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길 그림의 투사적 은유 치료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기-자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Projective Metaphor Treatment Using Road Drawings on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for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bstract
이 연구는 길 그림을 통해서 일반여성과 가정폭력 피해여성 간 회화적 반응특
성의 차이를 확인하고, 나아가 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기-자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와 그에 따른 길 그림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여성과 가정폭력 피해여성 간 길 그림의 회화적 반응특성은 어떤 차
이가 있는가?
둘째, 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기-자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길 그림의 회화적 반응특성에서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
이 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연구
1은 일반여성과 가정폭력 피해여성 간 길 그림의 회화적 반응특성 차이를 확인
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는 미술치료 연수와 상담에 참여한 일반여성 123명과
가정폭력 피해여성 31명을 대상으로 8절 크기의 회화용지에 길 그림을 그리게
하여, 이론적 고찰에서 확인된 분석 기준에 따라 두 여성 집단 간 길 그림의 회
화적 반응특성을 분석하고  검증을 통해 차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기준은 4개 영역 20개 요소로, 초기 인상(전체 분위기, 길의 느낌, 주위 풍경, 길의 원근,
길의 조화), 체제와 공간(화지 구성, 화지 활용, 색채 사용, 필압, 계절 표현), 길의
상태(길의 구성, 길의 방향, 길의 모양, 길의 폭, 길의 경사), 그리고 길의 구성요소
(방해물, 교차로, 도로표지판, 교량, 자기표현)를 포함한다.
연구 2에서는 여성의 쉼터에 입소한 가정폭력 피해여성 3명을 대상으로 길 그
림을 매개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자기-자비와 우울에 미치는
치료 효과와 길 그림에 나타난 회화적 반응특성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자기-
자비와 우울에 미치는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자기보고식 자기-자비 척도와 우울 척도를 활용하여 3명의 가정폭력
피해여성에게 순차적으로 기초선을 측정하고 그 후 프로그램을 투입하는 동안과
투입한 후에 연속하여 자비-자비 척도와 우울 척도를 실시하여 기초선 대비 향
상도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은 8회기 동안 투입되었으며 전체 측정 회기는 20회
기였다. 또한 길 그림에 나타난 회화적 반응특성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투입 전과 후의 시점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3명의 가정폭력 피해여성
이 완성한 길 그림의 회화적 반응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1에서 일반여성과 유
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길 그림의 회화적 반응
특성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투입 전과 투입 후에 달라진 길 그림의 변화 양상에 대
한 질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 1과 연구 2를 통해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길 그림의 분석 기준이 되는 4개 영역 20개 요소 중에서 일반여성과 가
정폭력 피해여성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회화적 반응특성 요소는 16개 요
소이며, 이는 초기 인상(전체 분위기, 길의 느낌, 주위 풍경, 길의 원근, 길의 조
화), 체제와 공간(화지 활용, 색체 사용, 필압, 계절 표현), 길의 상태(길의 구성,
길의 방향, 길의 모양, 길의 폭, 길의 경사), 그리고 길의 구성요소(방해물, 자기
표현) 등이다. 체제와 공간의 화지 구성, 길의 구성요소 중 교차로, 도로표지판,
교량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기-자비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기-자비 점수는 각각 기초선 수준 평균이 16.0, 21.0, 12.8이었으나 프로그램
투입단계 중에는 18.9, 30.1, 23.7로 각각 2.9(18.1%), 9.1(43.3%), 10.9(85.2%)가 향상
되었고 프로그램 투입 후에도 23.1과 43.7로 각각 7.1(44.4%)과 22.7(108.1%)이 향
상되었다. 또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우울 점수는 각각 기초선 수준 평균이 25.6,
22.3, 19.8이었으나 프로그램 투입 중에는 25.8, 5.1, 8.4로 각각 -0.2(-0.8%), 17.2
(77.1%), 11.4(57.6%)가 감소하였으며, 프로그램 투입 후에는 22.1과 0.0으로 4.5(
13.7%)와 22.3(100.0%)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투입된 피해여성의 경
우에 비해서 두 번째와 세 번째 투입된 피해여성의 경우에서 프로그램 투입에
따른 자기-자비 향상과 우울 감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길 그림에 나타난 회화적 반응특성은 4개 영역 20개 요소 대부분에서 일
반여성과 비슷한 형태로 변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일반여성과 가정폭력 피해여성 간 길 그림에 나타난 회화적 반응특성은
유의미하게 다르다. 따라서 길 그림에서 나타난 회화적 반응특성은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진단하는 투사적 도구로서 활용 가능하다.
둘째, 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기-자비 향상과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처한 심리적 상처와 상황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길 그림을 매
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적 상처를 치유
하고 일상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정폭력 피해여
성의 길 그림에 나타난 회화적 반응특성은 일반여성과 비슷한 양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심리치료교육 전문가들은 길 그림의 회화적 반응특성 분석을 통해 가정
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적 상태를 이해하고 치료적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으며, 그에 따른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우선 이 연구는 소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에
의존하고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이 연구는 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이 자기-자비 향상과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경로를 구체적으로 밝혀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길 그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세련된 연구설계와 축적된 연구결과가 요구된다. 나아가 후속연구는 길 그
림을 매개로 한 투사적 은유 치료 프로그램이 여타의 은유 치료 프로그램에 비
해서 상대적인 효과를 밝히는 일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of the pictorial response on road
drawings between female victim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and women who haven't. This study also aimed to illuminate the effect of
Projective Metaphor Therapy using Road Drawings(PMT-RD) on female
victims' self-compassion, depression, and to illuminate the before-after
changes of individual's road drawing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s of between victims and ordinary women could be
identified in their pictorial responses expressed on road drawings?
