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다문화에 대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Social Distance toward Multi-Culture on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Abstract
우리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와 인구증가에 따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국가로의 변화 현상에 무관심하고 계속적으로 부정적 태도로 사회적 거리감을
이어나간다면 앞으로의 우리 사회에서 큰 사회적 문제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
리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가정 자녀와 함께 나아가며
이들을 포용할 수 있는 변화된 시각과 태도를 기르며, 이들과 함께 나아갈 수 있
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
으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요인과 영향을 미
치는지에 대해 파악하여 다문화의 수용증진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에 사회적 결속과 연대를 강화하는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에서는 먼저,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에 비해 타인의 정서 상태를 파악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
었으며,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6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2학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5학년이 총체적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은 '매우 잘하는 편'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전
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자아존중감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아버지 학력과 어머니 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
정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에서 성별은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사회적 거리감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과 성적, 아
버지 학력과 어머니 학력은 사회적 거리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에서 성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
문화 수용성에 전체의 하위요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다문화 수용성의 공동체 안에 속하는 것을 좋아하
는 성향과 다문화 가족을 동료로 인정하는 부분이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
며, 학년은 다문화적 개방성을 제외한 다문화적 관계형성 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공감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적에서는 다문화적 인식과 다문화적
공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아버지의 학력에서는 다문화적 개방성에서 유
의하게 나타났지만 어머니의 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 수용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는
분석한 결과,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
리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낮게 나타났으
며 또한, 긍정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의 영향을 미쳤으
므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
소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문화 수용성의 증진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사회적 거리감의 완화가 필요하며, 아동·청소년의 시기에 확립되는 자아
존중감은 다문화 수용성의 증진과 사회적 거리감의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수용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 자료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spite of the changes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population growth, we are indifferent to such
changes into a multicultural state. If the social distance is continued
based on the negative attitude, our society will face huge social problems
in the future. Thus, we should seek for measures to coexist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by cultivating the changed
viewpoint and attitude to embrace them, getting out of the existing
viewpoint.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enhance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of
self-esteem, social distance, and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so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distance on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targeting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It also aimed to provide data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unity and solidarity in
Korean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regarding self-estee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sex,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bility to understand/sympathize with others' emotional state compared to
male students while the academic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shown.
Regarding grades, the grade5 showed relatively higher self-esteem than
grade6 of elementary school, and grade1&2 of middle school. In case of
school record, 'very good' was shown high,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sub-factors of self-esteem. It shows that it is an
essential factor for self-esteem. Also, regarding parents' academic
background, 'higher than graduation of university' was shown high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Second, regarding the social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howed
relatively higher social distance, which was significant. Also, grades,
school record, and parents' academic backgrou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Third, regarding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n the whole sub-factors than male student, which was
significant. Compared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had a tendency to
like to belong to a community for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and
also positive attitude to acknowledge multicultural families as peers.
Grades were significantly shown in the ability to form multicultural relation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sympathy except for
the multicultural openness. Also, school recor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sympathy.
Regarding father's academic backgrou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openness while mother's academic
backgroun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self-esteem,
social distance, and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self-esteem and
social distance were the variables having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When social distance was high,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was low. When the positive self-esteem was high, i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t means that
self-esteem and social distance are the essential elements having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self-esteem and also to relieve
social distance for the enhancement of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Since self-esteem establishing during the child & adolescent period is an
important factor having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and relief of social distance,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Author(s)
박신영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86
Alternative Author(s)
Park, Shin-Young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4
1. 자아존중감의 개념과 구성요소 4
2. 사회적 거리감의 개념과 구성요소 6
3. 다문화 수용성의 개념과 구성요소 8
4. 선행연구의 고찰 10
1) 아동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 10
2)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수용성 12
3)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 수용성 14
Ⅲ. 연구방법 및 가설 16
1. 연구모형 및 가설 16
2. 연구대상 17
3. 측정도구 18
4. 자료 분석방법 21
Ⅳ. 연구결과 2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2. 측정 변수들의 기술 통계 및 표준편차 23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 수용성의 차이 24
1)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 수용성 분석 24
2) 학년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 수용성의 차이 27
3) 성적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 수용성의 차이 30
4) 아버지 학력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 수용성의차이 34
5) 어머니 학력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 수용성의차이 38
4.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 수용성의 상관관계 41
5.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3
1) 다문화적 관계형성 능력에 미치는 요인 43
2) 다문화적 인식에 미치는 요인 45
3) 다문화적 개방성에 미치는 요인 47
4) 다문화적 공감에 미치는 요인 49
5) 다문화 수용성 전에 미치는 요인 51
Ⅴ.결론 53
1. 요약 및 논의 53
2.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58
설문지 65
Abstract 7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박신영. (2015). 다문화에 대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