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박완서 소설의 여성상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Woman's Image in Park Wanseo's Novels
Abstract
이 연구는 문학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작중 인물을 통해 간접 체험 및 자
아 형성을 하는 모습을 보며 착안하였다. 그리고 작중 인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여성 인물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느
끼게 되었다. 이에 필자는 교과서에 수록된 여성 작품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박완서 소설의 여성상을 분석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박완서 소설의 여성들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각기 방식은 다르지만 끊임없는
자아 성찰을 통해 주체적 실존의식을 확보하고 진정한 삶에 대한 추구를 보여주
고 있다. 즉 박완서는 성별화된 주체로서의 여성 자아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가
지고 그 누구보다 여성을 자주적으로 생각할 힘을 가진 존재로 형상화하였다.
연구에서는 작가가 표현한 여성을 다시 전쟁 체험 세대와 산업화 사회를 살아
가는 어머니와 딸, 중년여성으로 나누어 그들이 겪은 갈등과 모순, 바람직한 삶
의 모색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작품 분석의 틀을 인식, 조응, 초월적 상
상력으로 삼아 분석의 폭을 넓히고 바람직한 삶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문학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기회를 마련하였다.
또한 박완서 소설을 여성문학으로서의 의미, 자전소설로서의 가치로 나누어 그
문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개인 체험을 바탕으로 한 전쟁에 대한 기술은 남겨진
여성들의 비극과 전쟁이 가져온 삶의 황폐화를 담담히 그려냄으로써 전쟁의 실
상을 더욱 실감나고 현실적으로 그려냈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
다 여성의 삶에 주목하여 각 시대를 살아가는 어머니와 딸, 중년 여성의 모습을 현실감 있게 그려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박완서 소설의 여성상 분석은 청소년 학습자들에게 여성상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게 한다는 데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시적 관점의 여성상 변
모 과정 고찰은 오늘날 여성상에 대한 인식의 확대를 가져온다는 긍정적 효과도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이 여성상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인
물과의 동일시를 경험함으로써 문학적 소통과정의 교육적 기능을 실현할 수 있
다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tudy originates from the observation of the vicarious
experiences and formation of personal values that can occur through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Also the importance of these characters within
literary works and the need to analyze female characters, which are relatively
less prominent in the textbooks of high school curriculums, were realized.
Therefore the researcher focused on analyzing the image of women manifested
in the female literature works of Park Wanseo, which take up a large part of
the education curriculum.
Women in the novels of Park Wanseo endlessly reflect upon themselves,
albeit using different methods depending on time period and situation, and
these women secure an independent consciousness of existence while showing
a genuine desire for their livelihood. Therefore Park Wanseo materialized the
will of women to think and act independently more than any other author
with a firm perception on the consciousness of women as a gender conscious
existence.
In this research, the image of the women expressed by the author was
again divided into the image of mothers and daughters and middle age women, to examine the tension and paradoxes and ideal life etc. these women
experienced in an age of war and in an age of industrialization. And by
regard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the words as perception, agreement
and transcendental imagination to expand the scope of analysis and by
presented an ideal life, this research presents a significant opportunity to
scholars from a literary educational point of view.
Also the literary meaning of the novels of Park Wanseo were examined by
categorizing them into their meanings as female literature and their value a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description of war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calmly expresses the desolateness of the life of women that is
brought on by tragedy and war, and these work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vividly and realistically portray the reality of war. Above all it is also notable
that by focusing on the lives of women, the lives of mothers and daughters
and the lives of middle age women living in each time period were
realistically described.
From these perspectives, the image of women in the novels of Park
Wanseo have meaning and value in that they teach a proper perception of the
image of women to adolescent readers. Also the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image of wome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can have the
positive effect of expanding the perspective on women. Also based on
establishing positive understanding and agreement on the image of women,
by vicariously experiencing the situations of the times with the characters,
this research is valuable in that it can make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function of the literary communication process possible.
Author(s)
구어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598
Alternative Author(s)
Ku, Eo-jin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안성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5
Ⅱ. 여성의 정체성과 진정성 찾기 8
1. 전쟁 체험기의 모녀상 8
1) 실존의식의 상실과 탐색 10
(1) 가부장적 가치관과 실존의식 상실 11
(2) 자기부정과 실존적 삶의 욕망 14
2) 정체성 탐색과 세계 인식 26
(1) 부성과 모성 공존의 정체성 27
(2) 성장기 정체성 형성과 세계인식 34
3) 모성애의 집착과 한의 극복 43
(1) 모성애의 집착과 한의 생성 44
(2) 한의 인식과 극복 의지 50
2. 산업화 시대의 중년 여성상 53
1) 삶의 진정성 회복에 대한 소망 55
(1) 물질주의와 인간성 상실 55
(2) 진정한 삶의 의미 자각 59
2) 생명에 대한 외경심과 정체성 찾기 60
(1) 남아선호사상과 정체성 혼란 62
(2) 생명주의적 인식과 정체성 찾기 66
Ⅲ. 자전적 여성문학으로서의 의의 71
1. 여성문학으로서의 의미 71
2. 자전소설로서의 가치 74
Ⅳ. 결론 77
81
8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구어진. (2015). 박완서 소설의 여성상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