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 Jeju Island: Their Existing Forms and Farmers' Perceptions of Them with Reference to Agricultural Environment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를 밝히고, 밭담에
대한 농가들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례지역의 농업 환경
적 특성을 기반으로 지역별 밭담의 존재형태와 이에 대한 농가들의 인식을 비
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제주도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는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으로 구분하
여 살펴보았다. 우선, 자연환경 요인으로는 기후와 지질적 특징이 있다. 겨울철
북서계절풍, 여름철 폭우와 태풍 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사례로 볼 때 농가들은
해안가 주변에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밭담을 높게 축조하였고, 하도
리에는 시멘트 밭담을 출현시켰다. 고산리에는 경작과정에서 돌이 산출되지 않는
지질적 특성으로 인하여 제주도에서 보기 드문 무장전 지대가 형성되었고, 이곳
에 상대적으로 낮은 밭담이 존재하게 되었다. 또한 무장전 지대에는 특정 구역에
밭담이 축조되었다.
다음으로 인문환경 요인으로는 지역별 재배작물의 전환, 농업지역의 도로 개설
및 확장, 농촌 환경의 변화, 과학영농의 점진적인 확대, 경지정리사업 등이 있다.
첫째, 지역별 재배작물에서 위미리에서는 밭농업에서 감귤농업으로 전환되면서
감귤묘목을 강풍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밭담을 높게 축조되었고, 이전에
비해 잡굽담의 출현이 높아지는 상황을 맞이하였다. 고산리에서는 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환하면서 배수로 주변을 중심으로 방축이 증가하게 되었다. 둘째, 대
도로 주변의 밭담은 지역성이 상실된 채 제주도 전 지역에 걸쳐 획일적으로 존
재하는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제주도 농촌 환경의 변화
는 밭담이 훼손을 가속화시켰고, 이어서 방치된 상황으로 지속시키는 환경을 초
래하였는데 고령화와 농가인구의 감소 등 농촌 환경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농가
의 토지이용방식을 변화시켜 그에 따른 밭담의 관리와 관심도를 저하시켰다. 넷
째, 과학영농의 점진적인 확대는 밭담의 존재형태를 변화시켰는데 위미리 농가
중에서는 과수원에 방풍망이나 비닐하우스 등을 설치하면서 밭담의 필요성이 낮
아져 주변의 밭담을 낮추거나 제거하였다. 다섯째, 경지정리사업은 특정 지역의
밭담을 제거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따라서 현재 대부분의 사업지구에는 밭담이
매우 낮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중장비 이용은 밭담의 제거와 축조를
과거보다 용이하게 하였고, 맹지로 이어지는 소규모 농로 주변에는 다양한 규모
의 밭담도 새롭게 축조되었다.
밭담의 농가인식에서는 필요·불필요 요인과 함께 그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점적
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사례농가들을 토대로 밭담의 필요성을 검토해 보면 밭담
은 경지 내의 돌 처리, 강풍과 야생동물 및 가축으로부터의 농작물 보호, 토양
유실 방지, 경계 표시, 경관적 가치, 친환경농업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반면에
농기계 이용, 과학영농 확대, 감귤농업 지역에서의 일조 피해 등으로 인하여 불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밭담의 필요성에 대한 사례농가들의 시기별 인식변화와 관련지어 볼 때 사례
농가들은 전통농업시기까지만 해도 밭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인식변화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고산리 농가에서는 1970년대 경지
정리사업 이후 벼농사와 함께 밭담의 필요성이 낮아졌다가 1990년 이후 재차 밭
농사를 시작하면서 이전보다 필요성이 높아지는 인식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2000
년대 이후에는 소수의 농가를 중심으로 무장전 지대에 밭담과 방풍수를 도입하
면서 그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하도리 농가에서는 1980년대에 작
물을 당근으로 전환하면서 밭담의 필요성이 낮아졌지만 친환경 농법, 경관적 가
치 인식, 야생동물 등으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다. 위미리
농가에서는 1960년대에 감귤농업을 시작하면서 필요성이 매우 높아졌지만 1990년대 감귤나무가 성목이 된 이후에 밭담의 일조 피해 등으로 인하여 필요성은
급격히 낮아졌다.
