이/2는 어깨가쪽사이길이*0.3+C/15, 겨드랑뒤벽사이길이는 어깨가쪽
사이길이*0.3+C/12이며, 목뒤너비는 C/20+3.2㎝, 목뒤높이는 목뒤너비/3 혹은 등
길이/16, 목앞너비는 목뒤너비-0.3㎝, 목앞깊이는 목앞너비+1㎝로 설정하였고, 어
깨각도는 60~70% 커버율로 설정하였다.
다섯째, 원형의 각 부위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는 도구는 엑셀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원형의 각 부위별 치수와 신체치수와 차이에
의한 평가결과, 어깨각도 커버율은 연구식 59~68%, J&K식 58~68%, N식 53~
66%, L식 52~64% 순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각 원형과 신체치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목밑둘레 항목에서는 J&K식 –16~6.4㎜, N식 –31.9~10.7㎜, L식 –13.
4~-5.2㎜ 연구식 –15.4~-6.2㎜로 L식과 연구식이 편차가 크지 않으면서 부족하
지 않았고, 진동둘레 항목에서는 J&K식 –18.9~-59.4㎜, N식 -15.2~-51.3㎜, L식
–38.9~–52.7㎜, 연구식 -17~-42.2㎜로 L식이 가장 편차 변동이 덜했고 연구식
이 2번째로 편차 변동이 덜했다. 어깨사이길이 항목에서는 연구식 3.5~-5.7㎜,
J&K식 23.2~-4.7㎜, N식 18.4~-10.4㎜로 연구식이 신체치수와 차가 가장 적었고, 겨드랑뒤벽사이길이 항목에서는 연구식은 3.2~–11.8㎜, L식은 11.9~-13.6㎜
J&K식과 N식은 –13.6~17.6㎜로 연구식이 신체치수와 차가 가장 적었고, 겨드랑
앞벽사이길이 항목에서도 연구식, L식순으로 나타났다. 착의평가 결과에서는 유
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에서 연구원형의 점수가 높았다.
이상으로 원형의 각 부위의 치수와 각도를 계산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신체치
수와 원형의 치수차이로 원형을 평가하는 방법을 통해 착의평가에 의한 원형평
가방법을 개선 및 다양화하고,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계한 연구원형은 각
유형의 신체치수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suggest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basic
pattern of bodies of females in their 20s or 30s and to explore a method for
evaluating it new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and diversify the
existing wearing test methods by presenting a method which evaluates
accuracy through differences among length, circumference, angle of each part
of basic pattern, and body size besides wearing tests.
For the feasibility of basic pattern development, we have found the degree
of dissatisfaction and inconvenience by implement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clothes sold in the market and have analyzed the body types of adult
females in their 20s or 30s by utilizing data from the sixth Korean body size
survey project report for basic pattern designs. For selecting representative
items of basic pattern designs, we have implemente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iger's Z test and have made reference in basic pattern designing by
calculating regression equation. We have verified study basic patterns by
comparing to three kinds of different basic patterns through the use of the
basic pattern evaluation method and wearing test method suggested in thestudy. During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mong groups, we have made
analysis by calculating Effect Size η2, d, and Cramer's V.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egree of dissatisfaction and inconvenience among
brassiere cup size, BMI, bust circumference group, and inconvenience on an
upper garment,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items of neck, armhole,
interscye front, bu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biacromion length, upper arm circumference, sleeve lower hem circumference,
etc. in the degree of dissatisfaction.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questionnaire that other parts do not fit if clothes are worn according to bust
circumference. It was mainly found that as cup size and bust circumference
got bigger, more inconvenience and dissatisfaction appeared. It showed size
bigger than the middle as η2 with the ES of dissatisfaction being 0.04-0.12
and η2 of the degree of inconvenience being 0.04-0.24.
Second, as a result of finding composition factors and forms of body types
of females in their 20s or 30s, a total of 10 factors were drawn out in body
type composition factors and they were: size and thickness of torso, sagging
level of breast, slender level of waist, upper half torso size and level of lean
back, neck base circumference size and armscye circumference size and form,
level of lift-up according to narrowness of shoulder, torso thickness in bust
area and shoulder size, breast size and protruding level, level of shortness of
upper half torso, and level of lean back of shoulder part; also, a total of six
body types were classified. As a result of implementing One-Way ANOVA
for finding out the differences of factor scores among six body type group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items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with η2 0.16-0.27 of ES. In post verification result, meaningful result is
shown actually with a minimum of over 0.2 of d which is Cohen between
groups showing differences.
Third, as a result of selecting representative items per type for basicpattern designs, a total of six items of neck point to breast point to waistline,
waist back length, chest circumference, bu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d posterior shoulder length were found.
Fourth, in the result of basic pattern designs, we have set front bodice as
B/4+B/40, back bodice as C/4+B/50, interscye front/2 as posterior shoulder
length * 0.3+C/15, interscye back (as posterior shoulder length)*0.3+C/12,
width of rear of neck as C/20+3.2㎝, rear neck height as rear neck width/3 or
back length/16, width of front of neck as rear neck width -0.3㎝, depth of
front of neck as width of front of neck +1㎝, and shoulder angle as 60-70%
cover rate.
