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 국어 교과서의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 Focusing on 2012 Revised Curriculum
Abstract
오늘날 매체의 발달은 다양하고 새로운 유형의 담화와 텍스트를 생산해내고 있
다. 이를 비판적,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더 나아가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언
어교육은 국어의 창의적 발전과 새로운 국어 문화 창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날로 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더해가는 매체언어교
육이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초등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매체언어교육의 특징을 도출하고 매체언어교육의 개선 방
향을 제언하고자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논의 과정을 살펴보면, Ⅰ장에서는 매체언어교육 수용의 필요성 및
수용 방안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국어과에서 매체언어교육을 수용함이
타당하다는 연구의 대전제를 도출하였으며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및 초등
국어 교과서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과 관련된 연구물이 없음을 통해 본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매체언어교육 분석을 위해 매체언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선 매체언어교육에서 핵심 개념인 매체와 매체
언어, 매체 텍스트의 개념 및 관계를 분명히 밝힘으로써 교과서매체언어교육 대
상의 범위를 규정하였다. 그리고 매체언어교육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인 '매체언어
에 대한 교육'과 '매체언어를 활용한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교과서 분석
시 준거로 삼았다. 교과서 분석의 마지막 준거인 매체언어교육 내용영역 설정은
데이비드 버킹엄의 '매체교육 영역'과 바잘제트의 '매체교육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국어교육의 특성과 초등학교 학생의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수업 속에서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따져 새롭게 설정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언어교육 양상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전 영역 실제 범주에 매체언어교육
관련 내용이 제시되고 있다는 점과 영역에 반영된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점은 적
극적으로 매체언어교육을 수용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었으
나 영역별로 매체언어교육 반영에 불균형이 커서 체계적인 구성에 있어 좀 더 보
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배경 고찰을 통해 마련한 매체언어교육의 대상, 관
점, 내용영역이라는 준거의 하위요소들을 활용하여 2009 개정 국어교과서에 반영
된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과서의 각 차시별 학습 주제를 살펴
보고 매체언어교육의 대상, 관점, 내용영역을 밝히고 이를 대상별, 관점별, 내용영
역별로 수치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매체언어교육이 점진적으로 자리를 잡
아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서 매체언어교육이 내실을 기하기 위
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시대적 언어 환경의 변화와 학습자의 수준, 매체와 매체언
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을 설정하고 주된 관점을 반영하며 내용영역을 조직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매체언어교육이 교육과정의 일정 영역에 편
중되어 반영되고 있는 점, 문법 영역에서는 매체언어교육과 관련된 성취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 매체관련 독립 단원에서의 내용 영역 설정과 조직에 체
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은 앞으로 매체언어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이
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Evolving media today produce diverse new types of discourses and
texts. Media language education enabling students to accept and thus
produce critical and creative discourses and texts can play pivotal roles
in cre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in creating a new
Korean language culture. Given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media
language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aspec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reflected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to elici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edia language education and further to make suggestions
for betterment.
Specifically, chapter Ⅰ reviews literature on the need for medialanguage education and how to accept it to derive the presumption that
Korean language arts should accept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Also,
given the absence of previous research on the aspects of elementary
media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he 2012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he chapter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and need for this
study.
Chapter Ⅱ analyzes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from multiple
perspectives first with theoretical rationale. The key concep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hat is, media, media language and media text, and
their relations are defined to delineate the targe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textbooks. Then, two perspective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 e. 'education about media language' and 'education using
media language', a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meanings, and taken as
the reference points for textbook analysis. As the last reference point
for analyzing textbooks, the content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is set
anew based on David Buckingham's 'media education areas' and
Bazalgette's 'analysis framework for media educ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elementary students'
intellectual levels and whether the content areas can be implemented in
class taken into consideration.
Chapter Ⅲ compares the 2007 with 2012 Revised Curriculums to
analyze the aspec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reflected in the latter.
That the content relevant to media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ly
presented in the practical categories of entire areas in the curriculum
could be rendered as a positive attitude toward accepting media
language education actively. Yet, in that media language education is
disproportionately reflected across the areas, more systematic
construction is needed.
Chapter Ⅳ draws on the sub-components of such reference points as
the targets, perspectives and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Ⅱ to analyze the
aspec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2012 revised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To be specific, the learning topic for each lesson oftextbooks is examined, and then the targets, perspectives and content
area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re identified and respectively
quantified for analysis.
The present findings show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gradually
settled in the 2012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pursue
substantive media language education by considering diverse aspects of
changing language environment over time, learners' levels, and nature of
media and media language in setting the targets, presenting the content,
reflecting primary perspectives and organizing the content areas. Still,
the disproportionate placement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each area
of the curriculum, the absence of performance criteria relevant to media
language education in the area of grammar, and the need for systematic
setting and organization of content areas in the independent
media-related units warrant further studies delving into solutions for
future media language education.
Author(s)
문희정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75
Alternative Author(s)
Moon, Hee Ju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 연구 고찰 2
3. 연구 내용 및 방법 9
4. 연구의 제한점 11
Ⅱ. 매체언어교육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고찰 12
1. 매체와 매체언어교육의 개념 12
2. 매체언어교육의 관점 23
3. 매체언어교육의 내용 영역 26
Ⅲ. 2012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 32
1. 내용체계에 반영된 매체언어교육 양상 32
2. 성취기준에 반영된 매체언어교육 양상 39
3. 국어 자료의 예에 반영된 매체언어교육 양상 48
Ⅳ.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 52
1. 분석의 준거 설정 52
2. 국어 교과성에 반영된 학년별 매체언어교육 양상 53
Ⅴ. 결론 및 제언 86
참고 문헌 93
ABSTRACT 9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문희정. (2015). 초등 국어 교과서의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