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남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대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s on Male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ity in Middle School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서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구성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남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남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남자 중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자는 남자 중학교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명을 표집한 후 무선할당 방법에 의해 10명을 실험 집단으로 정하고 나머지 10명을 통제 집단으로 정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에는 10회기에 걸쳐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 전과 후에 두 집단의 참가자에게 자아존중감검사와 사회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검사는 Coopersmith(1981)가 개발한 것을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이고, 사회성검사는 정범모(1971)가 개발한 것을 이효정(2007)이 중학교 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이다.
연구자는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아존중감검사와 사회성검사에 대해 두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 평균 차이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투입 과정에서 실험집단 참가자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관련된 행동 관찰일지를 작성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학생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된 자아존중감검사와 사회성검사에서 각각의 총점과 하위요인 점수 모두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둘째,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적용 후 실시된 자아존중감검사에서 실험 집단의 총점(X=100.1)은 통제 집단의 총점(X=91.3)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18)=2.575, p<.05]. 또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실험 집단(X=18.5)이 통제 집단(X=12.6)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8)=2.575, p<.05]. 그러나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s>.05). 이러한 결과는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서 자아존중감이 부분적으로 향사되었으며 그 효과는 특히,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적용 후 실시된 사회성검사 결과에서 실험 집단의 총점(X=107.7)은 통제 집단의 총점(X=94.9)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8)=2.037, p<.05]. 또한 사회성의 요인인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 등 모든 사회성 요인에서 통제 집단의 평균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8)=1.919, 1.877, 1.763, 1.759, ps<.05].
끝으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행동관찰 결과를 보면 그들은 부정적인 정서 및 문제 행동 감소, 사회적인 활동과 자기계발 및 관리에 자발적 참여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이 확인되었고, 또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중학교 남학생들에게 적용하면 그들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뒷받침하고 있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대상이 남자 중학생 1학년으로 제한되었기 때문에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는 주의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발달수준과 성별 등을 골하여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의 대상이 제주도내 도심의 특정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농촌지역이나 기타 생태학적 배경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유능성 향상이 학생들의 학교 생활 및 사회적 적응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에 대한 부가적인 탐색이 요구된다.
넷째,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가정 및 사회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하지 못한 것에 대해 타당한 이유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This article was aimed to demonstrate whether the Social and Emotinal Learning(SEL) programs have effects on improving male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ity in middle school. The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ave the SEL programs effects on improving male students' Self-esteem in middle school? Second, have the SEL programs effects on improving male students' Sociality in middle school?
I have selected twenty 1st-grade males in a middle school at Jeju city, and arranged randomly ten male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ten males into the controlled group. The males of experimental group have participated in the SEL programs two sessions per week for seven weeks, while there wasn't any treatment to controlled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participants of both groups have taken the Self-esteem and the Sociality scales. The Self-esteem scale was developed by Coopersmith(1981) and translated to fit the korean situation by Boga Choe and Gwiyeon Jeon(1993). Also the Sociality scale was developed by Beommo Jeong(1971) and modified to fit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Hyojeong Lee(2007).
The researcher calcul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group in the terms of participants' Self-esteem and Sociality scores, and conducted the t-test to testify whether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ould be significant statistically. Also, the researcher wrote the behavioral observation journal aout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Self-esteem and Sociality, and at the end of the programs, took a survey on their satisfaction of SEL programs, and then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 programs had effects on improving males' Self-esteem, including the total score of Self-esteem and the academic Self-esteem, with participants taking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participants.
Second, the SEL programs had effects on improving males' Sociality, including the total scores of Sociality and all sub scores such as compliance, cooperation, sociality, and independence, with participants taking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participants.
Third, the males who participated in the SEL programs perceived that their own negative emotions and problematic behaviors were decreased, as a results of the programs, and their satisfactions of the programs were increased.
Taken together, the males participated in SEL programs perceived the positive change of their own behaviors as well as Self-esteem and Sociality, and proved the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Therefore, if males participate SEL programs, they could improve their own Self-esteem and Sociality.
Author(s)
송화연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09
Alternative Author(s)
Song, Hwa Yeon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송재홍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2
3. 용어 정의 2
Ⅱ. 이론적 배경 4
1. 사회정서학습 4
가. 사회정서학습의 개념 4
나. 사회정서학습의 접근방법 6
2. 사회정서학습과 자아존중감 17
가. 자아존중감 17
나. 자아존중감의 발달 18
다. 사회정서학습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20
3. 사회정서학습과 사회성 21
가. 사회성 21
나. 사회성의 발달 22
다. 사회정서학습과 사회성의 관계 23
Ⅲ. 연구방법 25
1. 연구설계 및 절차 25
2. 연구대상 25
3. 도구 26
가. 자아존중감검사 26
나. 사회성검사 27
다. 행동관찰 및 설문지 27
4.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28
5. 자료처리 및 분석 29
Ⅳ. 연구결과 30
1. 양적 분석 결과 30
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동질성 검증 30
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친 효과 31
다.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사회성에 미친 효과 31
2. 질적 분석 결과 32
가. 실험 집단 참가자들의 회기별 관찰일지 분석 32
나. 학생 만족도 설문지 결과 분석 47
Ⅴ. 논의 및 제언 49
1. 논의 49
2. 제언 52
참고문헌 53
ABSTRACT 59
부록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송화연. (2015). 남자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대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