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디자인 영역 비교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ign Area in Art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 Focused on 3rd and 4th in Elementary School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다양한 시각적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우리가 접하는 모
든 시각적 환경은 디자인과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우리와 밀접하
게 관련되어 있는 디자인에 관한 교육은 어릴 때부터 이루어져야 하지만 현재
초등학교에서 디자인 교육을 제대로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학교 현장에서의
디자인 교육의 실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부분은 미술 교육의 지
침이 되는 미술 교과서의 분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 영역을 3·4학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 5종의 미술 교과서를 선정하
여 크게 외적 체제와 내용 체제로 분석 기준을 세운 후 실제적인 분석에 들어
갔다. 외적 체제에서는 집필진 전공 및 직업과 디자인 영역이 배정된 페이지 수
를 분석하였으며, 내용 체제에서는 디자인 관련 단원의 내용 체계와 디자인 영
역별 비중 그리고 디자인 관련 단원 참고자료를 분석하였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출판사별 교과서 집필자의 전공을 살펴본 결과 모든 출판사에서 미술교
육 전공 집필자가 회화나 공예, 디자인, 조소 전공의 집필자보다 많았다.
둘째, 모든 출판사의 미술 교과서 내의 디자인 영역 비중은 30% 이상으로 비
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모든 출판사의 교과서 모두 비교적 많은 단원에서 다양한 주제와 목표로
디자인 관련 요소들을 다루고 있었다. 디자인 영역별 비중을 살펴보았을 때에는
제품 디자인, 시각 디자인의 영역을 주로 많이 다루고 있었다.
넷째, 미술 교과서 내의 디자인 관련 단원 참고자료를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
의 출판사가 학생 작품의 비중과 포스터, 시설물, 제품 등의 기타 작품의 비중
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 있어 미술 교과서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다양한 전공과 직업의 집필진이 교과서 편찬에 기여할 필요가 있겠
다. 특히 미술교육 전공뿐만 아니라 디자인 관련 전공자나 전문가가 교과서 편
찬에 기여한다면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디자인 교육을 위한 교과서가 나올
것이다.
둘째,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기초 디자인의 비중을 비중 있게 다
룰 필요가 있겠다. 기초 디자인 교육이 탄탄히 된다면 학생들이 보다 흥미롭게
디자인 수업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미술 교과서 내 디자인 관련 작품이 조금 더 다양해지면 좋을 것이다.
미술 교과서에서 학생 작품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대한 안목을 높이고 폭넓은
디자인 경험을 위한 다양한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제시하면 학생들에게 보
다 질 높은 디자인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앞으로도 초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디자인 교육을 위한 방안들이 다양한 연구
를 통하여 나와야 할 것이고, 특히 초등학교 현장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교과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한다.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e are exposed to various visual environments.
All the visual environments we face are related to design. Design education so
closely related to us should be done from childhood but it's hard for current
elementary schools to provide proper design education. What needs to be
previously studied to find out the situation of design education at school is to
analyze the art textbooks giving instructions on art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design ares of the year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centering those for 3rd/4th graders.
For such analysis, the year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a and theoreticalbackground of design were first looked into and then the foregoing studies
were comparatively studied. A total of five kinds of art textbooks were
selected, their analysis criteria were set as their exterior system and
content-wise system and actual analysis was done. In relation to their exterior
system, writers' major and occupation and the number of pages where the
design area is allocated were analyzed and in relation to their content-wise
system, contents on design-handling lessons, by-section ratio of design and
design-related reference materials were analyzed.
It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results of looking into by-publisher writers' major showed that in all
the publishers are more writers with art major than those with painting, crafts
and sculpture major.
Second, the ratio of design area in all the art textbooks by all the publishers
is relatively high; more than 30%.
Third, relatively many lessons of all the art textbooks handle design-related
contents with diverse subjects and goals. Looked into to see which part of
design they have, they mostly handles product design and visual design.
Fourth, a look into reference materials related to design in the textbooks
showed that most of the publishers have high ratio of other works including
those by students, posters, facilities, products and etc.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on the direction in
which elementary school design education should go on;
First, it's necessary for those with more diverse majors and occupations to
contribute to compiling art textbooks. Especially, if not just those with art
majors but also with design-related majors and/or experts in design contribute
to compiling them, we will see textbooks for more systematic,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Second, basic design that is basic to design education should be more
handled. Once the basic design education is solidly done, students will be ableto join design classes with more interest.
Third, it'll be better to have more diverse design-related works in art
textbooks. Not only works by students but diverse ones made domestically
and overseas will help student learn design so that students may have a wide
range of design experiences and broaden their eye for design.
It's expected that more future studies on effectively teaching design to
elementary schoolers will be made and especially, textbooks fi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keep being developed.
Author(s)
고상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78
Alternative Author(s)
Koh, Sang Ah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3. 선행 연구 분석 2
Ⅱ. 이론적 배경 4
1.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이해 4
가.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4
나.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 5
다.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5
2. 디자인의 이해 7
가. 디자인의 개념 7
나. 디자인의 영역 7
다. 디자인의 조건 9
라.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 10
Ⅲ.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디자인 영역 비교 분석 12
1. 분석 기준 12
2. 외적 체제 분석 12
가. 집필진 전공 및 직업 분석 12
나. 페이지 수 분석 14
3. 내용 체제 분석 16
가. 디자인 관련 단원 내용 체계 분석 16
나. 디자인 영역별 비중 분석 29
다. 디자인 관련 단원 참고자료 분석 38
Ⅳ. 결론 4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상아.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디자인 영역 비교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Art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