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당신(堂神)본풀이 백주또신화의 공동창작 연극스토리텔링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ollaborative Creation Play of Jeju Myth Dangsin-Bonpuri Baekjutto
Abstract
일만 팔천 신들의 고향 제주는 신화가 현재에도 구비전승 되고 있는 살아있는 신화박물관이다. 제주의 신화는 '본풀이'라고 불리는데 본풀이에는 자연현상이나 인문현상을 이야기하는 일반신본풀이, 마을의 신인 당신(堂神)들의 이야기인 당신본풀이, 한 집안의 수호신의 이야기인 조상신본풀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풀이를 원형으로 삼아 제작된 문화콘텐츠를 텍스트콘텐츠, 공연‧전시콘텐츠, 시청각‧디지털콘텐츠로 분류하여 고찰해 보았다. 본풀이를 활용한 상당수의 문화콘텐츠들이 세경본풀이의 '자청비'이야기, 원천강본풀이의 '오늘이'이야기에 편중되어 있고 당신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아직 미비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신본풀이는 일반신본풀이와 달리 그 주인공들이 더 자유롭고 본능에 충실한 면을 보이기 때문에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다. 그동안 신화와 문화콘텐츠에 관한 연구나 무속신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연구는 계속 되어 왔지만 당신본풀이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연구는 처음이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굿은 연극과 상관성이 아주 높다. 굿이 연행되는 과정에서 연극이 실행되기도 한다. 제주의 굿에서 심방이라고 불리우는 샤먼은 굿의 배우이고 굿판은 무대이며 단골이라 불리는 신앙민은 굿의 관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풀이는 굿의 대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풀이를 활용한 연극은 신화의 전승과 함께 신화의 현대적 의미를 전하는 중요한 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풀이를 활용한 연극 극본 유형 4가지를 도출해 내었다. 그리고 공동창작의 필요한 유형을 제시하였다. 공동창작팀의 구성에서 공연까지의 사례를 제시하였고 본풀이의 원형과 현대적 의미를 구현한 극본 창작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가 극본 공동창작에 참여한 는 최초로 당신본풀이를 활용한 연극이다. 백주또는 송당본향당에 좌정한 여신으로 사랑의 시작과 끝을 주도한 급진적인 여성이다. 또한 아들 열여덟, 딸 스물여덟, 손자가 삼백 일흔 여덟이나 되는 다산의 신이다. 살육을 하는 사냥 대신 농사를 주장한 생태의 여신이고 자식과 세상을 품는 어머니 여신이다.
신화전문가, 연극연출가, 시인, 스토리텔러로 구성된 극본 공동창작팀은 백주또 신화의 원형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백주또 여신이 주는 현대적 의미를 극본에 구현하였다. 관객들은 자신의 운명을 주도하고 파괴와 살육을 용서하지 않는 자주적이면서도 단호한 여신을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식과 세상을 보듬었던 백주또 여신이 바다로 떠내려가는 아들을 살려내지 못해 울부짖는 모습을 보며 바다 속에 잠긴 아이들을 살려내지 못한 우리들의 현실을 직시했다.
앞으로 당신본풀이를 포함한 다양한 본풀이가 연극으로 제작되기를 기대해 본다. 본 연구가 향후 본풀이를 활용한 공동창작 연극스토리텔링의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 더 많은 작품, 더 수준 높은 작품을 위한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풀이가 가진 에스프리를 살리기 위한 연구와 노력은 연극스토리텔링에 참여한 모든 이들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Jeju residence have traditionally interacted with the island's 18,000 god and goddesses that has been transmitted orally. It called a living museum myth. The myth of Jeju is called Bonpuri. There are stories of general god 'Ilbansin Bonpuri' taking about natural phenomena and humanities phenomenon, the story of the god of the town 'DangSin Bonpuri', the story of one family's ancestral guardian 'Josangsin Bonpuri'.
In this research, the cultural content produced by the prototypical of Bonpuri reflect looked classified by 'Text contents', 'Concert?Exhibition contents' and 'Audiovisual?Digital contents'. Many of the cultural contents are utilizing the Bonpuri. It is concentrated Jachungbi story of 'Saegyung Bonpuri' and Onuly story of 'Onechungang Bonpuri'. I can see that already insufficient levels storytelling about Dangsin(god of the town). Dangsin unlike general god. That storytelling is an interesting character because they can more freely and show the faithful face the instinct. Meanwhile myth and cultural content research utilizing the research on cultural myth and shamanism have been content to continue. But research using the cultural content 'Dangsin Bonpuri' is the first time the significant of this study.
Gut is Shamanistic ritual in Korea. Gut has a very high corrlation with play.
Simbang(shaman)is an actor in the Gut, Gutpan(the yard of Gut)is the stage and faith is called a regular audience. Bonpuri also can be called transcript of the Gut. Therefore this Bonpuri using theater can be an important cultural content to convey meaning with the modern tradition of myth.
In this research, I deducted one advantage of the theatrical screen play derived Bonpuri of four kinds of types. It presented with the required type of co- creation. The case was presented to the performances in the construction of co-creation team presented the case of a play created and implemented the mordern sence of this circular Bonpuri.
is the first utilizing play. Bakjutto is a radical women who led the start and end of the goddess sitting on 'Songdang Bonhyang Dang'. she had also the son 18, daughter 28 and grandson 378 that was the goddess of fertility. Ecological farming instead of slaughter hunting goddess who claimed to bear a child and a mother goddess of the world.
Mythology expert, theater director, poet, co-creation team of storytellers were yet faithful to the prototype of the modern meaning to the implementation Bakjutto mythology the goddess in a play. The audience could see the goddess decisive, yet independently led to her fate and do not excuse the destruction and slaughter. And the goddess saw the chid with the world watching the stones cry wont look to spare her son heated into the sea to go. That scene is also korean mother's sorrow who can not save their child I from the Sewol-ferry.
Forward Bonpuri is expect to be produced by a variety of plays including Dangsin Bonpuri. I hope that this study is the co-creation data of storytelling using Bonpuri theater.
Author(s)
이재숙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394
Alternative Author(s)
Lee, Jae-Suk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범위 3

