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요소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ultural Content in 5th- and 6th-Grade English Textbooks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bstract
본 연구는 영어가 국제어로서 다양한 국적을 가진 사람들의 의사소통의 수
단이 되고 있는 현실 속에 등학교 영어과 검정 교과서 및 지도서의 문화 내
용과 지도방법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2015학년도부터 처음 사용되고 있
는 5∼6학년 영어과 검정 교과서 총 5종에 제시된 문화 내용을 문화 소재,
유형, 배경별로 분석하였고 문화코너 외의 언어 활동에서 문화 내용이 통합
되어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 학생들의 문화 내용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내용에 대한 소재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직접적인 문화 소재
인 7, 8, 9, 10번의 비율이 최저 30.8%에서 최고 56.6%로 직접적인 문화 소
재들이 다른 소재들에 비해 대체적으로 많이 다루고 있다. 반면 일부 교과서
에서는 간접적인 문화 소재인 18번인 일반 교양을 높이는 내용, 19번인 학문
적 소양을 기를 수 있는 소재를 비교적 많이 다뤘다는 점이 주목된다. 전반
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따른 교과서들은 영미권 문화의 소재에서 벗
어나 다양한 문화를 지도하면서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소재들로
바람직하게 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문화 내용의 유형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5종 교과서 모두 산물이 가장 높
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두 번째로는 관습의 비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동체, 인물 순이었으나 관점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 개정교육과정 목표의 하
나인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측면을 강조한다면, 다른 나라의 생활방
식이나 관습, 가치관, 신념 등과 같은 관점을 잘 이해해야 하므로 관습 및
관점의 비중이 높아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관점의 내용을 포함시킬
수 있는 지도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문화 내용의 배경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영어가 외국어인 확대
되는 원에 포함된 나라의 비율이 60% 이상으로 높았고, 영어가 모국어인 내부
원, 영어가 공용어인 바깥 원의 순서로 나타났다. 대륙별로 보았을 때 아프리카
와 남아메리카, 남극 및 북극 지역의 문화 비중은 미비하므로 대륙별로 균형있
게 제시해야한다.
둘째, 문화 내용 지도방법을 살펴보면, 5종 교과서에 제시된 단원별 지도 절차
는 비슷하였으며 지도방법도 문화 발견 기법, 동영상 시청, 자기 문화와 비교,
문화의 섬 환상체험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지도방법이 교사가
제시한 사진이나 그림 보며 예상하기, 동영상 보기, 인터넷 등을 활용한 검
색의 방법에 치중하였다. 학생들이 목표문화 국가 출신 인물 초빙, 문화의
섬 환상체험 등과 같이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여 공감할 수 있는 지도방법의
비중을 높여서 학생들간 교류 활동 및 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문화의 내
용이 자연스럽게 이해되면서 의사소통능력도 신장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셋째, 5종 교과서에 제시한 문화코너 내에서 언어 활동과 문화 내용의 통합
정도는 낮게는 3.8%부터 높게는 100%까지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뿐
만 아니라 문화코너 외의 언어 활동과 문화 내용 통합 유무 분석 결과 B 교
과서를 제외한 나머지 교과서는 50% 이상 언어 활동 속에 문화 내용이 담
겨져 제시되어 있다. 이는 언어 활동 속에 문화 내용이 통합되어 영어를 지도할
필요성을 말해주는 것으로써 언어 활동과 문화 내용이 융합되어 제시됨으로써 의
사소통능력 신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넷째, 학생들이 교과서에 제시된 문화 내용에 대한 선호도 및 의사소통능력 신장
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는 설문 결과이다. 학생들에게 문화 내용에 대한 선호도
및 문화내용이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대한 기여도를 살펴본 결과 50% 이상의 긍
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이는 학생들이 다른 나라 문화 내용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
이 높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활동에 반영된 문화 내용을 학습하며 의사소통능력
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ultural content in 5th and 6th grade
English textbooks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at we live in
the global village where English is an international language for people with
different nationalities and languages. The criteria for cultural content of the
English textbooks have been strengthened and specified as 19 components i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five textbooks recently approved were published
in 2015. Thus, the cultural contents of those five books should be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such as topics, Moran's 5 dimensions of culture(2001),
the ratio of different culture groups in terms of Kachru(1996),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culture and language activities, and finally the 5th and 6th
grade children's perception of the culture learning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ultural contents in those five books were analyzed in terms of
topics on one level, Of 19 themes listed, 7th, 8th, 9th, and 10th components
directly relating to culture accounted for 30.8% to 56.6%, comparatively
higher than the ratios of the other indirect topics. Noted was that some
author-groups spared more space on indirect cultural topics: for example, no.
18, which is about general education, and no. 19, which is about academic
knowledge. Overall, the five textbooks embraced various cultural topics to go
well with English language learning, as required by the 2009 curriculum.
Cultural contents in the culture corners, on the next level, were classified
in terms of Moran's five cultural dimensions: Cultural products, cultural
practices, cultural perspectives, cultural communities, and cultural persons.
All the five books highly focused on the products, though the communities
and the persons were not excluded, but there were almost no perspectives.
To improve students' culture learning, they should understand different
practices such as lifestyles and behavioral patterns, and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values and beliefs of various cultures. So, more concerns should be
given on practices and perspectives, and we want to say that they need
more perspectives added.
The cultural content in culture corners, on the third level, was analyzed by
their linguistic background—three types of circles such as inner, outer, and
expanding circles. The ratio of the countries in the expanding circle reached
over 60% and next that of the inner circle and then, that of the outer one. Suchcontinents as Africa, South America, South and North Poles were ignored.
Secondly, the range of teaching methods for the cultural content in the culture
corners were studied. The five textbooks had similar teaching procedures in
each session. In terms of weight in the method, culture discovery technique was
given most weight, and the next ones were watching videos, comparison with
our culture, and fantasy experience of culture island in order. Most common
teaching methods were guessing by watching pictures and photos offered by
teachers, watching videos, and searching in the internet.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ability, it is necessary to apply teaching methods to make
students experience directly, such as inviting the figures from the target
cultures and cultural experience of fantasy island. This way we may find the
ways of helping students have more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take active
participation, cultural and, in turn,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irdly, we examined whether language activities were integrated with
cultural content in culture corner of these five books. We have found that
integration rate was between 3.8% and 100%, big differences. Also, we
added the results of whether such integration was made in the other parts
than in the culture corner. The other textbooks except for textbook B showed
more than 50% of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It is important to
teach cultural content while doing language activities. We can argue that
integration of language activity and culture will help children learn their
communication skills.
Fourthly, we finally surveyed whether students' perception of cultural content
might affect the improvement in their communicative ability. The schools using the
three textbooks showed over 50% of positive response on average. We could say
that they were highly interested in different cultures and such interests and
curiosities may lead to acquire cultural content through language activities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ve ability.
Author(s)
강순여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86
Alternative Author(s)
Kang, Sun Yeo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문제 3
2.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교과서의 영향력 4
2. 언어 교육과 문화 5
3. 선행연구 19
Ⅲ. 연구 방법 27
1. 연구 대상 27
2. 분석 기준 3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8
1. 문화지도 내용 분석 결과 38
2. 문화지도 방법 분석 결과 47
3. 언어 활동과 문화 내용의 통합 유무 분석 결과 49
4. 문화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결과 52
Ⅴ. 결론 및 제언 57
참고 문헌 1
ABSTRACT 1
부 록 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순여.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요소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