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천주교회 지배구조의 형성과 변형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천주교회의 지배구조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천주교회의
현재를 이해하고, 교회 쇄신을 위한 실천적인 함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프란치스
코 교황은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하려는 모습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안겨
주고 있다. 그러나 한국천주교회는 교황과는 달리 실망스러운 모습을 여러 차례 보
이면서 한국사회로부터 질타를 받고 있다. 왜 이런 모순된 상황이 발생하게 된 것
일까? 결국, 한국천주교회를 움직이는 핵심 요인을 파악해야 이러한 모순을 이해하
고, 교회의 쇄신에 대해서도 논의가 가능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문제제기이다. 이러
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한국천주교회를 움직이는 주요 행위자들 간의
관계(성직자-평신도, 교황청-한국천주교회, 한국천주교회-국가)를 분석하고자 하였
다. 각 관계 속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지배구조(관계)를 도출함
으로써, 한국천주교회를 움직이는 핵심 요인들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각 지
배구조들이 실제로 한국천주교회의 모습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들임을 증명하기 위
해, 한국천주교회가 시차를 두고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 특정 사례를 발굴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자원들을 검토하였다. 한국천주교회는 한국사회에 속한 하위 사
회이기도 하지만, 교회 내적인 자기 이해를 통해 움직이는 또 하나의 온전한 사회
조직이다. 따라서 한국천주교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외적인 접근과 대내적인 접
근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대외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이론적 자원으로 베버식의 권력 이론 특히 부르디외의 권력
이론을 검토하였으며, 대내적인 접근을 위해서는 천주교회라는 종교조직이 가지고
있는 신학적 자기이해(교회론)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3장부터 5장까지는 각 지배구조들의 형성과정을 분석했
다. 이를 위해 한국천주교회사 전반을 검토했다. 3장은 성직자와 평신도의 관계 속
에 형성된 지배구조를 분석했다. 성직자와 평신도는 (성직자가 독단적으로 교회를
운영하는 형태가 고착된)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 지배구조를 형성해 왔다. 그것은
오늘날 '교계적 친교'를 통해 성직자와 평신도 관계의 변화를 강조하는 공의회 정신
과 민주적 가치를 이상향으로 두는 한국사회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다. 게다가 프
란치스코 교황의 등장으로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의 여론이
높아지게 되면서, 교회 쇄신에 대한 대내외적 압력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4장은 교황청과 한국천주교회의 관계 속에 형성된 지배구조를 분석했다. 일제시기
이후, 이 둘 사이의 관계 속에서는 (교황청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강한 로마
중심주의 지배구조가 지속적으로 형성․유지되어 왔다. 따라서 한국천주교회는 교
황(청)의 사목방침에 따라 여러 모습을 보여 왔다. 그것은 한국천주교회의 쇄신을
추동하는 촉매가 되기도 하고, 한국천주교회가 한국사회의 상황과 유리된 모습을
보이게 만들기도 했다. 공의회 정신의 실현을 촉구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등장은
교회 쇄신에 대한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고 있으며, 실제로 사회참여에 호의적인 분
위기가 형성되는 등 한국천주교회의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5장은 한국천주교회와 국가의 관계 속에 형성된 지배구조를 분석했다. 이 관계에
서는 일정한 지배구조가 형성되어오지 않았다. 그것은 한반도를 지배해온 국가권력
이 일정하지 않았으며, 그 국가권력의 성격에 따라 한국천주교회의 대응방식이 달
라졌기 때문이다. 공의회 이전까지, 한국천주교회는 폐쇄적인 세계관 속에서 교회를
보호하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국가와 관계를 맺어왔다. 그러나 세상의 문제가
곧 교회의 문제라는 개방적인 세계관을 도입한 공의회 이후부터 1970-80년대까지,
한국천주교회는 공의회 정신의 수용에 대한 내부적인 갈등 속에서도 부당한 국가권
력과 정면으로 대립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회참여에 나섰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공의회 이전 세계관을 강조하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등장과 여러 사회적
인 요인들이 섞이면서 한국천주교회는 국가와의 대립을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 공의회 교육을 받은 성직자들의 등장과 프란치스코 교
황의 적극적인 사회참여 독려 그리고 교회가 사회참여 나서야만 되는 사회구조적
압력 등으로 인해 한국천주교회는 국가와 대립하면서 사회참여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6장은 앞서 분석한 각 지배구조들이 실제로 한국천주교회의 모습을 결정짓는 주
요 변수라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천주교회의 사회참여
를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1970-80년대에 적극적으로 사회참여에 나섰
던 한국천주교회는 1987년 이후 사회참여에 소극적인 태도로 돌변했다. 그런데 한
국천주교회는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다시 적극적으로 사회참여에 나서고 있다.