Second, would PMT-RD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elf-compassion and resolution of depression?
Third, what kind of change would be detected in the pictorial response that
the participants expressed on road drawings?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to identify
differences of the pictorial response expressed on road drawings between two
different groups of participants, 31 female victims and 123 ordinary women. They were asked to draw a road on 12"ⅹ18" sized paper. Then, an analysis
of the pictorial response on the drawings were conducted by a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X. The criteria used in the pictorial response analysis
contained 20 factors in 4 areas(20 factors) which includes 1) first
impression(overall atmosphere, feeling of the road, sceneries around the road,
road distance, harmony of road), 2) systems and space(object organization,
uses of paper, choice of colors, pencil pressure, expression of seasons), 3)
road condition(organization, direction, shape, width and inclination of road) and
4) road components(obstacles, intersections, road signs, expression of self).
The second part dealt with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and traced
detailed changes at different stages of the program after the PMT-RD was
implemented to 3 female victims in the shelter. The scale of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was used to measure their state before, during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Furthermore, I compared the response of road
drawings at the beginning with the one at the final stage of the program to
understand the chang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n,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rawings of one of the participants who had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rdinary women in the first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 after taking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aningful differences in 16 factors out of 20 in the 4 areas were
identified: initial impression(overall atmosphere, road feeling, scenery around
the road, road distance, harmony of road), system and space(usage of paper,
color, pen pressure, expression of season) road condition(organization, shape,
width, and inclination of road), and road components(obstacles, expression of
self). Most of the variables had noteworthy differences except for the
variables of organization of paper, intersections, road signs, and bridge.
Second, PMT-RD increased victims' self-compassion and reduced their depression. In terms of mean score of self-compassion, compared to base-line
data, three victims who taken PMT-RD gained 2.9(18.1%), 9.1(43.3%), and
10.9(85.2%) separately during sessions, and gained 7.1(44.4%) and 22.7(108.1%)
separately after competing all sessions. Also, in terms of mean score of
depression, compared to base-line data, three victims who taken PMT-RD
gained -0.2(-0.8%), 17.2(77.1%), and 11.4(57.6%) separately during sessions,
and gained 4.5(13.7%) and 22.3(100.0%) separately after completing all
sessions.
Third, the program did contribute positive changes in most of the 20
factors moving them in the direction of ordinary women.
These are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First, the meaningful differences found in pictorial response of road drawing
between female victims and ordinary women. This indicates that the pictorial
response of road drawing could be used as a tool to analyze and diagnose
psychological state of female victims.
Second, PMT-RD gave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elf-compassion and resolution of depression. This implies that PMT-RD
helped the victims cure psychological scar and increase the resilience.
Finally,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exhibited changes in pictorial
response of road drawings similar to the ordinary women's response. The
therapy experts could understand the mental state of female victims and
therapeutic change after analyzing PMT-RD.
However,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that would require further
research. Since this study depended on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was very restricted. In addition, this study did
not provide mediated pathway on how the program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in self-compassion and resolution of depression. Therefore,
future research with more refined research design is required to proceed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Further research also needs to identify
more strengths of the PMT-RD than other projective metaphor therapies.
Author(s)
강경숙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476
Alternative Author(s)
Kang, Kyung-Sook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송재홍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3. 연구 방법 6
4. 용어의 정의 6
가. 가정폭력 피해여성 6
나. 우울 7
다. 자기-자비 7
라. 길 그림 7
마. 투사적 은유 8
Ⅱ. 이론적 배경 9
1.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이해 9
가. 가정폭력 9
나.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현황 10
다. 가정폭력 피해여성과 자기-자비 12
라. 가정폭력 피해여성과 우울 14
2. 투사적 은유와 길 그림 16
가. 투사적 은유 16
나. 미술치료 기법으로서의 길 그림 18
다. 길 그림의 투사적 은유와 기능 19
라. 길 그림의 구성과 분석 체계 22
3. 가정폭력 피해여성과 길 그림의 활용 42
가. 길 그림 검사로의 활용 42
나. 자기-자비와 우울에 대한 길 그림의 치료적 활용 43
다. 투사적 은유 치료를 위한 길 그림 프로그램 구성 원리 46
Ⅲ. 연구 1 48
1. 연구 문제 및 가설 48
2. 연구 방법 50
가. 연구 대상 50
나. 도구 및 절차 51
3. 연구 결과 53
가. 초기 인상 53
나. 체제와 공간 58
다. 길의 상태 63
라. 구성 요소 69
4. 논의 75
Ⅳ. 연구 2 84
1. 연구 문제 및 가설 84
2. 연구 방법 84
가. 연구 대상 84
나. 도구 및 절차 90
다. 자료 처리 및 분석 95
3. 연구 결과 96
가. 양적 분석 결과 96
나. 질적 분석 결과 100
4. 논의 133
Ⅴ. 종합 논의 140
Ⅵ. 결론 및 제언 143
참고 문헌 145
Abstract 153
부 록
자기-자비 척도 157
우울 척도 158
길 그림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내용 160
길 그림에 대한 소개 164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경숙. (2015). 길 그림의 투사적 은유 치료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기-자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onvergence Education Softw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