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 복지태도의 유형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ypology of adolescence's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내 3개 중학교 316명, 3개 고등학교 345명, 2개
대학교 310명으로 총 97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복지태도 유형화와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태도의 구성요소별 수준은 국가책임(4.30점), 효과성(3.88점), 실천의
지(3.87점)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 높은 평균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복지태도의 수준은 여자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교
급별에서는 학년이 높을수록 복지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셋째, 복지태도를 국가책임, 효과성, 실천의지로 개념화하고, 이러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복지태도의 영역을 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국가주도 이타형, 민간주도
이타형, 민간의존 이타형, 국가주도 배타형, 민간주도 배타형, 국가의존 배타형,
민간의존 배타형 등의 여덟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유형들의 분포를 살펴보
면, 민간의존 배타형이 28.2%로 가장 많았으며, 국가주도 이타형이 22.6%를 차지
하고 있었다.
넷째, 어떠한 영향요인에 의해 바람직한 복지태도 유형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
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지태도의 구성요소별 분석인 1차원
분석, 2차원 분석, 3차원 분석에서는 인권의식의 하위변인 중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인식이 높을수록 바람직한 복지태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대중
매체 이용경험에서는 부모와 함께 영상물 시청을 하는 집단일수록 바람직한 복
지태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았다. 정치적 효능감에서는 내재적 효능감이 높을수
록 긍정적인 복지태도가 나타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 국가책임에서는 가정소득,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사회적 약자·
소수자의 권리, 인터넷 의견교환, 부모와의 영상물 시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기능의 효과성에서는 학교급별, 시민·정치적 권리, 경제·사회·문화
적 권리,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권리, 인터넷 의견 교환, 부모와의 영상물 시청,
내재적 효능감이 영향을 미쳤다. 복지실천의지는 시민·정치적 권리,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권리, 부모와의 영상물 시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태도 전체에 대해서는 가정소득, 시민·정치적 권리, 경제·
사회·문화적 권리,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권리, 인터넷 의견교환, 부모와의 영상
물 시청, 내재적 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종합할 때 인권의식, 정치효능감, 대중매체 이용경험은 복지태도
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복지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복지태
도를 국가책임, 효과성, 실천의지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개념으로 체계
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복지태도를 세 가지 구성요소의 높고 낮음을 조합한 1차원 분석, 2차원
분석, 3차원 분석 등을 통해서 여덟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국가주도 이타형, 민간
주도 이타형, 국가의존 이타형, 민간의존 이타형, 국가주도 배타형, 민간주도 배
타형, 국가의존 배타형, 민간의존 배타형으로 명명된 여덟 가지 유형은 청소년의
복지태도 실태를 진단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복지태도의 재개념화는 복지교육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와 방향을
명확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는 복지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
다.
넷째, 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의 복지태도 실태에 대한 연구는 청
소년의 복지태도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탐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
다.
다섯째, 본 연구는 복지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검증을 통해
복지태도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선 학교
급별 발달단계를 고려한 복지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성찰해 볼 수 있다. 또한
남녀에 따른 복지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성별에 따른 복지교육정책을 달리 시
행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여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교과서가 복지태도 함양에 있어서 판
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통합사회과에서 복지와 관련된 내용이 복지태도를 고
르게 양성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는지 검토함으로써, 최근 실시되고 있는 교육과정 에서의 복지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일곱째, 본 연구는 제주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복지태도의 세 가지 구성요소
를 중심으로 유형화 하였고, 유형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이
러한 지방정부차원에서의 복지태도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정
부차원에서의 정책을 집행함에 있어 국민들의 복지태도에 대한 의식수준을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typology of adolescence's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and influencing factors with a total of 971 students (316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s, 345 students from 3 high schools, and 310
college students from 2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factors constructing their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showed overall high average distribution; government's responsibility
(4.30), effectiveness (3.88), and willingness to act (3.87), respectively.
Secondly, female students have a higher level of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than male students do. When it comes to grades, the higher
grade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system.