이 사례는 한국천주교회가 같은 대상을 가지고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 대표
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이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 지배구조들의 유형과 특징
변화에 따라 한국천주교회의 모습이 정반대로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한국천주교회의 모습이 복합적인 권력관계 속에서 나타나
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한국천주교회에 대한 이해는 복합적인 관
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내재적 분석과 외재적 분석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보
다 정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점에서 프란치스코 교황과 한국천주교회의 모순된
모습은 공의회를 온전히 수용하지 못한 한국천주교회가 공의회를 강조하는 교황의
솔선수범을 따라가지 못한 결과라고 말할 수 있으며, 민주화를 요구하는 사회적인
경향과도 부합되지 못하면서 사회적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
로 본 논문이 종교사회학의 주요 테마인 지배사회학의 연구지평을 확장시키는데 기
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교회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검토"라는 본 논문의 부제는 한신대학교
강인철 교수가 저술한 한국천주교회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성찰(2007a)에서 가져
온 것임을 밝힌다. 이 책의 제목만큼 필자가 논문에서 말하고 싶은 내용을 함축적
으로 담은 제목을 아직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부득이 모방하게 되었음을 양해 부
탁드린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Structure of
Domination in Korean Catholic Church. In other words, it analyzes structures of
domination between the clergy and laity, Papacy and Korean Church, Korean
Church and State. So this paper would understand Korean Church and provide
a implication for the renewal.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ly, a exclusive clerical centralism
have been made between the clergy and laity. This type is a form that the
clergy exclusively manage the church except the laity. Secondly, a strong roman
centralism have been made between Papacy(Vatican) and Korean Church. This
type is a form that Korean Church obey Papacy's orders as it is. Thirdly, there
is no structure of domination. Because states i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changed with frequency.
Korean Church's attitude is made by these structures. For example, Korean
Church's social engagement had decreased since 1987. But it has increased since
the middle of 2000. These phenomena are the result of the structures' change.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and renewing the Korean Church
should not deal with one perspective, but multiple perspectives.
Author(s)
김선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88
Department
대학원 사회학과
Advisor
최현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목적 및 대상 1
1) 연구목적 1
2) 연구대상 7
2. 기존논의 검토 11
1) 교회 쇄신에 대한 교회사적 검토 11
2) 기존연구 검토 16
3. 연구설계 19
1)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19
2) 분석틀 20
3) 논문구성 24
II. 이론적 검토 25
1. 외재적 접근: 권력 이론을 통한 천주교회 이해 26
1) 종교조직의 유지와 변동 26
2) 권력, 지배구조, 종교 29
(1) 권력 이론의 검토 30
① 베버식 권력 이론 30
② 푸코의 권력 이론 34
③ 아렌트하버마스의 권력 이론 36
(2) 부르디외의 권력 이론과 종교 39
3) 분석대상의 유형화 44
(1) 성직자-평신도 지배구조 45
(2) 교황청-지역교회 지배구조 50
(3) 종교-국가 지배구조 54
4) 지배구조의 작동 58
2. 내재적 접근: 천주교회의 자기 이해 62
1) 교회를 바라보는 여러 관점 62
(1) 제도 중심적 교회관 62
(2) 신비체적 교회관 64
(3) 성사적 교회관 65
(4) 복음선포적 교회관 65
(5) 봉사적 교회관 66
2) 천주교회의 교회론 67
(1)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전의 교회론 67
(2)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교회론 69
① 안을 향한 교회(ecclesia ad intra) 70