이와 관련한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농가의 재배작물은 밭담의 필요성과 관련
된 인식변화에 가장 큰 요인이 되었으며 지역별로 재배작물이 전환되는 시기에
밭담의 필요성에 대한 농가인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둘째, 위미리는 밭담에 대한
농가들의 인식 변화가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지역으로 주목할 수 있다. 셋째, 밭
담의 필요성에 대한 농가인식이 가장 고조된 시기는 초창기 감귤농업 시기, 벼농
사에서 밭농사로의 전환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친환경 농법, 경관적
가치, 야생동물로부터의 농작물 보호와도 깊게 연관되어 있다. 넷째, 밭담의 필요
성에 대한 농가인식이 저하된 시기는 방풍수가 10m이상 성장하여 밭담의 방풍기
능을 대체하거나 밭담으로 인한 일조 피해가 발생할 시기, 식량작물에서 근채류
로 전환 시기라고 지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밭담이 실질
적으로 제주도 농업과 관련하여 존재형태와 이에 대한 농가인식의 지역별 차이
를 처음으로 규명한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의 밭담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체계적인 방법을 동원함으로써 향후 밭담 관련 연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
는 토대를 마련한 점이다. 셋째, 본 연구는 제주도 밭담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구축하여 지역별 밭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이다. 넷째, 본 연구는 지
역별로 밭담의 존재형태와 그에 대한 농가인식의 규명을 바탕으로 앞으로 밭담
의 보전방안과 변화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밭담의 존재형태는 특정 지역의 농업 환경
적 특성에 의해 많은 변화와 함께 밭담에 대한 농가인식도 시기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향후 밭담의 변화는 이
전보다 더 급격히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밭담의 실질적인 보전과 관
리를 위해서는 현 시점에서 밭담의 활용방안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그 이전 단
계에서 밭담의 실태분석과 보전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nunciate the forms of agricultural
stone walls in Jeju with reference to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to
investigate farmers' perceptions of the walls. To achieve this, existing
forms of stone walls in each region and farmers' perceptions of them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the case reg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According to the Jeju agricultural environment, the existing forms of
stone walls around farmland a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humanistic environment. First, the factor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re the climate and geological features. Overall,
farmers built high stone walls to minimize damage to farmland near the
sea from northwesterly winds in winter and typhoons with heavy rain in
summer. Even cement walls appeared in Hado-ri. Due to the geological features of the Gosan-ri area, the farmlands don't have stone walls around
them, which is rare in Jeju, and only specific areas of land have stone
walls which are also low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of Jeju.
As factors in the humanistic environment,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crop cultivation, road construction, expansion in agricultural areas,
changes in the rural environment, progressive expansion of scientific
farming, field readjustment, and more. First, in Wimi-ri, the cultivation of
crops changed from dry-field farming to mandarin growing. Therefore, the
agricultural stone walls were built higher to protect the trees from strong
winds, and the foundation walls were also higher than before. In Gosan-ri,
with the change from rice farming to dry-field farming, dikes increased
around the waterways. Secondly, agricultural stone walls near the main
roads have los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forms are nearly the same
around the island. Thirdly, changes in the Jeju rural environment after the
1970s accelerated the damage to agricultural stone walls, resulting in
damage and neglect. In addition, changes in the rural environment such as
an aging population and a decreasing farming population eventually
changed the way farmlands were used and lowered the maintenance and
interest in stone walls. Fourthly, progressive expansion of scientific
farming changed the forms of agricultural stone walls. Some farmers in
Wimi-ri removed or lowered the stone walls as they installed windbreak
nets or greenhouses because they didn't need the stone walls anymore.
Fifthly, readjustment of fields resulted in removing stone walls in some
areas. Therefore, in the areas included in the project, the walls are very
low or don't exist. Besides, using heavy equipment made it easier to
remove or construct stone walls, so diverse forms of stone walls have
been newly constructed around small farm roads.
With regard to farmers' perceptions of stone walls, changes in perception
are prioritized. They perceive that agricultural stone walls are necessary to deal with the stones inside the farm fields; to protect crops from strong
winds, wild animals, and livestock; to prevent soil erosion; to mark
boundaries; and to increase landscape valu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On the other hand, some think that they are unnecessary due
to agricultural mechanization; expansion of scientific farming methods; their
role in blocking sunlight in mandarin orchards; and more.
In consideration of farmers' perception changes by period, farmers in the
traditional farming period thought stone walls were necessary, but their
perceptions have changed diversely since then. In Gosan-ri, the necessity
for agricultural stone walls was considered low as rice farming became
more common after the field readjustment project of the 1970s; however,
since 1990 their perceived importance has grown along with the switch
from rice farming to dry farming. In addition, their necessity has
consistently been considered higher in areas that have introduced stone
walls and windbreaks. In Hado-ri, as they started cultivating carrots in the
1980s, the perceived necessity of stone walls decreased, but now it is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ly-friendly farming methods, perceptions of
landscape value and protection from wild animals. In Wimi-ri, the
necessity was high when the farmers began mandarin cultivation, but then
lowered due to concerns that they blocked sunshine as the mandarin trees
matured in the 1990s.
