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시
행하고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성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
음과 같다.
연구문제 첫째,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향은 변화가 있는가?
연구문제 둘째,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통제
력에 효과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은 제주시 소재 N초등학교 6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총 15문항으로 구성
된 청소년 자가진단 스마트폰 중독 척도 검사와 이경님(2000)에 의하여 재수정
된 자기통제력 척도를 김자영(2012)이 인용한 총 34문항으로 구성된 자기통제력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 자기통제력에서 유
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27명)과 통제집단
(26명)으로 선별하였다. 실험집단은 1주일에 2회기씩 5주 동안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김희진(2014)이
개발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토대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의 여러 가지 원인 중 선행연구에서 많이 제시된 자기통제력
을 향상시키는 내용과 스마트폰 자체특성을 이해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편으로
스마트폰 인식 내용,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자기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스
마트폰 대체 활동 내용,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과 관련한 올바른 감정 표
현 및 대인관계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홍선희(2015) 프로그램의 정서 관리적
요소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요소로 구성하고
자 정서림(2014), 김희진(2014), 홍선희(2015)의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의 내용
및 활동을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지도교수 1인, 전문상담교사 1인, 초등학
교 담임교사 2인에게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 17.0 프로그램에서 t-검증(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을 처리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
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감문 분석과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
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스마트폰 중
독 성향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통제력
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성향 감소와 자기통제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
교 현장에서 일반 교사가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
램으로 재구성하여 적용한 점,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구
안한 점, 스마트폰과 관련한 정서를 바르게 이해하는 활동 및 SNS의 바른 사용
에 대한 활동이 함께 이루어진 점, 스마트폰 중독의 개인 심리적 요인인 자기통
제력과 관련한 내용이 함께 이루어 진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as its purpose
in finding out the effects on the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self-control.
The first research problem was did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change?
Secondly, does the group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have any effects on the self-control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 15question
self-diagnosis test for teenagers on smartphone addiction develop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 and a 34 question test on
self-control quoted by Kim Ja Young(2012) which was originally
re-modified by Lee Kyung Nim(2000) were conducted on 6th graders
attending N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preliminary test,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and 2 classes tha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control were selected to form group of an experimental
group(27) and control group(26).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5 weeks, while nothing was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u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Kim
Hee Jin(2014) and includes contents to increase self-control which among
many reasons for smartphone addiction has been presented various times
in preceding researches, contents of smartphone perception for
understanding and adjusting the self-characteristics of smartphones,
contents of alternative activities for smartphones for increasing
self-control abilities while using smartphones, and the emotion control
factors of a program developed by Hong Sun Hee(2015) for increasing
proper emotional expressions and personal relationship skills related to
smartphones of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lso, in order to
compose a proper factor to increase self-control,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of Jung Seo Lim(2014), Kim
Hee Jin(2014), and Hong Sun Hee(2015) were supplemented and applied.
Then the final program was re-created through a revising and
supplementing process with the advisory of a leading professor, a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and 2 elementary class teachers.
To process the data, statistic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s(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with the SPSS/Window 17.0
program, and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s of the reliability of a
qualitative result, opinion sheets and examining logs wer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of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self-control of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results above, it was shown that the group counseling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is effective on decreasing tendencie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increasing self-contro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regarding that it re-created and appli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that a normal teacher can
apply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designed an effective program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included activities of proper SNS use
and activities of understanding smartphone related emotions, and that it
included contents related to self-control which is a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 of smartphone addiction.
Author(s)
고진선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41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연구가설 5
4.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스마트폰 중독 8
2. 자기통제력 13
3.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 16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연구설계 23
3. 연구절차 24
4. 연구도구 24
5. 자료처리 2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9
1.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29
2. 가설검증 30
3. 소감문 및 연구자의 관찰에 의한 분석 37
Ⅴ. 논의 및 제언 48
참고문헌 51
58
부록목차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진선. (2015). 스마트폰 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