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산 농작물 피해지역의 노루 개체군 현황과 먹이자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atus of the Roe Deer (Capreolus pygargus) Populations and Dietary Resource in the Regions of Cultivated Plant Damage
Abstract
노루에 의한 농산물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제주도 내 중산간 지역에서 노루의
보호와 피해 방지를 위한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중
산간 7개 지역에서 농작물 피해 실태와 노루 개체수, 노루의 먹이식물을 조사하
였다. 노루에 의해 피해를 입는 농작물은 전체 35분류군이었다. 2014년도 서귀포
시 지역에서 노루 피해 농작물 중에서 밭작물, 과수작물, 관상수 등이었고, 이 중
밭작물이 92.19%로 가장 넓은 피해면적을 보였다. 농작물 중에서는 콩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고(38.01%), 무(19.51%), 메밀(18.48%), 감자(11.52%), 당근(3.14%) 순이
었다. 감귤과 메실 등 과수작물은 전체 3.43%, 관상수는 4.25%의 피해면적을 보
였다. 노루에 의한 농작물 피해의 주요 유형은 답압과 채식이었고, 작물의 소실
과 상품성 저하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피해 농작물의 종류와 유형은 지역별로
경작하고 있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중산간 일대와
한라산 지역에서 노루의 먹이자원이 될 수 있는 식물은 총 192분류군이 확인되
었으며, 양치식물 2종, 목본류 72종, 초본류는 118종이 확인되었다. 송악과 사철
나무와 같은 상록성 먹이는 사계절 이용하였으나, 먹이원으로 특별히 높은 기호
를 나타내는 식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다양한 노루 먹이식물의 종류는 저지대의
아열대성기후와 중산간의 온대기후, 고지대의 고산기후가 나타나는 제주도의 식
생에 적응한 결과라 하겠다. 중산간 지역 전체에서 관찰된 노루의 개체수는 6,277개체, 평균 조밀도는 6.3개체/㎢, 생태밀도는 10.7개체/㎢였다. 노루의 조밀도
는 애월읍 지역이 가장 높고(9.7개체/㎢), 아라동 지역이 가장 낮았다(3.3개체/㎢).
반면, 생태밀도는 애월읍 지역이 가장 높고(19.8개체/㎢), 표선면 지역이 가장 낮
아(8.3개체/㎢), 조밀도와 생태밀도 사이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
해 확보된 중산간 일대에서 노루에 의한 피해 농작물의 목록과 피해 유형, 노루
의 먹이자원, 노루 개체수와 조밀도, 생태밀도 등의 자료들은 향후 제주도에서
노루의 체계적인 보호와 함께 사회분쟁 조정에 필요한 적절한 지역 환경정책의
마련과 노루의 생태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
로 기대한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c information for management plan against crop damage
and protection of roe deer (Capreolus pygarg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lant damage, the dietary plant resources, and the
population size of roe deer at seven different regions in the middle-mountain areas in
Jeju Island. A total of thirty-five taxa of damaged crops by roe deer was identified
in the Seogwipo-si region in 2014. Those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including field crops, fruit trees, and ornamental trees. Field crops had the
largest damage of 92.19%. Among the filed crops, soybean suffered the most damage
(38.01%). In addition, radish, buckwheat, potatoes, carrots had the damage areas of
19.51%, 18.48%, 11.52%, 3.14%, respectively. Crops such as mandarine and apricots
are showed the damaged areas of 3.43%, and ornamental trees showed the damaged
area of 4.25%. The major types of crop damage were caused to trampling and
browsing/grazing, which made the crop loss and degradation of productivity. The
variety of damaged crops and the type of damage to the crop showed a different
pattern depending on the type of crop that is cultivated by region. A total of 192
taxa were identified as the food resources of roe deer in the middle-mountainous
area and Mt. Halla in Jeju Island; includes 2 ferns, 72 woody forages, and 118
herbaceous forages. Roe deer have perennially used the evergreen-forages such as ivy
and spindle tree during the year. Various types of roe deer food plants including
crops would have concluded the result of adaptation to particular vegetation of the
climate conditions showing the vertical changes of vegetations from subtropical to
alpine climates characteristics in this island. The observed populations of roe deer
was 6,277 individuals in the middle-mountainous regions. Average values of the
crude and ecological densities of roe deer were 6.3 ind./㎢ and 10.7 ind./㎢,
respectively. The crude densities of roe deer were the highest (9.7 ind./㎢) in
Aewol-eup and the lowest (3.3 ind./㎢) in Ara-dong. On the other hand, The ecological densities of roe deer were the highest (19.8 ind./㎢) in Aewol-eup and the
lowest (8.3 ind./㎢) in Pyoseon-myeon. These results showed th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crude densities and ecological densities of roe deer. This study
yielded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list of crops and the type of damage, natural
food resources, and the ecological data from the populations of roe deer found in the
middle-mountainous region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the future
plans of systematic protection and appropriate environmental policies, developing the
solutions for the human conflicts, and studying on the ecology and its related science
fields of roe deer in Jeju Island.
Author(s)
김형철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62
Alternative Author(s)
Kim, Hyung-Chul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생물교육
Advisor
오홍식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목 차 ⅲ
List of Tables ⅳ
List of Figures ⅴ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6
1. 조사기간 및 현장조사 6
2. 조밀도와 생태밀도 산출 6
3. 노루 먹이식물 조사 8
4. 농작물 피해 유형 분석 8
Ⅲ. 결과 및 고찰 9
1. 농작물 피해 현황 9
1) 노루 피해 농작물 9
2) 농작물 피해의 유형 12
3) 제주도 내 농작물 피해 접수지역의 분포 14
4) 서귀포시 지역의 농작물 피해 현황 16
5) 제주시 지역의 농작물 피해 22
2. 노루의 먹이식물 조사 23
1) 노루의 먹이식물 23
2) 노루의 기피식물 31
3) 계절별 노루의 먹이식물 31
3. 제주도 중산간 지역 노루 개체수 현황 34
1) 노루 피해 농작물 34
2) 서귀포시 지역 노루 개체수 현황 36
3) 제주도 전체 농작물 피해 지역 노루 개체수 38
Ⅳ. 참고문헌 43
Abstract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형철. (2015). 제주도산 농작물 피해지역의 노루 개체군 현황과 먹이자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Biolog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