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화 학습을 위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Field Learning Program for Localized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With Jeju Folk Village Museum
Abstract
지역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축적되어 있다. 또한 현재 우리
가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는 인간 생활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역사적,
지리적 측면들이 통합적으로 표출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은 사회과 교육 내용의
통합적 접근을 할 수 있는 주요한 소재와 장면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역의 학습 자료를 접목한 지역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학생들은 지역
화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현장학습을 통해 지역의 내용을 보다 흥미 있고 애정을 갖고
학습할 수 있다.
제주도에서도 지역 현장학습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제주
인들의 옛 생활모습을 알 수 있는 민속자료가 전시되어 있는 곳에서 할 수 있
는 현장학습을 연구한 것으로 교육박물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다. 제주도
민속자료를 전시한 대표적인 박물관인 제주교육박물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성읍민속마을, 제주민속촌박물관 중에서 제주교육박물관에 관한 현장학습 프로
그램 연구가 사회과에서는 유일했다.
이에 연구자는 제주민속촌박물관을 장소로 선정하여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개
발하였다. 제주민속촌박물관은 제주도의 어촌, 중산간촌, 산촌 마을을 반영한 민
속자료를 전시하고 있어 제주의 독특한 문화를 관람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민
속촌박물관에서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우리
나라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의 내용과 지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지역의 소재를 비교하여 학생들이 지역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장학습 프로그램은 산촌코스, 중산간촌코스, 어촌코스, 어구전시관 및 농기
구전시관 코스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 코스에서 제주인들
의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과 관련된 활동과 발문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지역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특히, 학생들로 하여금 제주에서 살았던 조
상들의 의식주의 모습을 제주민속촌박물관을 현장학습하고 우리나라의 일반적
인 문화를 담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 차이가
나타난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모습과 지역
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보다 지역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발된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의의와 학습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예상
되는 문제를 제시하여 후속 연구자들이 연구를 할 때나 교사들이 본 연구를 참
고로 하여 수업설계를 할 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Many different cultures have been developed in communities over time.
The community where we live now also integrates and represents political,
economic, sociocultural, historical and geographical aspects of human lives.
Therefore communities provide main materials and scenes that are integrated
access to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is is why many localization studies that combined learning materials of communities have been
conducted. Students could learn about communities with a fascination and
interest through field trips, one of those ways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about communities along with a lot of emphasis on community study today.
There have also been a number of studies regarding local field trips in
Jeju. A study was conducted with an educational museum as field trip
research of social studies where you can see what the life of people in Jeju
was like in the past with lots of exhibitions of folk materials and experience
many different activities. Only the study about field trip programs regarding
Jeju Museum of Education was available in social studies among the
museums that exhibit Jeju folk materials such as Jeju Museum of Education,
Jeju Folklore and National History Museum, Seongeup Folk Village and Jeju
Folk Village Museum.
I selected Jeju Folk Village Museum and developed field trip programs.
Because folk materials about the mountain village, Jungsangan village, and
the fishing village were displayed in the Jeju Folk Village Museum, people
could see Jeju's unique culture. So I developed a program which could be
experienced in the Jeju Folk Village Museum. During my research, I found
that by including textbook contents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local contents for understanding local culture, the program would help
students understand local communities better.
Field trip programs included the mountain village course, Jungsangan
village course, the fishing village course and courses of galleries of fishing
gears and farming tools. Using activities and questions regarding clothing,
eating and living habits of people in Jeju from each course, they als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mmunity. Especially, they had students learn
about the necessities of life of their ancestors who lived in Jeju through Jeju
Folk Village Museum and find out what differences they had from what it
says in the text book that includes general Korean culture and why there exist those differences. This allowed them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regional particularity and understand the
community more effectively.
Also, it will help following researchers conduct their study or teachers
design their class with this study as a guide by providing the meaning of
developed field trip programs and questions expected to come up during
learning.
Author(s)
문은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12
Alternative Author(s)
Moon, Eun Ah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사회교육
Advisor
정광중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과 방법 3
3. 선행연구 4
4.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의미 7
2. 사회과에서 현장학습 8
3. 문화 비교의 개념 12
Ⅲ. 사회교과서와 지역화교재 내용 비교 분석 14
1. 의생활 관련 내용 분석 14
2. 식생활 관련 내용 분석 17
3. 주생활 관련 내용 분석 20
Ⅳ. 제주민속촌박물관의 특성과 교육자원 23
1. 제주민속촌박물관의 일반현황 23
2. 제주민속촌박물관의 교육자원 24
Ⅴ.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65
1. 현장학습 프로그램 순서 65
2. 산촌 코스 활동 프로그램 71
3. 중산간촌 코스 활동 프로그램 80
4. 어촌 코스 활동 프로그램 88
5. 어구전시관, 농기구전시관 활동 프로그램 97
Ⅵ. 결론 105
1. 요약 및 결론 105
2. 제언 107
참고 문헌 109
ABSTRACT 11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문은아. (2015).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화 학습을 위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