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다원주의 관점에서 살펴본 다문화 악곡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Analysis of Multicultural Music Pieces in view of Pluralism :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Grade 3∼6
Abstract
오늘날 우리는 21세기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다. 정보통신기술과 교통
의 발달은 전 세계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시켜 주었고, 민족과 국가 간의 지
식․문화의 교류가 활발해 짐에 따라 인종과 문화의 국경이 희미해졌다. 한국
사회 역시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이민자의 증가, 국제결혼의 증가 등으로 더
이상 '단일민족국가'가 아닌 다민족국가가 되었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이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는 자세가 불가피하
게 되었다. 즉 '다원주의'시대가 도래 하였으며,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다문화 교
육'이 교육과정에 반영되기 시작하였고,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악곡이 다문화주의를
이해하기에 타당한지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보완점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 음악 교과서의 전체 악곡
에서 다문화 악곡이 차지하는 비중을 우리나라 악곡과 서양 예술악곡의 비중과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다문화 악곡을 민족음악, 종교음악, 대중음악의 관점
에서 분석한 결과를 김은경(2014)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다문화 악곡의 학습 내용을 2009 개정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따라 표현, 감상, 생
활화로 분류하고 학습활동에 적용 방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09 개정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전체 악곡에서 우리나라 악곡은
64.7%, 서양 예술악곡은 20.5%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문화 악곡의 비
율은 14.8%를 차지하고 있다. 학년별, 출판사 별로 조금의 차이는 있으나 공통점
은 다문화 악곡이 최대 20.0%로 20% 이하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족음악은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보다 다양한 국가의 악
곡이 수록되었고, 유럽과 아시아 악곡의 비중이 늘어났으며, 출신지가 불분명한
외국곡의 비중이 14.1%에서 6.3%로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북
유럽의 곡은 수록되고 있지 않으며, 유럽 전체 악곡의 37.0%가 독일의 음악이라
는 것은 여전한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셋째, 종교음악은 2007 개정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종교 음악의 분포와 비
교했을 때, 3∼4학년에서는 수록되지 않고 5∼6학년에만 수록되었던 종교음악이
2009 개정 초등 음악 교과서에는 3∼4학년까지 확대되었고, 유교가 36.4%, 무속종
교가 27.3%, 불교가 22.7%, 기독교가 13.6%를 차지하였고, 이슬람교와 힌두교는
제시되지 않았다.
넷째, 대중음악은 2007 개정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의 장르별 분포
와 비교하였을 때, 3∼4학년에는 수록되지 않던 대중음악이 범위가 3∼6학년으로
확대되었고, 팝송, 캐롤, 뮤지컬, 영화음악에 한정적이던 장르가 대중가요, 랩, 팝
송, 캐롤, 뮤지컬, TV음악, 영화음악, 생활음악으로 다양해졌다. 영화음악은
56.1%, 뮤지컬과 팝송은 10.5%, 대중가요는 8.8%, TV음악이 7.0%, 캐롤이 3.5%,
랩과 생활음악이 1.8%를 차지하였다.
다섯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따라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으
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민족 음악으로 이루어진 다문화 악곡은 89.0%가 표현 영
역에, 10.5%가 감상 영역의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생활화에 해당하는 내용은
0.5%에 그쳤다. 종교음악으로 이루어진 다문화 악곡의 학습 내용은 81.9%가 감상영역에, 18.1%가 생활화 영역에 해당하고, 표현 영역은 단 한곡도 없다. 대중음악
으로 이루어진 다문화 악곡의 학습 내용은 67.1%가 표현 영역에, 18.8%가 감상
영역에, 14.1%가 생활화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변해가는 시대에 맞는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이 가능하도록
다문화 악곡을 보다 폭넓게 선정하여 특정 대륙과 국가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고,
다문화 악곡을 지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
된다.
Today, we are living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era.
A global network has generated through by develop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and the exchange of knowledge
and culture is actively being made. Korea is also changing as a multi-ethnic
society due several reasons: increasing foreign workers,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In order to live together with other cultural people, the
attitude of recognized diversity is required. In one of the ways for thi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as been expanding. In this trend, we need to
check that th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is appropriate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study about
problems and supplement points of the textbook in aspect of understandingmulticulturalism.
First of all, the cultural portions of the musical pieces in the textbook edited
in 2009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multi-cultural musical pieces were
categorized as folk music, religious music and popular music and each portio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ategory.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 introduced by Kim [ref. no.]. Finally, the contents to learn
were categorized as expression, appreciate, and life based on curriculum edited
in 2009 and I investigated a way for applying the 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cultural portions of
Korea and Western were 64.7% and 20.5%, respectively. Otherwise, the others
portion was about 14.8%. According to publisher and grade, the portion may
different, however, the others portion did not exceed 20% in any textbook.
Second, in case of folk music, the portion of european and asian musical
pieces was increased in 2009 compared to 2007 edition. And the portion of
unknown musical pieces was decreased from 14.1% to 6.3%. However, the
musical pieces of the northern european were still not included and 37.0% of
European music is from a German. Thus, the diversity is still lacking.
In 2009 edition, religious musical pieces included only in 5~6 grade in 2007
edition were also included in 3~4 grade. The portions of Shamanism,
Confucianism, Christianity, and Buddhism are 27.3%, 36.4%, 13.6% and 22.7%,
respectively. Meanwhile, musical pieces about Islam and Hinduism were not
included. In aspect of popular music, the various types of music were included
such as pop, rap, carols, musical song, TV/movie music, live music, etc. Each
portion of movie music, musical song, pops, TV music, movie music, pop, rap
and carols is 56.1%, 10.5%, 8.8%, 7.0%, 3.5%, 1.8%, respectively.
Third, 89.0% of the musical pieces of the others cultural composed to folk
music was in expression region. Only, the remainders about 10.5% were in
appreciate region. And 0.5% were in life region.
From the result, the textbooks are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multicultural music. Selecting a range of music is not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hich can lead to multi-cultural music.
Author(s)
박나은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88
Alternative Author(s)
Park, Na Eu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3. 연구의 제한점 4
4. 선행연구 4
Ⅱ. 이론적 배경 6
1. 다원주의 개념 6
2. 다원주의와 다문화교육 7
3.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9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12
1. 분석 범위와 분석 방법 12
가. 분석 대상 12
나. 분석 범위 13
다. 분석 기준 13
2. 초등 음악 교과서 분석 15
가. 다문화 악곡의 비중 15
나. 다문화 악곡의 분포 19
다. 내용체계에 따른 분석 35
Ⅳ. 결론 및 제언 42
1. 분석 결과 42
2. 제언 45
참고 문헌 47
ABSTRACT 50
Ⅳ. 부록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나은. (2015). 다원주의 관점에서 살펴본 다문화 악곡 분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