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라산 습지에서 잠자리목 곤충의 분포특성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Odonata Insects in Wetland on Halla Mountain
Abstract
본 연구는 화구호와 초지대 습지 등 고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습지가 존재하는 한라산에서 습지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잠자리목 곤충의 분포특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잠자리목 곤충의 출현 종수와 개체수는 2년 동안(2014~2015) 전체적으로 5과 21종 1,257개체였다.
종별로는 전체적으로 배치레잠자리가 250개체로 우점하였으며, 아시아실잠자리가 203개체로 아우점하였다. 모든 습지에서 관찰된 종은 된장잠자리이며 다음으로 왕잠자리, 배치레잠자리, 아시아실잠자리 등이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월별로는 8월이 종수와 개체수가 가장 많았으며, 종수는 10월이 가장 적고 개체수는 6월이 가장 적었다. 고도에 따른 종수와 개체수는 673m에서 시작하여 883m에서 최고값을 보였고, 그 후에는 점차 감소하였는데 해발 1,540m에서 다시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화구형 습지에서 18종 1,034개체, 초지대형 습지에서는 13종 223개체가 관찰되었으며 분화구형 습지에 개체수가 훨씬 많았다. 각 종별로 관찰된 습지 수는 분화구형에서 60%, 초지대형에서 40%의 비율로 나타났다. 전체 개체수에서 82%가 분화구형 습지에서 관찰되었다. 분화구형 습지와 초지대형 습지에서 모두 우점도는 비슷하였다. 종다양도와 종균등도 지수는 초지대형에서 2배 가까이 높았으며 종풍부도에서는 분화구형이 조금 높았다.
우기형 습지에서 14종 458개체, 연중형 습지에서 19종 799개체가 출현하였다. 우기형 습지와 연중형 습지에서 우점도는 비슷하였다. 종다양도는 우기형에서 더 높았으며, 종 풍부도는 연중형에서 더 높았다. 반면 종 균등도는 우기형에서 조금 더 높았다.
잠자리는 종에 따라 산란하는 장소나 방식이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에 산란하는 종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그 외에 식물조직내 산란하는 종, 습지 주변 풀숲에 알을 흩어 뿌리는 타공산란 등이 관찰되었다. 잠자리의 휴식공간이 종에 따라 다르며 선호하는 장소를 선택하고 휴식하면서 체온조절을 하기 위하여 특별한 자세를 취하는 종도 있었다. 잠자리의 비행공간과 경로도 종에 따라 다르며 수컷들의 영역비행에서 나타나는 비행경로와 공간이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란처, 망루, 공간이용 측면에서 종간 니체중복 정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종복지수가 낮은 경우의 빈도수가 높았다. 한라산 습지에서 잠자리들은 종간에 서로 충돌 및 경쟁을 피하는 방향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활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깃동잠자리(Sympetrum baccha)와 들깃동잠자리(Sympetrum risi) 두 종 사이에서는 니체중복 정도가 매우 높았다. 공간적으로는 두 종은 산란장소를 제외한 휴식 및 비행공간에서 거의 중복이 되었다. 그러나 물장오리와 숨은물벵듸 습지에서처럼 같은 공간을 이용하는 겨우 시간적으로는 두 종간 발생량과 발생시기에 차이가 있어 충돌 및 경쟁을 최소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한라산의 습지들은 방목의 금지로 우마 등 대형동물의 답압(踏壓)이 제거되어 습지면적 자체가 줄어들 우려가 있다. 한라산 습지에서 잠자리목 곤충의 출현 및 분포는 습지형태 및 수계상태 또는 습지의 식생변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라산 습지와 생태계를 보존하는데 참고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Odonata species, which sensitively respond to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habitat, on Halla Mountain, Jeju, korea where various types of wetlands such as crater and grassland are located.