Fifth, we have produced a device measuring the length and angle of each
part of basic patterns by using Excel program and as a result of evaluation
per difference between size per part and body sizes of basic pattern using
this, shoulder angle cover rate was J&K equation 58-68%, N equation
53-66%, L equation 52-64%, and study equation 59-68% and this appeared in
sequences of study equation, J&K equation, N equation and L equation. In the
item of neck base circumference, it was J&K equation (-16)-6.4㎜, N equation
(-31.9)-10.7㎜, L equation (-13.4)-(-5.2) ㎜, and study equation (-15.4)-(-6.2)
㎜ and it was found that L equation and study equation covered all types. In
the item of armscye circumference, J&K equation was (-59.4)-(-18.9)㎜, N
equation (-51.3)-(-15.2)㎜, L equation (-52.7)-(38.9)㎜, and study equation
(-42.2)-(-17)㎜, with L equation being the least in change and study equation
being second. In the item of biacromion length, J&K equation was (-4.7)-23.2
㎜, N equation (-10.4)-18.4㎜, and study equation (-5.7)-3.5㎜, with the study
equation having the smallest difference with body size. Finally, in the item of
interscye back, it was J&K equation and N equation (-13.6)-17.6㎜, L
equation (-13)-11.9㎜, and study equation (-11.8)-2.2㎜, with study equation
showing the smallest difference with body size. The item of interscye front
was found in sequences of study equation and L equation. In wearing test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core of study basic pattern was high in items
showing meaningful differences.
In summary,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meaningfulness between this
study's basic pattern and basic pattern evaluation method.
Author(s)
홍지운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65
Alternative Author(s)
Hong, Ji Un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배경 1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4
II. 이론적 배경 6
1. 20~30대 여성의 체형분석 연구 6
1) 20~30대 여성 체형 특징 요소의 과거와 현재 6
2) Rasband 에 의한 20~30대 여성 체형 분류 9
3) 20~30대 여성의 체형분류 선행 연구 12
2. 20~30대 여성 원형 연구 20
1) 의복 원형의 정의 및 종류 20
2) 원형 설계를 위한 요건 21
3) 길원형 선행연구 24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28
1. 20~30대 여성의 시판 의류에 대한 구매 및 착용실태, 착용감 조사 28
1) 조사대상 28
2) 조사기간 및 장소 28
3) 조사방법 및 측정도구 29
4) 자료 분석방법 31
2. 20~30대 여성 체형 분석 방법 32
1) 체형분석 및 체형구성인자 파악을 위한 신체치수 및 지수 항목 선정 32
2) 자료 수집방법 32
3) 자료 분석방법 32
3. 연구원형 설계 방법 35
1) 원형설계를 위한 대표항목 선정 35
2) 원형설계방법 36
4. 착의평가 개선을 원형평가 방법 제시 및 착의평가 36
1) 원형평가를 위한 도구 제시 및 평가 36
2) 착의평가 37
3) 자료 분석 방법 39
5. 자료분석방법 도구 39
IV. 연구결과 및 고찰 40
1. 20~30대 여성의 시판 의류에 대한 구매 및 착용 실태, 착용감 분석 결과 40
1) 신체치수 분류 및 구매 및 착용실태 현황조사 40
2) 블라우스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 차이 검증 48
3) 재킷 착용 시 신체 부위별 불편정도 차이 검증 55
4) 블라우스, 재킷 등 상의 구매 착용 시 불만족도 차이 검증 61
5) 시판 의류의 개선사항 차이 검증 71
2. 20~30대 여성 신체치수 비교 분석 결과 75
1) 어깨 경사 항목 75
2) 키와 몸무게 75
3) 높이 항목 76
4) 너비 항목 77
5) 두께 항목 77
6) 길이 항목 78
7) 둘레 항목 79
8) 지수 항목 80
3. 20~30대 여성 체형 구성 및 분류 결과 83
1) 체형 구성 요인 84
2) 체형분류 92
3) 유형별 체형 특성 93
4. 원형 설계를 위한 대표 항목 선정 및 산출식 109
1) 원형 설계를 위한 유형별 대표 항목 선정 109
2) 원형 설계의 참고를 위한 산출식 110
5. 연구원형 설계 111
1) 항목별 설계 111
2) 연구원형 제도방법 117
6. 원형평가 방법 제시 및 결과 121
1) 원형평가를 위한 길이, 각도 측정 도구 제시 121
2) 원형 비교 분석 결과 122
7. 착의평가 결과 131
1) 정면 133
2) 후면 134
3) 옆면과 전체 136
V. 결론 140
1. 연구목적 및 결과 요약 140
2. 연구의 의의 143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43
참고 문헌 144
부록 150
Abstract 213
감사의 글 217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홍지운. (2015). 바디스원형의 설계 및 착의평가 개선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