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사회복지업무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in Jeju Region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사회복지직과 타 직렬간의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
하여 향후 사회복지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사회복지 공무원의 사기진작을 위한 정책적 방향 제
시하여 사회복지업무 수행 공무원의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의 내실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사회복지업무 수행하는 5급이하의 공무원 400명을 대상으
로 조사하여 33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분석 방법은 빈도 분석, 기
술통계분석, 신뢰도, 독립표본 T-test,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요인의 직무 자체 만족도에서 성별을 제외한 세 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서는 46~50세, 학력에서는 전문대졸 이하, 결혼 유
무에서는 기혼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 직무관련 요인의 직무자체 만족도에서는 직렬별, 직급별에서만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렬에서는 기타직렬, 직급에서는 9급 이하가
직무 자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9급 이하는 사무기눙직, 공무직을 포함하였
다.
셋째, 개인 특성 요인과 직무특성 하위변수별 직무만족도에서 연령별에서 보수
부분, 성별에서는 감독, 학력별에서는 보수와 동료·상사관계, 결혼유무에서는 보
수, 승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 하위변수에서 대체로 보통이상의 만족
을 보였으나 보수, 승진에서는 보통 이하의 만족도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개인 직무 특성 요인과 직무특성 하위변수 직무만족도에서 직급별에서 보
수, 승진부분, 공무원 재직 기간별에서 보수, 승진, 이직·전직부분에서, 사회복지
재직 기간별에서는 보수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체로 보수 및 승진부
분에서는 개인 특성 요인과 같이 보수, 승진에서 만족도가 낮았으며 근무부서별
에서만 유일하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근무부서간의 만족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사회복지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의 직무 만족도를 위해서는
보수, 승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직·전직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이직을 고려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주체인 사회복지업무 수행 공무원의 원활한 직무수
행을 위해서는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향제시에 도움이 될 수 있
었으면 하는 바램 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an improve social welfare
officials' job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between social welfare position and other series
of class, and also to seek for the stabi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smooth job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by suggesting the
institutional directions to boost their morale.
Targeting 400 public officials(5th-grade and lower) performing social welfare
work in Jeju region, total 33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SPSS WIN 18.0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the
three items excluding s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age group of 46~50 year, graduation of junior college and
lower for the academic background, and married people for the marital status.
Second,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job-related factors, each
series of class and 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other series of class, and the 9th-grade officials and
lower. The 9th-grade officials and lower included the office technical post and
public affairs post.
Third,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each sub-factor of job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wages of each age group, supervision depending on sex, wages and
colleague/boss relations of each academic background, and wages and
promotion for the marital status. The sub-variables of job mostly showed
satisfaction higher than the average while the wages and promotion showed
satisfaction lower than the average.
Fourth,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job characteristic factors
and the sub-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wages and promotion of each position, wages, promotion, and
turnover for each period of service, and the wages for each period of service
in the social welfare position. Just like the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the
wages and promotion mostly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wages and
promotion. Since the working department was the only one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between
working departments.
In order for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performing social welfare work,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wages and
promotion. Such low satisfaction with turnover shows the cases of
considering turnover because of job stress.
For the smooth job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s the main agent
to deliver social welfare service, it is hopefully expected to be helpful to
suggest institutional direction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uthor(s)
김미숙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85
Alternative Author(s)
Kim, Mi Sook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사회복지직 공무원제도의 발전과정 5
1) 사회복지정책의 확대와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도입 5
2)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역할 8
3)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현황 9
2.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 13
1) 직무만족의 의의 및 중요성 13
2)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3. 선행 연구 분석 21
Ⅲ. 연구방법 22
1. 연구가설 23
2. 연구대상 24
3. 측정도구 25
4. 자료분석방법 26
Ⅳ. 연구결과 27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27
2. 측정변수의 신뢰성 분석 30
1) 직무특성 하위변수별의 신뢰도 분석 30
2) 직무 자체 만족도의 신뢰도 분석 32
3. 종속변수의 기술통계분석 32
4. 직무만족도 차이검증 34
1) 개인특성요인별 직무 자체 만족도 34
2) 개인 직무 하위변수별 직무 자체 만족도 36
3) 개인 특성요인과 직무 하위변수별 직무만족도 39
4) 개인 직무 특성요인과 직무 하위변수 직무만족도 42
Ⅴ. 결론 및 제언 47
1. 연구결과의 요약 47
2. 제 언 50
3. 연구의 한계점 52
참고 문헌 53
설 문 지 61
< Abstract >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김미숙. (2015). 제주지역 사회복지업무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