Considering this situation, it is apparent that the type of crop grow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erception changes around the necessity of
agricultural stone walls, and farmers' perceptions changed greatly in the
same period as crop patterns changed regionally. Secondly, Wimi-ri is
noted as the place where farmers' perceptions changed most significantly.
Thirdly, the period when stone walls were considered most necessary by
farmers was when they started mandarin farming and when they switched
from rice cultivation to dry-field farming. Other than that, environmentally-friendly farming, landscape value, and protection from wild
animals are also deeply related to perception changes. Fourthly, the period
when the perceived necessity was lowest was when windbreak trees grew
over 10 meters high, thereby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stone walls;
when sunshine was blocked due to stone walls; and when crop cultivation
changed from major food crops to root vegetabl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existing forms of agricultural stone walls with reference to
Jeju agriculture, along with regional differences in farmers' perceptions of
them. Secondly,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on agricultural stone walls,
this study uses systematic methods, preparing the ground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on Jeju agricultural stone walls in the future.
Thirdly, this study provides diverse data on Jeju agricultural stone walls,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regional agricultural stone walls. Fourthly,
this study outlines preservation plans for stone walls and data for
estimating future changes in farmers' relationships with stone walls.
As see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xisting forms of
agricultural stone walls change according to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of
a specific region, and farmers' perceptions of them also change according
to crop changes. Based on these results, rapid change is expected with
regard to agricultural stone walls. Therefore, in order to preserve and
maintain agricultural stone walls, more research on preservation plans is
needed along with analysis on their actual conditions rather than focusing
on application plans.
Author(s)
강성기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488
Alternative Author(s)
Kang, Seong-Gi
Department
대학원 사회교육학부초등사회과교육전공
Advisor
정광중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배경과 목적 1
2. 연구방법과 내용 2
3. 사례지역 선정배경 4
4. 연구 동향 7
II. 제주도 농업환경의 변화와 특징 15
1. 자연환경으로 본 제주도 농업환경의 특징 15
2. 인문환경으로 본 제주도 농업환경의 변화와 특징 17
1) 주요 밭작물 변화로 본 제주도 농업환경의 변화와 특징 17
2) 감귤농업으로 본 제주도 농업환경의 특징 19
3) 경지정리사업으로 본 제주도 농업환경의 특징 22
4) 농업의 기계화로 본 제주도 농업환경의 특징 24
Ⅲ. 밭담이 존재하지 않는 무장전 지역: 고산리의 사례 27
1. 사례지역 개관 및 범위 27
2. 농업환경의 변화 29
1) 경지정리사업 이전 농업환경 29
2) 경지정리사업 이후 농업환경 30
3. 무장전 지대의 형성 배경과 특징 38
1) 무장전 지대의 형성 배경 38
2) 무장전 농업환경에서의 생활 문화적 특징 41
4. 무장전 농업환경에 대한 농가인식과 대응 46
1) 무장전 농업환경에 대한 농가인식 46
2) 무장전 농업환경에 대한 농가 대응 51
5. 소결 58
IV. 밭담의 잔존상태가 양호한 지역: 하도리의 사례 60
1. 사례지역 개관 및 범위 60
2. 농업환경의 변화 62
1) 시기별 농업환경의 변화 62
2) 토지이용도로 본 농업환경 67
3.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 75
1)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 75
2)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규모 77
4. 밭담에 대한 농가인식 82
1) 사례농가의 농업현황 83
2) 밭담의 축조와 제거 사례로 본 농가인식 83
3) 밭담의 보수 사례로 본 농가인식 87
4) 밭담의 필요성에 대한 농가인식 92
5) 경지 입구로 본 농가인식 97
5. 소결 100
Ⅴ. 밭담이 변화가 심한 지역: 위미리의 사례 102
1. 사례지역 개관 및 범위 102
2. 농업환경의 변화 104
1) 감귤 도입 전 농업환경 104
2) 감귤 도입 후 농업환경 106
3) 토지이용도로 본 농업환경 115
3.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 121
1)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 121
2)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규모와 분포현황 123
4. 밭담에 대한 농가인식 128
1) 사례농가의 농업현황 128
2) 밭담의 축조와 제거 사례로 본 농가인식 128
3) 밭담의 보수 사례로 본 농가인식 134
4) 밭담의 필요성에 대한 농가인식 137
5. 소결 140
Ⅵ.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 차이 142
1.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 142
2. 밭담에 대한 농가인식 차이 149
1) 밭담의 필요성에 대한 농가인식 149
2) 밭담의 필요성에 대한 농가인식의 변화 153
Ⅶ. 결론 및 제언 159
참고문헌 164
Abstract 170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성기. (2015). 제주도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에 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Social Science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