Ⅱ. 본풀이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와 연극스토리텔링 5
1. 본풀이와 문화콘텐츠 5
1) 텍스트 콘텐츠 7
2) 공연?전시 콘텐츠 10
3) 시청각?디지털콘텐츠 17
2. 본풀이와 연극 19
1) 굿과 연극의 상관성 19
2) 본풀이와 연극의 상관성 21
3. 본풀이를 활용한 연극스토리텔링과 공동창작 24
1) 본풀이 극본의 유형 24
2) 본풀이를 활용한 공동창작 연극의 필요성 27

Ⅲ. 송당본풀이 여신 백주또의 스토리텔링 29
1. 당신본풀이와 스토리텔링 29
1) 당신본풀이 29
2) 당신본풀이 스토리텔링의 필요성 31
2. 당신의 원조, 백주또 32
1) 당신의 어머니 32
2) 송당본풀이의 서사와 여신 백주또 33
3) 자청비와 백주또 ? 백주또 신화의 문화콘텐츠 가능성 37

Ⅳ. 당신본풀이 백주또 신화를 활용한 공동창작연극 - 39
1. 공동창작진의 구성에서 공연까지 39
2. 백주또의 원형과 재해석 42
1) 백주또, 사랑의 시작과 끝을 주도하다 42
2) 백주또, 세상을 보듬은 어머니 44
3) 무대에서 형상화한 원형 48
3. 평가 51

Ⅴ. 결 론 55


참고문헌 58

부록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이재숙. (2015). 제주 당신(堂神)본풀이 백주또신화의 공동창작 연극스토리텔링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Storytell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