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교육용 바디스 원형 평가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Basic Bodice Pattern Evaluation for Educational Purpose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용 바디스 원형간의 특징을 비교하고 불특정 다수에게 맞음새
가 좋은 교육용 바디스 원형을 선정하기 위한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방식에 의한 착의평가 방법을 진단하고 논의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다양한 접근을 통해 착의평가 방법에 관한 고찰과 개선점을 모색하
고자 하였다.
교육용 바디스 원형 비교· 평가를 위하여 비교 원형 4종을 선정한 후 KS
K0051:2009 정장 상의, 원피스의 호칭 및 신체치수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각 원
형을 제도하였다. 불특정 다수에게 맞음새가 좋은 교육용 바디스 원형을 평가하
기 위해 기성복 선택 시 기준이 되는 젖가슴둘레를 기준으로 피험자를 선정하여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방식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하기 위해 그 결과를
원형 치수 계산도구를 적용하여 나온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형별 피험자 전체에 대한 착의평가 결과, 정면에서는 11항목 중 9항목
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후면에서는 11항목 중 5항목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옆면과 전체에서는 6항목 중 4항목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82-88-155 치수의 원형별 착의평가 결과, 정면에서는 11항목 중 5항목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후면에서는 11항목 중 4항목에 대하여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내었다. 옆면과 전체에서는 6항목 중 3항목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내었다. 85-91-160 치수의 원형별 착의평가 결과, 정면에서는 11항목 중 9항목
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후면에서는 11항목 중 2항목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옆면과 전체에서는 6항목 중 2항목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
를 나타내었다. 88-94-165 치수의 원형별 착의평가 결과, 정면에서는 11항목 중
5항목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후면과 옆면, 전체에 대한 항목에서는 유
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다. 어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한 사후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모든 항목에서 H식이 높은 평가를 받은 집단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원형 치수 계산도구를 활용하여 어깨각도, 목옆젖
꼭지길이 및 젖꼭지사이수평길이, 목밑둘레 , 진동깊이및 진동둘레, 어깨사이길
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와 겨드랑뒤벽사이길이 등 6항목에 대해 원형의 치수와
신체치수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어깨각도는 최소차이와 최대차이의 범위
가 H식이 8.65〫, J&K식이 8.8〫. L식이 9.31〫, N식이 9.48〫순으로 신체치수와 원
형 간에 차이 편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옆젖꼭지길이는 J&K식이 –8.6~
18.9㎜로, N식은 –16.7~13.3㎜, H식은 –10.7~12.3㎜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으
며, 최대최소차를 보면, H식 23.0㎜, J&K식 27.5㎜, N식 30.0㎜순으로 나타났다.
젖꼭지사이수평길이는 J&K식이 –16.7~-6.7㎜, N식이 10.0~19.9㎜, H식이 -6.
3~2.3㎜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최대최소차를 보면, H식 8.8㎜, N식 9.9㎜,
J&K식 10.0㎜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J&K식은 모든 피험자의 신체치수에 비해
원형치수가 더 길게 설정이 되었고, N식은 모든 피험자의 신체치수에 비해 원형
치수가 짧아 젖꼭지사이수평길이의 재설정이 필요하였다. 목밑둘레는 J&K식 –
18.3~8.3㎜, N식 –24.8~0.2㎜, L식 –23.6~4.5㎜, H식 –24.7~2.9㎜의 범위에서 차
이를 보였고, N식 25.0㎜, J&K식 26.68㎜, H식 27.57㎜, 28.1㎜ 순으로 나타났다.
