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음력 향상을 위한 음악 놀이 활동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Music Play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Ability : Focused on the 1st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bstract
최근 학교 현장에서도 예술교육이 활성화되고 있고 사회 속에서도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음악은 소리를 통해 표현하고 향수하
는 예술로,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가
바로 '음악'이다. 음악에 대한 느낌과 반응은 우리의 귀를 통해 시작되고 이는 곧
음악을 듣는 활동에서 시작되며 듣기는 가창, 기악, 창작 활동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을 잘 지각하고 반응하는 청음 능력이 향상된다면 음악의 아름
다움을 보다 폭넓고 의미 있게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청각계는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완성되지만, 초등학교 저학년인 8-10세
가 청감각이 가장 예민한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적합한 청음교육이 이루어
진다면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음악적 능력의 발현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반대로
가장 적합한 이 시기에 청음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학생들의 음악 체험의
폭도 좁을 수 밖에 없고 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이루기도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는 음악 기능, 즉 가창, 기악에 중점을 두어 음악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저학년인 경우는 즐거운 생활 교과가 통합교과라는이름으로 놀이 위주의 학습이 되어지다보면 결과적으로 음악이 아닌 놀이 자체로
만 끝나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청음력 향상을 위해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교육과
정을 분석하여 핵심 청음 지도 요소를 선정하였으며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청음 활동을 위한 음악 수업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악기를 연주하고, 노래 부
르는 법을 배우고, 신체로 표현하는 것을 배우듯 음악적 요소와 형태를 인지하여
듣는 방법 곧, 청음 역시 학습되어져야 한다.
청감각이 가장 예민한 시기인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1학년 즐거운 생활과의 제재곡과 참고곡을 중심으로
활동을 구안하였다. 또한 청음의 종류는 리듬, 가락, 셈여림, 빠르기, 음색으로 범
주화하였고 화성은 3,4학년군부터 나오는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음 지도 요
소로 선정 제시하지 않았다.
청음 활동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구안한 음악과 일반
교수․학습 모형과 즐거운 생활과의 표현 놀이 모형을 바탕으로 준비하기, 청음
요소 탐색하기, 청음놀이 및 표현하기, 정리하기의 4단계로 구성하였다.
'준비하기' 단계에서는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내용을 감지하며, '청음요소 탐색
하기' 단계에서는 제재곡을 듣고 청음요소와 놀이 방법을 탐색하고, '청음놀이 및
표현하기'단계에서는 관련 청음 기능을 사용하여 청음 놀이하기, '정리하기'단계에
서는 감상 및 내면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학생들은 리듬, 가락, 셈여
림, 빠르기, 음색의 청음 요소를 음악 놀이 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된다.
청음력 향상을 위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계속적이고 연계성있게 심
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1학년 어린이의 잠재
되어 있는 청음 능력을 발현시키고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음악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수업이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rts education has been revitalized in schools, and in society,
there are getting more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and art. Music is an art
to express and enjoy through sound. 'Music' is the very subject that enables
students to experience and enjoy the beauty of music in their lives. Feel,
understanding and response to music begin through the human ears, which
begins from the activity of listening to music, and listening is the base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ve activity. Thus, improving listening
ability to perceive and respond to music well would enable people to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more broadly and meaningfully.
The human auditory system is already completed with birth, but sincehearing sense is most sensitive when men are 8 to 10 years old,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roper listening education would change the level
of expressions of their ability. Conversely, if no listening education is conducted
in the most appropriate time, the width of students' experience could not but be
narrow, and it would be difficult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music
education.
However, in schools, music classes are still provided, focusing on
functions, in other words,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and especially,
while 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play-based learning is conducted for
the lower grades in the name of an integrated subject, consequently, it often
ends up with the play itself, not music.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preceding studie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istening ability and analyzes the curriculum to select core elements
of teaching listening, and draws up a learning model to seek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music for listening activities. Like they learn how to
play instruments, sing songs and express with their bodies, how to perceive
musical elements and forms to listen, that is, listening should also be
learned.
This study targets students in the first grade whose hearing sense is in
the most sensitive period, and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t
constructs an activity, focused on thematic songs and reference songs in
Pleasant Life for the first graders. In addition, The types of listening are
categorized into rhythm, melody, dynamic, tempo and tone, while harmony is
not presented as an element of teaching listening since it is a concept
coming in 3rd and 4th grade brand.
A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the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Music Subject design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expression playing model in
Pleasant Life, the model is composed of four steps, Preparation, Exploration
of Listening Elements, Listening Play and Expression and Wrapping up.In the 'Preparation' Step, which arouses interest, the students are aware of
the contents of learning; in the 'Exploration of Listening Elements' Step,
they listen to thematic songs and explore listening elements and playing
methods; in the 'Listening Play and Expression' Step, they play listening
using related auditory functions; and in the 'Wrapping up' Step, they
appreciate and internalize the music. Through these steps, students
experience auditory elements such as rhythm, melody, dynamic, tempo and
tone through music play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ability, intensive research should
continue with connectivity from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hopefully, through this study, classes can help express and improve listening
ability latent in students in th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ultimately, achieve the goal of music education.
Author(s)
양수영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90
Alternative Author(s)
Yang, Su You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청음 교육 4
2. 초등학교 저학년의 음악적 능력 발달 특징 7
3. 음악교육자들의 청음 지도법 9
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 15
5. 2009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20
Ⅲ. 청음 활동을 위한 수업 모형 구안 및 내용 선정 22
1. 초등학교 1학년 즐거운 생활과 음악 영역 분석 22
2. 청음 활동을 위한 학습 내용 선정 25
3. 청음 활동을 위한 교수-학습 수업 모형 구안 27
Ⅳ. 청음 활동 지도의 실제 30
1. 리듬 청음 지도의 실제 30
2. 가락 청음 지도의 실제 40
3. 셈여림 청음 지도의 실제 45
4. 빠르기 청음 지도의 실제 49
5. 음색 청음 지도의 실제 51
Ⅳ. 결론 및 제언 55
1. 결론 55
2. 제언 56
참고 문헌 57
ABSTRACT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수영. (2015). 청음력 향상을 위한 음악 놀이 활동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