Thirdly, the attitudes were conceptualized as consisting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effectiveness, and willingness to act. The conceptualized
attitudes led the scopes of the attitudes to be classified into 8 different types;
government-leading altruistic type(22.66%), private-leading altruistic
type(6.69%), government-depending altruistic type(8.75%), private-depending
altruistic type(8.03%), government-leading exclusive type(8.55%),
private-leading exclusive type(9.37%), government-depending exclusive
type(7.72%), and private-depending exclusive type(28.22%).
Fourthly, based on the analysis of logistic regression, the higher consciousness of right regarding economy, society, and culture which were
sub-variables of human right, the higher likelihood of government-leading
altruistic type through 1, 2, and 3 dimensional analysis by constructing
factors. In terms of the experiences of mess media, a group of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mess media with their parents' presence were more likely to
prefer government-leading altruistic type of attitude than other groups. The
stronger internal efficacy they have,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hey have
when it comes to political efficacy.
Lastly, the result of analysis of hierarchical regression presented that
government's responsibility over social welfare system would be influenced by
house income, social/economic/cultural rights, the rights of marginalized
group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experiences of mess
media with parents. Also,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functioning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grades, civil and political rights,
social/economic/cultural rights, the rights of marginalized group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internal efficacy. Additionally,
willingness to engage in social welfare was influenced by civil and political
rights, social/economic/cultural rights, the rights of marginalized groups, the
experiences of mess media with parents. Overall, it is confirmed that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had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house income,
social/economic/cultural rights, the rights of marginalized group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experiences of mess media with
parents,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internal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described abo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introduced as follows.
Firstl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could be practically conceptualized as a combination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effectiveness, and willingness to act.
Secondly, the attitudes could be classified into 8 types by the 1, 2, and 3 dimensional analysis; government-leading altruistic type, private-leading
altruistic type, government-depending altruistic type, private-depending
altruistic type, government-leading exclusive type, private-leading exclusive
type, government-depending exclusive type, and private-depending exclusive
type. It is believed that this typologically unique approach c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and useful tool to make a diagnosis of adolescence's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Thirdly, re-conceptualization of social welfare attitudes would probably be
helpful to set a goal and direction of education in terms of social welfare.
Simultaneously, this advantage would contribute to a educational structure of
social welfare.
Fourthl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facilitate more deepen
understandings of adolescence's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and discover
latent or manifest problems and issues.
Fifth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practical plans and
approaches in order to enhance attitudes about social welfar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hat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would be evaluated in an
appropriate way with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ver social welfare
attitudes. Also, there should a distinguishable method to decide a proper
educational approach by gender.
Sixthly, a newly designed textbook 'Society' based on 2015 curriculum could
be investigated if it provides enough background nurturing positive attitudes
of social welfare.
Lastly, although this study was performed over adolescence at a local level
within Jeju area in terms of their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imported and utilized at a national level to
verify the attitudes of entire Koreans.
Author(s)
김상미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19
Alternative Author(s)
Kim, Sang-Mi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및 구성 7
3. 연구의 주요 개념들 10
1) 복지태도 10
2) 인권의식 11
3) 정치효능감 12
4) 대중매체 이용경험 12
Ⅱ. 이론적 배경 14
1. 종속변수: 복지태도 14
1) 복지태도의 개념 14
2) 복지태도의 형성 및 영향요인 17
3) 복지태도의 구성요소 21
4) 복지태도의 유형과 특성 26
2. 독립변수 34
1) 인권의식 34
2) 정치효능감 45
3) 대중매체 이용경험 48
3. 선행 연구 고찰 52
1) 복지태도의 다차원적 관점 52
2) 복지태도 영향 요인에 대한 고찰 55
Ⅲ. 연구방법 60
1. 연구모형 60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61
3. 연구 변인 62
1) 종속변인 63
2) 독립변인 64
4. 분석 방법 67
Ⅳ. 연구결과 69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69
2.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 70
3. 복지태도 유형화에 따른 영향분석 74
1) 복지태도의 1차원 분석 74
2) 복지태도의 2차원 분석 78
3) 복지태도의 3차원 분석 90
4.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2
1)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102
2) 복지태도 구성요소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4
3)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8
Ⅴ. 결론 및 제언 110
1. 연구결과 요약 110
2. 연구의 함의 114
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17
참고문헌 120
설문지 131
요인분석 후 설문문항 구성 140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상미. (2015). 청소년 복지태도의 유형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