② 밖을 향한 교회(ecclesia ad extra) 75
III. 지배구조의 형성과정(1): 성직자-평신도 82
1. 일제시기 이전: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 지배관계 형성 82
1) 가성직제도의 금지와 선교사의 입국 82
2) 한국천주교회의 양반문화 수용 86
(1) 선교사들의 선교전략 86
(2) 선교사들의 출신배경과 유교적 신분질서의 친화성 90
3) 양반 신자들의 이탈과 하위신분 중심의 신자 구성비 변화 94
4) 한불조약 이후 달라진 선교사들의 위상 99
2. 일제시기: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의 확립 105
1) 교민주의 선교정책 105
2) 학력격차의 확대와 신분상승의 표지가 된 성직자 111
3) 교도권을 통한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의 확립 119
3. 광복 이후: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의 유지 124
1) 광복 사건과 한국전쟁에 대한 신학적 해석 124
2) 가부장 문화와 군대문화의 반영 127
3) 제2차 바티칸공의회와 한국천주교회 132
(1)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수용: 협력적 성직자중심주의로의 전환 132
(2) 200주년 기념 사목회의: 좌절된 협력적 성직자중심주의 142
4) 현재 상황: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 확장과 교회 쇄신 담론의 등장 148
4. 소결 155
IV. 지배구조의 형성과정(2): 교황청-한국천주교회 159
1. 일제시기 이전: 약한 로마중심주의 159
1) 한국천주교회의 교황청 관할권 편입 159
2) 프랑스 보호권에 포섭된 한국천주교회 166
2. 일제시기: 강한 로마중심주의로의 전환 170
1) 한국천주교회에 대한 교황청의 통제력 강화 170
(1) 교황청의 정교분리 정책 170
(2) 강화되는 교황청의 선교정책 173
(3) 순교자 시복시성사업을 통한 교황청의 영향력 확대 175
2) 주일 교황사절을 통한 교황청의 한국천주교회 통치 177
(1) 주일 교황사절의 방한과 조선지역공의회 개최 177
(2) 한국천주교회의 신사참배 허용 179
3) 일본인 성직자의 한국천주교회 통치 184
3. 광복 이후: 강한 로마중심주의의 지속 189
1) 교황청의 반공주의와 한반도 분단체제의 성립 189
2) 계속되는 교황청의 정교분리 정책 196
3) 제2차 바티칸공의회 수용 202
4)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프란치스코 209
4. 소결 215
V. 지배구조의 형성과정(3): 한국천주교회-국가 218
1. 일제시기 이전: 국가종속주의적 권력관계에서 경쟁관계로 전환 218
1) 조선정부의 박해와 한국천주교회의 초토화: 국가종속주의적 권력관계 218
2) 프랑스를 통한 한국천주교회의 영향력 확대: 경쟁관계 224
2. 일제시기: 국가종속주의 229
1) 정교분리를 통한 일제 식민지배의 수용 229
2) 일제의 종교정책에 포섭된 한국천주교회 236
3) 한국천주교회의 신사참배 허용 240
4) 일제에 대한 한국천주교회의 종속화 245
3. 광복 이후: 다양한 정교관계의 형성과 전환 254
1) 새로운 정치권력과의 협력 254
(1) 미군정과의 친밀한 교류 254
(2) 친일 우익 세력과의 연대 258
2) 반공주의의 강화와 북한천주교회의 상실 260
3) 장면과의 동일시를 통한 정교관계의 형성 267
(1) 이승만 정권 초기: 협력관계 267
(2) 이승만 정권 후기: 경쟁관계 272
4) 1960년대 국가와의 협력관계 280
(1) 516쿠데타의 승인과 지지 280
(2) 박정희 정권과의 협력관계 283
5) 1970년대 이후 국가와의 정교관계 288
(1) 경쟁관계 전환 촉발사건: 심도직물사건과 지학순 주교 구속사건 288
(2) 사회참여를 둘러싼 한국천주교회의 내적 분열 292
① 구성원들의 사회참여와 주교단의 모호한 태도 292
② 주교단의 전략 300
(3) 198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협력관계에서 경쟁관계로 전환 303
4. 소결 307
VI. 지배구조의 작동: 한국천주교회의 모순된 사회참여 현상을 중심으로 311
1. 1987년 이후 나타난 한국천주교회의 사회참여 감소 현상 312
1) 1987년 이후 한국천주교회의 변화 312
2) 사회참여 감소 현상 속에 작동하는 지배구조들 319
(1)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 공의회 이전 세대의 부상 319
(2) 강한 로마중심주의: 공의회 이전 교회로의 회귀 327
(3) 한국천주교회와 국가의 협력관계 334
① 정권과의 이해관계 강화: 80년대를 관통하는 초대형 행사들 334
② 관심의 내부화 341
2. 2000년대 중반 이후 나타난 한국천주교회의 사회참여 증가 현상 345
1)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천주교회의 변화 345
2) 사회참여 증가 현상 속에 작동하는 지배구조들 348
(1) 배타적 성직자중심주의: 공의회 이후 세대의 등장 348
(2) 강한 로마중심주의: 공의회 이후 교회로의 전환 356
① 사회교리에 대한 주목 356
② 프란치스코 교황의 등장 360
(3) 한국천주교회와 국가의 경쟁관계 363
① 정권과의 이해관계 약화: 상대적 자율성의 확보 363
② 관심의 외부화 366
3. 소결 370
VII. 결론 374
1. 연구의 결과 374
2. 함의와 과제 378
참고문헌 385
1. 1차 자료 385
1) 교황문헌 385
2) 교황청 문헌 386
3) 한국천주교회 387
4) 정부문헌 393
5) 기타 393
2. 2차 자료 394
1) 국내논문단행본 394
2) 외국논문단행본 407
3) 신문잡지인터넷 기사 409
ABSTRACT 41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선필. (2015). 한국천주교회 지배구조의 형성과 변형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Soc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