진동깊이는 J&K식 –57.3~–45.3㎜, N식 –57.6~-46.2㎜, L식 –57.8~-50.8㎜,
H식 –54.0~-46.4㎜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신체치수에 부족하지 않
았다. 최대최소차를 보면, L식 7.0㎜, H식 7.6㎜, N식 11.4㎜, J&K식 12㎜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진동깊이 설정 시 L식은 C/6+7cm, H식은 C/8+10cm로 가
슴둘레를 사용하는 반면, N식과 J&K식은 B/4로 젖가슴둘레를 사용하는 것과 연
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진동둘레는 J&K식 –48.6~–27.1㎜, N식 –42.3~
-23.1㎜, L식 –49.7~-34.7㎜, H식 –29.0~-14.0㎜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신체치수에 부족하지 않았다. 최대최소차를 보면, L식과 H식이 15.0㎜, N식
19.3㎜, J&K식 21.5㎜순으로 나타났다. 어깨사이길이는 J&K식 –9.7~15.4㎜, N식
–15.6~9.9㎜, H식 –25.4~5.6㎜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고, 최대최소차를 보면,
J&K식 25.1㎜, N식 25.5, H식 31.0㎜순으로 나타났다. 겨드랑앞벽사이길이는 J&K식
–33.3~-13.3㎜, N식 –33.3~-13.3㎜, L식 –36.7~-16.0㎜, H식 –37.9~-22.4㎜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고, H식이 15.5㎜, J&K식과 N식이 20.0㎜, L식 20.7㎜ 순으로 나타났다. 겨드랑뒤벽사이길이는 J&K식 –18.3~6.7㎜, N식 –18.3~6.7㎜, L
식 –15.7~10.0㎜, H식 –21.4~-1.4㎜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고, H식 20.0㎜, N식
과 J&K식 25.0㎜, L식 25.7㎜순으로 피험자에 따른 편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기존의 착의평가 방법을 진단하고 비교하기 위해 원형 치수 계산도구의
각 항목과 상관관계가 높은 착의평가 항목에 대해 Mann Whitney검증한 결과,
원형 전체와 J&K식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나 N
식은 '진동둘레'항목과 '어깨각도'항목, L식은 '진동둘레'항목, H식은 '목밑둘레'항
목과 '겨드랑뒤벽사이길이'항목에서 원형 치수 계산도구 결과와 착의평가 항목의
결과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착의평가 시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는 검사항목에 대해 원형 치
수 계산 도구를 사용, 정량적 수치와의 비교를 통해 고찰해본 결과, 시각적 평가
가 모호한 몇 가지 항목에 대해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점 진단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착의평가의 피험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연
령층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였으므로 기존 착의평가 검사 방법 개선점 결정에는
약간의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과 다수의 피험자
를 통한 원형 평가 방법 검증을 시도하고, 평가항목에 대해 다양한 정량적 검증
을 통해 진단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착의평가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고 신뢰도가 높은 개선된 착의평가 항목을 제시할 것이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regarding evaluation for
selecting bodies original form for education which is good in fitness for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by comparing characteristics between bodies for
education . While putting meaning in diagnosing and discussing wearing tests
per existing methods, we have attempted to find contemplation and
improvements regarding wearing tests through various approaches.
For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bodies' original forms for education
purpose, we have institutionalized each original form by utilizing data of KS
K0051:2009 full dress jacket and appellation and body size of one-piece dress
after selecting 4 comparison original forms. For evaluating bodies original
forms for educational purpose with a good fitness for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we have implemented wearing tests by selecting examinees based on
bust circumference which becomes a criteria when selecting ready-made. We
have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application of calculation tool of
original form size to its results for finding improvements on existing methods.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in wearing tests results for the entire examinees per original form, in
the front,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9 items out of 11 items, in the
back,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5 items out of 11 items and in
the side and the whole,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4 items out of 6
items. In wearing tests result per original form for the size of 82-88-155, in
the front,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5 items out of 11 items, in the
back,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4 items out of 11 items. In the side
and the whole,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3 items out of 6 items. In
wearing tests result per original form for the size of 85-91-160,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9 items out of 11 items in the front. In the back,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2 items out of 11 items and in the side and
the whole,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2 items out of 6 items. In
wearing tests result per original form for the size of 88-94-165, in the front,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5 items out of 11 items. In the back, the
side and the whole, there was no item tha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post facto verification result for finding out whether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which groups, it was found out that H TYPE belonging to
a group receiving high evaluation in all item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 as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the size
of original form and the body size regarding 6 items such as neck angle,
neck shoulder point to breast point length and bust point to bust point length,
neck base circumference, armscye depth and armscye circumference,
biacromion length, interscye front and interscye back by utilizing original
form size calculation tool suggested in preceding studies, the scope minimum
difference and maximum difference of neck angle showed the sequence that H
TYPE was 8.65〫, J&K TYPE was 8.8〫. L TYPE was 9.31〫and N TYPE was
9.48〫by showing that difference deviation between the body size and the
original form was small. Neck shoulder point to breast point length showed
the scope of difference with –8.6~18.9㎜ in J&K TYPE, 16.7~13.3㎜ in N
TYPE and –10.7~12.3㎜ in H TYPE. When looking into maximum
minimum differences, it was indicated in the sequences of H TYPE 23.0㎜,
J&K TYPE 27.5㎜ and N TYPE 30.0㎜. Bust point to bust point length
showed difference within the scope that J&K TYPE was –16.7~-6.7㎜, N
TYPE was 10.0~19.9㎜ and H TYPE was -6.3~2.3㎜. When looking into
maximum minimum difference, it was shown in the sequences of H TYPE
8.8㎜, N TYPE 9.9㎜ and J&K TYPE 10.0㎜. In addition, in J&K TYPE,
original form size was set longer compared to the body sizes of all
examinees and N TYPE required re-establishment of bust point to bust point length since original form size of all examinees was shorter compared to the
body size. Arm base circumference showed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J&K TYPE –18.3~8.3㎜, N TYPE –24.8~0.2㎜, L TYPE –23.6~4.5㎜ and
H TYPE –24.7~2.9㎜ and it was shown in the sequences of N TYPE 25.0
㎜, J&K TYPE 26.68㎜, H TYPE 27.57㎜ and 28.1㎜. Armscye depth showed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J&K TYPE –57.3~–45.3㎜, N TYPE –57.
