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과제중심 협력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ask-Based Collaborative Learning on Students'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s: With Reference to Students of College English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sk-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BCL) on students'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s,
focused on the low level students of college English reading class.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How does
TBCL affect their academic achievement? 2) How does TBCL have an impact
on their affective domains such as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motivation, and attitude? 3) What is a
correlation between their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s in TBCL?
Participants were 101 college students mainly composed of freshmen(35 males,
18 fema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30 males, 18 females in the control
group), who took 'English Reading 100' course in J university. In the
experiment group, TBCL was applied, while task-based whole class teaching
method was utilized in the control group. To answer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pre-survey and the post-survey related to their background
and affective domains, the diagnostic evaluation, the post evaluation, and the post open ended questions were carried out. After that, the collected data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the statistic software
SPSS 18 and th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1) TBCL contributed to
improv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 TBCL
promoted the learners to feel less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and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than before; and it helped them to develop
their more positive motivation and attitude than before. 3) only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was correlated with their achievement within the
experiment group, except for the other affective domains: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motivation, and attitud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ir
achievement was not correlated with any affective domains.
It was also found in qualitative analysis that TBCL had more positive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s of the low level
students of college English reading class, rather than the task-based whole
class teaching. For example,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complain
that they had little chance to make themselves understood in English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deal with the tasks alone.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said that participating in TBCL activity enabled them to
have in a long term memory what they learned and devote themselves to
leaning English and that it was because the class was interesting.
Author(s)
김양홍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460
Alternative Author(s)
Kim, Yang-Hong
Department
대학원 어문교육학부영어교육전공
Advisor
김종훈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의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5
2.1 주요 개념. 5
2.1.1 과제 5
2.1.2 협력학습 8
2.1.3 불안 11
2.1.4 동기 13
2.1.5 태도 14
2.2 과제의 설계와 실행. 15
2.2.1 과제의 설계 15
2.2.2 과제의 실행 19
2.3 선행 연구. 20
Ⅲ. 연구 방법. 25
3.1 연구 문제. 25
3.1.1 제1 연구 문제 25
3.1.2 제2 연구 문제 26
3.1.3 제3 연구 문제 27
3.2 연구 대상 및 연구 집단의 사전 동질성 27
3.2.1 연구 대상 27
3.2.2 두 집단의 사전 동질성. 28
가. 성별, 학년별, 연령별 동질성 28
나. 영어 읽기의 관심도에 대한 동질성 30
다. 진단평가에 대한 동질성 31
3.3 연구 도구. 32
3.3.1 사전 진단평가 32
3.3.2 사전 설문조사 33
3.3.3 동료평가 조사 34
3.3.4 사후 설문조사 35
3.3.5 사후 개방형 질문 36
3.3.6 학업성취도 평가(기말고사) 37
3.4 자료 분석 방법 및 신뢰도 38
3.4.1 외국어 학습 불안 척도 검사도구의 신뢰도 39
3.4.2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 검사도구의 신뢰도 40
3.4.3 동기 검사도구의 신뢰도. 42
3.4.4 태도 검사도구의 신뢰도. 43
3.5 자료 수집 절차. 44
3.6 수업의 절차 및 활동. 45
3.6.1 반 편성과 시간 운영. 46
3.6.2 그룹 구성 및 구성원 배치. 46
3.6.3 교수학습 활동 50
가. 수업 전 교수학습 활동. 50
나. 실험 집단의 교수학습 활동 50
다. 통제 집단의 교수학습 활동 52
3.6.4 교수학습 활동의 실제 5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72
4.1 양적 연구 결과. 72
4.1.1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 72
4.1.2 정의적 영역에 미친 영향. 74
가. 외국어 학습 불안 74
1) 의사소통 불안 77
2) 교과 담당교사 불안 81
3) 평가 불안., 84
4) 교과수업 활동 및 내용 불안. 88
나. 외국어 읽기 불안 92
1) 전반적 읽기 불안 94
2) 어휘와 문법 불안 96
3) 읽기 선호도에 관한 읽기 불안. 98
4) 배경지식(문화)에 관한 읽기 불안 100
다. 동기. 102
1) 도구적 동기 105
2) 통합적 동기 109
3) 내적 동기 112
4) 외적 동기 115
라. 태도. 119
1) 언어 태도 121
2) 교과 태도 123
3) 수업 태도 127
4.1.3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관계 130
4.2. 사후 설문 조사의 영어 읽기 관심도와 수업 참여율. 135
4.2.1 사후 설문의 영어 읽기 관심도. 135
4.2.2 수업 참여도와 사후 수업 참여도에 대한 반응 136
4.2.3 불안감 해소에 대한 사후 설문에 대한 반응 137
4.3 사후 개방형 질문 결과 138
4.3.1 실험반 반응 분석. 138
가. 학업성취도 관련 반응 140
나. 정의적 영역 관련 반응 141
4.3.2 통제반 반응 분석. 142
가. 학업성취도 관련 반응 143
나. 정의적 영역 관련 반응 144
Ⅴ. 결론 및 제언. 147
5.1 결론. 147
5.2 제언. 149
5.3 제한점. 151
Ⅵ. 참고문헌. 152
부록 Ⅰ 진단평가 178
부록 Ⅱ 사전 설문지 183
부록 Ⅱ-1 배경정보. 183
부록 Ⅱ-2 외국어 학습 불안. 184
부록 Ⅱ-3 영어 읽기 불안. 186
부록 Ⅱ-4 동기. 187
부록 Ⅱ-5 태도. 188
부록 Ⅲ 동료평가 189
부록 Ⅳ 사후 설문지(사전에 추가된 내용) 190
부록 Ⅴ 사후 개방형 질문. 191
부록 Ⅵ 학업성취도 평가. 192
부록 Ⅶ Homework 198
부록 Ⅷ Worksheet 201
ABSTRACT. 211
감사의 글 213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양홍. (2015). 과제중심 협력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Language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