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 국어 교과서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수업 실행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Teaching Practice of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bstract
학교 현장에서 국어 교육의 기준을 제시하고 견인하는 역할을 하는 국어 교과서
는 교수·학습 자료 그 이상의 의미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2009 개
정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인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
고, 이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행을 분석하여 국어 교과서에 구현된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개선 방안과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은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으로 학습 간의 위계적 구성을 통한 학습 활동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고자 마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4차 교육과정기 이후 현재에 이
르기까지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의 통시적 고찰을 통해 단원 학습 활동으로서의 이
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설정 취지를 살펴보고,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과
거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 및 교육학자들의 이해에 대한 확장된 개념 정의를 통해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해 학습과 적용 학
습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분석 및 책임이양모형에 근거한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과
교사의 수업 실행 측면에서 수업 실행을 분석하였다.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로
는 현장 교사 대부분이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인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실제 수업 실행에 있어서는 교과서 학습량 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 학년 수준에 맞지 않는 제재 글의 어려움, 이해 학습 차시의 학습 안내 자료
부족, 적용 학습의 시간 부족 등 교과서와 관련된 내용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어려
움에 봉착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수업 실행 분석 결과로는 먼저,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에서 보이는 학습자의 인
지적 측면은 학습의 성격보다는 교사의 수업 방식에 따라 복합적으로 드러났으며,
교사와 학습자의 참여 양상에 따른 교수·학습 현상 또한 한 차시 내에서 복합적으
로 드러나,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 모두 공통적으로 'Ⅰ구역(교사주도)→ Ⅱ구역
(교사·학생 공동참여)→ Ⅳ구역(학생주도)' 의 학습 현상을 띠게 됨을 알 수 있었
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인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
이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무리 없이 적용되고 실천되어 국어 수업의 질 개선에
기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이해 학습의 교과서 제재 글의 난이도 조절 및 이해 학습을 돕기 위한 풍
부한 자료의 제공과 둘째, 적용 학습의 시간 증배와 학습량 조정, 마지막으로 단원
전개 방식에 있어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일관성 탈피이다. 현 국어 교과서의
'이해 학습→적용 학습'의 천편일률적인 단원 전개가 아닌 학년 수준 및 언어 기능
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이해 학습→이해 중심 적용 학습' 또는 '적용 학습→실천 학
습'의 다양한 단원 전개 구성 방식을 택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국어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n language textbooks present the standard for and tow school-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ming a significant part beyo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present study conceptualizes and characterizes the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which are part of the unit development in the
2009 revi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analyzes teachers'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s in class with intent to shed light on some
options conducive to improving the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o seek for implications.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are part of the unit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ill today,
intended to pursue balance and harmony in learning activities via a hierarchical
construction of learning.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diachronically
considers the unit 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ill the present
from the 4th curriculum period to elucidate the intention for setting up the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as the unit learning activities, and
conceptualizes the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in learning
focusing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view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pedagogists' extended definitions of such concepts.
Furthermore, teachers' perception of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is surveyed and analyzed. Notably, based on the responsibility transfer model,
the aspects of learners' cognition and teachers' implementation in class are
analyzed.
As for the survey and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of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most teachers perceive the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as the unit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ut
have difficulties in class in relation to textbooks due to excessive amount of
learning and thus lack of time, material writings beyond grade level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following lessons in the comprehension part of learning,
and lack of time for application in learning.
As for the analysis of implementation in class, first, learners' complex
cognitive aspects of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depends on not
the nature of learning but teaching methods. Also, complex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found in line with teachers' and learners' participation. Thus,
both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in learning is characterized by
'section Ⅰ (driven by teachers)→ section Ⅱ(joint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section Ⅳ(driven by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options that should
help both teachers and learners to seamlessly accept and implement the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developed in the uni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us contribute to qualitatively improve Korean
language lessons.
First, the difficulties of passages for understanding learning in textbooks
should be adjusted whilst abundant materials should be offered to help
comprehension. Second, the time for applied learning should be increased
whilst the amount of learning should be adjusted. Finally, in terms of
developing units, the uniformity of understanding learning and applied learning
should be reconsidered. In lieu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uniform development of units, viz. 'understanding learning → applied learning',
grade levels and difficulties of language skill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opt for diverse unit development approaches, e.g. 'understanding learning→
understanding learning-based application' or 'applied learning→implementation',
which will guarantee more efficient Koran language arts lessons.
Author(s)
장혜순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77
Alternative Author(s)
Jang, Hye Su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2
가.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관련 연구 3
나.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 관련 연구 5
3. 연구 내용 및 제한점 7
Ⅱ.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이해 9
1. 국어 교과서 단원 전개 방식의 통시적 고찰 9
2.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이해 24
가. 교육과정 내에서의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개념 25
나.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개념 및 의의 27
3.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특징 31
가.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에서의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 34
나. 교사의 수업 실행 측면에서의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 39
Ⅲ. 연구 방법 46
1. 연구 대상 및 절차 46
가. 연구 대상 교사 및 절차 46
나. 연구 대상 단원 48
2. 분석 기준 51
가.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교사 인식 조사 기준 51
나.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수업 실행 분석 기준 52
Ⅳ.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수업 실행 분석 및 시사점 54
1. 교사 인식 분석 결과 54
가. 2009 개정 국어 교과서의 단원전개방식에 대한 인식 56
나.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 57
2. 수업 사례 분석 결과 62
가.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 62
나. 교사의 수업 실행 측면 69
3. 시사점 81
Ⅴ. 결론 83
참고문헌 87
ABSTRACT 89
부록 9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장혜순. (2015). 초등 국어 교과서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의 수업 실행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