6~-46.2㎜, L TYPE –57.8~-50.8㎜ and H TYPE –54.0~-46.4㎜ and it was
not lacking in all body sizes. When looking into maximum minimum
difference, it showed differences in the sequences of L TYPE 7.0㎜, H TYPE
7.6㎜, N TYPE 11.4㎜ and J&K TYPE 12㎜. It seems like that it is related to
the facts that L TYPE was C/6+7cm and H TYPE was C/8+10cm and used
chest circumference when establishing armscye depth while N TYPE and
J&K TYPE were B/4 and used bust circumference. Armscye circumference
showed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J&K TYPE –48.6~–27.1㎜, N TYPE
–42.3~-23.1㎜, L TYPE –49.7~-34.7㎜ and H TYPE –29.0~-14.0㎜ and it
was not lacking in all body sizes. When looking into maximum minimum
differences, it was shown in the sequences that L TYPE and H TYPE were
15.0㎜, N TYPE 19.3㎜ and J&K TYPE 21.5㎜. Biacromion length showed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J&K TYPE –9.7~15.4㎜, N TYPE –15.6~9.9
㎜ and H TYPE –25.4~5.6㎜ and when looking into maximum minimum
differences, it was shown in the sequences of J&K TYPE 25.1㎜, N TYPE
25.5 and H TYPE 31.0㎜. Interscye front showed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J&K TYPE –33.3~-13.3㎜, N TYPE –33.3~-13.3㎜, L TYPE –36.7~
-16.0㎜ and H TYPE –37.9~-22.4㎜ and it was indicated in the sequences
that H TYPE was 15.5㎜, J&K TYPE and N TYPE were 20.0㎜ and L
TYPE was 20.7㎜. Interscye back showed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J&K TYPE –18.3~6.7㎜, N TYPE –18.3~6.7㎜, L TYPE –15.7~10.0㎜ and
H TYPE –21.4~-1.4㎜ and it showed smallest deviation according to
examinees in the sequences of H TYPE 20.0㎜, N TYPE and J&K TYPE 25.0㎜, L TYPE 25.7㎜.
Third, as the result of Mann Whitney Test regarding wearing tests items
having high correlation with each item of original form size calculation tools
for diagnosing and comparing existing wearing test methods, J&K TYPE in
original forms did not have items showing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items
but N TYP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original form size
calculation tool result and the result of wearing tests item in 'armscye
circumference' item and 'neck angle' item while L TYPE in 'armscye
circumference' item and H TYPE in 'neck base circumference' item and
'interscye back' item.
Regarding inspection items which are quoted most frequently during
wearing tests,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rough comparison with
quantitative size by using original form size calculation tool, it is believed
there is meaning in improvement diagnosis as it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s regarding several items with ambiguity of visual evaluation.
However, as the number of examinees of wearing tests was small and
verification for various age groups was lacking, it may have a little limits in
deciding improvement of existing wearing test inspection methods. In the
future studies, we will attempt verification of original form evaluation
methods through various age groups and lots of examinees and regarding
evaluation items, we will diagnose through various quantitative verifications.
Accordingly, we will be able to present improved wearing tests items with
high credibility while obtaining efficient and consistent results in wearing
tests.
Author(s)
홍희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30
Alternative Author(s)
Hong, Hee-jin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권숙희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배경 1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3
II. 이론적 배경 5
1. 의복 원형의 이해 5
2. 착의평가 9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13
1. 기본원형 제도법 비교 13
1) 비교원형 선정 13
2. 피험자 선정 17
3. 원형 평가검증 19
1) 착의평가 19
2) 원형 치수 계산도구를 이용한 평가 21
3) 착의평가와 원형 치수 계산도구의 비교 검증방법 22
4. 자료 분석 도구 23
IV. 연구결과 및 고찰 24
1. 착의평가 결과 24
1) 전체 치수에 대한 원형별 착의평가 25
2) 82 원형별 착의평가 30
3) 85 원형별 착의평가 37
4) 88 원형별 착의평가 44
2. 원형 치수 계산도구를 이용한 평가 51
1) 어깨각도 비교 51
2) 목옆젖꼭지길이 및 젖꼭지사이수평길이 비교 52
3) 목밑둘레 비교 53
4) 진동깊이 및 진동둘레 비교 54
5) 어깨사이길이 비교 55
6) 겨드랑앞벽사이길이와 겨드랑뒤벽사이길이 비교 56
3. 착의평가와 원형 치수 계산도구의 비교 58
1) J&K식 58
2) N식 59
3) L식 59
4) H식 60
5) 원형 전체 61
V. 결론 62
1. 연구목적 및 결과 요약 62
2. 연구의 의의 65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6
참고 문헌 67
부록 70
Abstract 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홍희진. (2015). 교육용 바디스 원형 평가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