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陸游 茶詩를 통한 宋代 茶文化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ea culture of Song Era through Luyou's tea poems
Abstract
陸游는 역대 中國詩人들 중에서 가장 많은 茶詩를 써낸 詩人이며 蔡襄, 蘇軾과 더불어 宋代 3대 茶人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의 고향은 名茶가 생산되는 山陰이다. 그래서 그의 생활은 저절로 茶事와 친숙하게 된다. 그는 ≪茶經≫를 탐독하며 茶道를 익혔고 茶官 생활을 하면서 茶事에 대한 경험을 풍부하게 쌓았다. 그런 그의 茶에 대한 지식들은 茶詩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어서, 宋代 茶詩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그래서 筆者는 본 論文에서 陸游의 茶詩를 통해 宋代 茶文化를 고찰했다.
본 논문 제2장, '陸游의 生涯와 創作 背景' 부분에서는 '陸游의 生涯', '陸游 茶詩 槪括', '茶詩 創作 背景' 등으로 나누어 考察했다. '陸游의 생애' 부분에서는 陸游의 생애를 시대별로 간단히 살펴보았고, '陸游 茶詩 槪括' 부분에서는 그의 茶詩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茶詩 創作 背景'에서는 陸游가 茶詩를 창작하게 된 背景을 山陰出身, 陸羽仰慕, 官職生活, 憂國精神, 田園生活, 文學的 傾向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3장, '宋代 茶文化' 부분에서는 '宋代 以前의 茶文化'와 '宋代 茶文化'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宋代 以前의 茶文化'에서는 차를 마시기 시작한 기원과 魏晉 南北朝그리고 唐代의 茶文化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宋代 茶文化' 부분에 서는 貢茶制度, 硏膏茶 製造, 茶館의 盛行, 茶書編纂, 茶馬貿易, 茶道의 變遷등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貢茶制度' 부분에서는 貢茶의 유래와 唐代를 거쳐 宋代로 이어지며 발전한 貢茶制度를 살펴보았다. '硏膏茶 製造' 부분에서는 硏膏茶의 製造시기 및 그 製造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茶館의 盛行' 부분에서는 宋代에 성행했던 茶館을 고찰하였다. 宋代 茶館은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交遊하며 정보를 교환했던 곳으로, 陸游의 시에서는 군대가 주둔하는 陣營근처의 茶館을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茶書編纂' 부분에서는 宋代 茶書들의 내용을 간단히 기술하였다. 그리고 茶書에 실려 있는 내용들이 陸游의 茶詩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음얘기하였다. '茶馬貿易' 부분에서는 軍馬를 얻기 위해 宋代 茶馬貿易의 규모가 확대되었으며, 茶馬貿易은 몇 가지 기본 규정이 있었음을 기술하였다. '茶道의 變遷'에서는 茶道에 대한 정의를 간단히 살펴보았고, 뒷부분에서는 宋代에 들어오면서 변천된 몇몇 茶道들을 살펴보았다.

제4장의 '陸游 茶詩에 나타난 茶文化' 부분에서는 茶事, 茶名, 茶具등으로 나누어 고찰 하였다. '茶事' 부분에서는 煎茶, 點茶, 鬪茶, 分茶, 活水, 活火등을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煎茶'에서는 唐代에 유행했던 煎茶法이 陸游의 茶詩에 자주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宋代에도 여전히 煎茶방식이 존재했음을 기술하였다. '點茶'부분에서는 陸游의 , 등에서 읊고 있는 點茶를 고찰하였다. 點茶는 盞에 茶를 넣고 물을 부어 筅으로 擊拂하여, 찻잔 위에 乳花가 피어오르면 나눠 마시는 방법으로 宋代에 성행했다. '鬪茶'에서는 陸游의 , 에서 언급하고 있는 宋代 茶俗인 鬪茶를 고찰하였다. 鬪茶는 찻잎의 품질과 茶를 우려내는 기술로 승부를 겨루는 技藝로 茶의 色, 香, 味를 중시 여겼다. '分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 나타난 分茶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分茶는 茶를 다루는데 능한 사람이 茶湯위에 다양한 物像을 그려내는 일종의 技藝로 宋代에 성행했다. '活水'와 '活火' 부분에서는 茶를 마실 때 茶의 色, 香, 味를 좌우할 수 있는 물과 불의 선택을 중요시하는 宋代 茶俗을 들여다보았다.