Survey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s a month in eight wetlands from June to October in 2014 and 2015. A total 1,257 individuals of 21 species belong to 5 families were observ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Dominance species was Lyriothemis pachygastra with 250 frequencies of observation (19.9%), followed by Ischnura asiatica with 203 individuals (16.1%). Pantala flavescens were found in all wetlands surveyed, and a wide distribution among wetlands was observed in the populations of Anax parthenope julius, Lyriothemis pachygastra, Ischnura asiatica. The number of Odonata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most abundance in August, while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occurred in June and October, respectively. The number of Odonata species and individuals increased to peak at altitude 883 m from 673 m, and thereafter decreased gradually with a small peak at 1,541 m.
The number of Odonata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observed much higher in crater wetlands (18 species with 1,034 individuals) than in grassland wetlands (13 species with 223 individuals). A 60% of total species was found in crater wetlands, while 40% in grassland wetlands. And a 82% of total individuals was in crater wetlands. Two type of wetlands showed a similar dominance index. The species diversity index in grassland wetlands was about double compared to the index in crater wetlands. The species richness index was slightly higher in crater wetlands than in grassland wetlands.
According to the type of permanent and temporary wetland, 458 individuals of 14 species were observed in temporary wetlands and 799 individuals of 19 species in permanent wetlands. Two type of wetlands showed a similar dominance index. The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were higher in temporary wetlands than in permanent wetlands. But species richness index was higher in permanent wetlands than in temporary wetlands.
The oviposition site and behavior were different by Odonata species. In this study, various types of oviposition were presented such as dipping (hitting) on the water surface, dropping in the air onto the waterside plants and inserting into plant tissue. Odonata species used various perching sites in wetlands. Several species displayed a special pose for regulation of body temperature. Also, males showed various flight path specific to Odonata species in different wetland space.
The frequency of niche overlap index between Odonata species in the utilization pattern of perching sites, oviposition sites and flight space was higher at a low class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This result indicated that each Odonata species tend to partition the niche components in order to avoid severe competition.
Niche overlap index between Sympetrum baccha and Sympetrum risi was very high, showing almost components with overlapping in perching sites and flight space except oviposition sites. But the species seemed to minimize the competition by not synchronizing the 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each other as observed in Muljangori and Sumeunmulbaengdi wetlands.
At present, grazing of cattle is prohibited in Halla mountain National Park area, resulting in the decline of wetlands area due to a low stepping pressure by large animals. Diversity,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Odonata species in wetlands on Halla mountain is likely influenced by the type of wetlands, hydrosphere and vegetation change. Consequently, this study should be valuable for the conservation of wetlands on Halla mountain and the ecosystem.
Author(s)
이수영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59
Department
대학원 농학과
Advisor
김동순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 ⅰ
List of Figures ⅲ
ABSTRACT ⅴ
Ⅰ. 서론 1
Ⅱ. 연구사 2
Ⅲ. 재료 및 방법 8
1. 연구대상지 8
2. 조사일정 10
3. 조사방법 및 동정 10
4. 군집분석 11
5. 공간적 니체(Niche)의 이용양상과 분할분석 12
Ⅳ. 결과 및 고찰 15
1. 잠자리 출현 종수 및 개체수 15
2. 월별 분포특성 16
3. 고도별 분포특성 18
4. 습지형태별 분포특성 20
5. 수계형태별 분포특성 22
6. 군집분석 23
7. 우화각 분포 및 개체수 25
8. 공간적 니체(Niche)의 이용양상 27
1) 산란형태 및 개체수 27
2) 휴식장소 29
3) 비행습성 32
(1) 수평적 공간의 이용 32
(2) 수직적 공간의 이용 35
(3) 비행 지속성 및 출몰습성 36
(4) 정지비행 및 후진비행 38
(5) 일주기 및 생활사 39
9. 공간적 니체(Niche)의 이용양상과 분할분석 41
1) 분할분석 과정 41
2) 전체 종간의 분할분석 결과 41
3) 산깃동잠자리와 들깃동잠자리에 대한 분할분석 46
(1) 물장오리에서의 시공간적 분할분석 48
(2) 숨은물벵듸에서의 시공간적 분할분석 48
Ⅴ. 요약 52
인용문헌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수영. (2015). 한라산 습지에서 잠자리목 곤충의 분포특성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Agricultural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