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이 사회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이 사
회심리적 웰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
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제주도내 소재의 중·고등학교 남·여 학생 3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설문자료의 검정에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과 성별, 학교 급별에 따른 심리사회적 웰빙
의 차이는 부모와의 갈등에 있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 및 성적, 미디어사용, 일상생활, 가족관계에서 갈등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리사회적 웰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긍정적 자기
인식, 자기 주장성이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학교 급에 따른 부모와의 갈등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
데, 이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진로 및 성적, 미디어사용, 일상생활, 가족관계에서
갈등이 더 높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심리사회적 웰빙은 학교 급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
관계, 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주장성에서는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과 심리사회적 웰빙의 일반적 경향은 청소년이 지각
한 부모와의 갈등은 일상생활 갈등이 가장 높았고, 진로 및 성적 갈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긍정적 자기 인식이 가장 높고 자기주장성, 가족관계, 교사관
계는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으며, 친구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 및 하위요인과 심리사회적 웰빙 및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과 심리사회적 웰빙은 부모와의 갈등이 높을수록 심리사회
적 웰빙도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일상생활 갈등과 가족관계 갈등
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웰빙이 낮음을 의미한다. 미디어 사용 갈등은 심리사회적
웰빙에 직접적 영향은 없지만 미디어 사용 갈등이 높을수록 가족, 교사 및 친구관
계와 관련된 웰빙이 낮았다. 진로 및 성적 갈등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웰빙이 높
음을 의미하며, 특히 교사 및 친구관계와 관련된 웰빙이 높음을 의미한다. 심리사회
적 웰빙의 하위요인과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에 대한 관계에서는, 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주장성, 교사관계, 친구관계 모두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관계 요인이 낮을수록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이 높음을 의미한다.
넷째,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이 심리사회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청
소년은 가족, 친구, 교사, 친척들을 포함한 주위 인간관계에 대해서 개인이 지지체
계로 생각하는 정도가 높으며, 일상생활의 갈등수준이 낮을수록 심리적 웰빙 수준
이 높고, 낮을수록 스트레스로 인한 고통이 많다. 또한 진로 및 성적 갈등이 높을수
록 심리사회적 웰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관계 갈등이 높을수록 심리
사회적 웰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현재 청소년들의 부모와의 갈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으나, 사회심리적 웰빙에 관한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 부모와의 갈등 상황들이 어떠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회심리적 웰
빙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를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부모와의 갈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청소년들이 가정, 학교 생활을 즐겁고 의미있게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부모를 대상으로 청소년의 실
제적인 이해와 사고방식, 가치관 등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가정 내
자녀와의 갈등 문제를 어떻게 대처하고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 and influence of
conflicts with parents perceived by Korean adolescents on psychosocial
wellbeing.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0 male/female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Jeju-do. Using SPSS 20.0 program to examine the survey data,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psychosocial wellbeing in accordance with
conflicts with parents perceived by adolescents, sex, and school clas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t means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conflicts in career, school record, media use, daily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than female students. In regard of psychosocial wellbeing,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which means that female students
have higher family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positive
self-awareness, and self-assertiveness than male students.
In case of conflicts with parents in accordance with school clas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er conflicts in career, school
record, media use, daily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psychosocial wellbeing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school class. It means that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
the same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positive self-awareness, and self-assertiveness.
Second, regarding the general tendency of the perceived conflicts with
parents and psychosocial wellbeing, the conflicts with parents perceived by
adolescents were the highest in daily life while the conflicts in career and
school record were the lowest. The positive self-awareness was the highest
and the peer relationship was the lowest while self-assertiveness, family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ived
conflicts with parents & sub-factors, and psychosocial wellbeing &
sub-factors are like below.
Regarding the perceived conflicts with parents and psychosocial wellbeing,
when the conflicts with parents were high, the psychosocial wellbeing was
low. Among its sub-factors, when the conflicts in daily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are high, the psychosocial wellbeing is low. Even though the
conflicts in media use had no direct influence on psychosocial wellbeing,
when the conflicts in media were high, the wellbeing related to family,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 was low. When the conflicts in career and school record are high, the psychosocial wellbeing is high, especially, the
wellbeing related to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psychosocial wellbeing and perceived conflicts with parents, all
the positive self-awareness, self-assertiveness, 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were not related to the perceived conflicts with parents. It means
that the perceived conflicts with parents are high when the factors of family
relationship are low.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conflicts
with parents on psychosocial wellbeing, adolescents highly considered that
each individual would be the supporting system for surrounding human
relations including family, peer, teacher, and relative. When the level of
conflicts in daily life is low, the level of psychosocial wellbeing is high and
the pain caused by stress is much. Also, when the conflicts in career and
school record were higher, the psychosocial wellbeing was increased. When
the conflicts in family relationship were higher, the psychosocial wellbeing
was decreased.
In spite of such active researchers on the conflicts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most of the studies on psychosocial wellbeing is mainly
targeting adults. Also,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the interactions and
influence of conflicts with parents on psychosocial wellbeing.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
conflicts with parents in daily life, and also to help adolescents enjoy more
meaningful family/school life.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of
parents education helpful to actually understand adolescents' mentality and
values, and also to smoothly cope with/solve conflicts with children at home.
Author(s)
최현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43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혜숙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표 목 차 ⅲ
국문초록 ⅴ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부모와의 갈등 6
2. 사회심리적 웰빙 13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5
2. 연구절차 26
3. 측정도구 26
4. 자료분석 28
Ⅳ. 연구결과 29
1. 성별, 학교 급별에 따라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과 사회심리적 웰빙 의 차이 29
2.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과 심리사회적 웰빙의 일반적 경향 32
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과 사회심리적 웰빙의 상관관계 33
4.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이 심리사회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38
Ⅴ. 결론 및 제언 40
1. 요약 및 결론 40
2. 제언 44
참고 문헌 45
Abstract 50
설 문 지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현진. (201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이 사회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