다음으로 茶名부분에서는 '貢茶', '花(果)茶및 기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貢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 나타난 宋代貢茶들을 살펴보았다. 예를 들자면 北苑茶, 日鑄茶, 壑源茶, 蒙頂茶, 顧渚茶등이다. '北苑茶' 부분에서는 宋代황실 전용 御茶園이 있던 建安 鳳凰山의 東溪 水畔에 있는 北苑지역에서 생산되는 北苑茶를 고찰하였다. 北苑茶는 陸游의 , 등에서 언급하고 있다. '日鑄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서 나타난 日鑄茶를 고찰하였다. 이 茶는 越洲會稽縣東南의 日鑄嶺에서 생산되었고, 南宋때 貢納다. 그리고 '壑源茶'부분에서는 陸游의 , 에서 언급하고 있는 壑源茶를 고찰 하였다. 이 茶는 宋代御茶園이 있었던 北苑의 남쪽에 위치한 壑源지역에서 생산되었던 茶이다. 이 茶는 正焙라 칭해졌으며, 宋代皇室에 貢茶했다. 그 외, 陸游의 , 등에서 읊고 있는 蒙頂茶그리고 그의 , 등에서 언급하고 있는 顧渚茶에 대해서도 자세히 고찰하여 宋代貢茶를 들여다보았다.
'花(果)茶및 기타' 부분에서는 菊花茶, 茱萸茶, 橄欖茶, 姜茶, 梅花茶와 기타 茶를 살펴보았다. '菊花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서 언급하고 있는 菊花茶를 고찰하였다. 宋代에는 甘菊을 茶에 띄워 茶의 쓴맛을 제거 하였고, 菊花의 싹은 茶대신 이용하였다. '茱萸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에 나타난 茱萸茶를 살펴보았다. 宋代사람들은 茱萸을 神物로여겼으며, 瘴氣때문에 일어나는 병을 물리치기 위하여 茶로 마시기도 하였다. '橄欖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에 나타난 橄欖茶를 고찰하였다. 여기서는 宋代사람들이 橄欖으로 차의 향기를 돕게 하는 飮茶방식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그 외에 陸游의 茶詩에서 언급하고 있는 薑茶, '梅花茶'의 독특한 風習들도 고찰하였다.
'기타'에서는 陸游의 시에 나타난 名茶이지만 貢茶하지 않았던 桃花茶, 丁坑茶, 花塢茶, 安樂茶등을 살펴보았다.
'茶具'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 나타난 茶具인 兎毫盞, 風爐, 茶籠, 茶鐺, 磑, 碾등을 살펴보았다. '兎毫盞' 부분에서는 宋代사람들이 茶의 乳花와 잘 어울리는 토끼털 같은 무늬가 있는 흑색 兎毫盞을 귀하게 여겼음을 기술하였다. '風爐'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 나타난 宋代茶具인 風爐와 그 쓰임은 같지만 모양과 명칭이 다른 茶鼎, 茶灶등을 비교하며 고찰하였다. 그리고 '茶籠' 부분에서는 宋代 官吏들이 茶를 선물로 주고받을 때 金銅茶籠을 이용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 외 宋代茶具인 茶鐺, 磑, 碾등과 같은 茶具들도 그 특징과 쓰임에 대하여
陸游의 시와 여러 자료들을 통해 고찰했다.
陸游의 茶詩에는 위에서 살펴 본 것처럼 다양한 宋代茶俗들이 들어 있어서 宋代 茶文化를 한 눈에 들여다볼 수 있다. 이처럼 내용이 풍부한 陸游의 茶詩는 宋代 茶文化 經典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During Song Dynasty, tea culture was prosperous, e.g. tea market was
formed, Chamamaoyi(茶馬貿易) was established, and Chaguan(茶館) was
prevalent. Along with such social atmosphere, many books related to tea
study were published, and poets' tea poems were continued to be created.
Poet of Song Dynasty, Luyou(陸游) was the poet who composed poems the
most among the Chinese poets in history. Luyou(陸游)'s hometown was
Shanyin(山陰), where famous tea was produced. Accordingly, his life naturally
became familiar to Chashi(茶事). He broadened knowledge about tea through
poring over books about tea, and learned tea ceremony. This way, his
knowledge about tea was fully included in his tea poems, which provide
important data for Song Dynasty, tea poem research. As the amount of his
poems was large, subject of poems was various. For example, there were
patriotism, love of the people, exchange, tranquility, etc. besides, various
subjects of poems are transmitted, however, one of them was the poem on
tea.
Therefo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Life of Luyou(陸游), Summary of
Luyou(陸游) tea poem, and Creation background of Luyou(陸游) tea poem, in
Luyou(陸游)'s life and creation background in order to consider tea culture of
Song Dynasty. In Life of Luyou(陸游), this research briefly investigated life
of Luyou(陸游), and in Summary of Luyou(陸游) tea po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his tea poems briefly.
In Creation background of Luyou(陸游) tea po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background that Luyou(陸游) came to create tea poem by dividing into
six matters.
In Tea culture before Song Dynasty this research briefly investigated the
origin to start to drink tea, the period of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and
Tea culture of Tang Dynasty.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Gongcha(貢茶) system, Yangaocha(硏膏茶) production, prevalence of
Chaguan(茶館), compilation of tea book, and change of Chamamaoyi(茶馬貿易),
Chadao(茶道).
In Gongchazhidu(貢茶制度), it was determined that Longfengcha(龍鳳茶)
was manufactured, which drew patterns as yongbong on the tea lump at
yuchayuan(御茶園) of Beiyuan(北苑) to Gongcha(貢茶) the Imperial family. In
Yangaocha(硏膏茶) production, shape of Yangaocha(硏膏茶) and production
area yangaocha were investigated through data. Besides, this research
considered prevalence of Chaguan(茶館), compilation of tea book, and change
of Chamamaoyi(茶馬貿易), Chadao(茶道), etc. based on relevant records.
Also, in Tea culture in Luyou(陸游) tea po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Chashi(茶事), Chaming(茶名), and Chaju(茶具). In Chashi(茶事)
part, this research investigated Jianchafa(煎茶法) and Dianchafa(點茶法), which
were popular during the Song Dynasty, and investigated Doucha(鬪茶), which
competed with its color, frgrance, and taste of tea during the Song Dynasty,
and buncha which was added with artistry. Also, investigated in order of
Huoshui(活水), Huohuo(活火), which were highly regarded to enjoy this tea
drinking life.
Then, this research considered famous tea. For example, there were
Beiyuancha(北苑茶), Guzhucha(顧渚茶), Rizhucha(日鑄茶), Mengdingcha(蒙頂
茶), Heyuancha(壑源茶), which were Gongcha(貢茶) to the government of
Song Dnyasty, also, there were Huaguocha(花(果)茶) such as Juhuacha(菊花
茶), Ganlancha(橄欖茶), Jiangcha(薑茶), and besides, other famous tea
appeared. In this poem, which commented about such famous tea, this
research investigated unique tea drinking culture of Song Dynasty,
effectiveness of tea, producer of tea, and storage method, etc.
In Chaju茶具par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uhaozhan(兎毫盞), Fenglu(風
爐), Chalong(茶籠), Chadang(茶鐺), Wei(磑), Nian(碾) which are Chaju(茶具)
that appeared in Luyou(陸游)poem. In Tuhaozhan(兎毫盞) par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uhaozhan(兎毫盞) of Song Dynasty that had rabbit fur pattern,
and in Fenglu(風爐), considered Chading(茶鼎), Chazao(茶灶), etc. that had
different name and shape, which had the same use with Fenglu(風爐). Also,
in Chalong(茶籠),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along(茶籠), that was used to
pack the tea to store or present a gift. Besid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adang(茶鐺), Wei(磑), Nian(碾).
Luyou(陸游) poems have abundant materials to investigate Song Dynasty
tea culture, besides the contents in the above. In the next opportunity, the
researcher wishes to additionally investigated various contents related to this.
Author(s)
송인주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413
Alternative Author(s)
Song, In-Ju
Department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Advisor
임동춘
Table Of Contents
Ⅰ. 緖論. 1
1. 硏究동기 및 목적 . 1
2. 旣存硏究및 硏究方法 9
Ⅱ. 陸游의 生涯와 創作背景 13
1. 陸游의 生涯. 13
2. 陸游茶詩槪括. 21
3. 茶詩創作背景. 24
1) 山陰出身. 25
2) 陸羽仰慕. 27
3) 官職生活. 29
4) 憂國精神. 32
5) 田園生活. 34
6) 文學的傾向 36
Ⅲ. 宋代茶文化 39
1. 宋代以前의 茶文化 40
2. 宋代茶文化 45
1) 貢茶制度 45
2) 硏膏茶製造 51
3) 茶館의 盛行 56
4) 茶書編纂 61
5) 茶馬貿易 65
6) 茶道의 變遷 67
Ⅳ. 陸游茶詩에 나타난 茶文化 71
1. 茶事. 71
1) 煎茶 72
2) 點茶. 77
3) 鬪茶. 80
4) 分茶. 86
5) 活水. 91
6) 活火. 96
2. 茶名. 99
1) 貢茶. 100
⑴ 北苑茶 100
⑵ 日鑄茶 104
⑶ 壑源茶 107
⑷ 蒙頂茶 112
⑸ 顧渚茶 116
2) 花(果)茶및 기타 . 120
⑴ 菊花茶 120
⑵ 茱萸茶 124
⑶ 橄欖茶 129
⑷ 薑茶 133
⑸ 梅花茶 137
⑹ 기타 139
3. 茶具. 147
1) 兎毫盞 147
2) 風爐 151
3) 茶籠 157
4) 茶 161
5) , . 164
Ⅴ. 結論. 169
參考文獻 17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송인주. (2015). 陸游 茶詩를 통한 宋代 茶文化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