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교 환경수업 실행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flection on Teach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Abstract
본 연구는 환경수업에 대한 실행연구로서 초등학교 환경수업을 실행하여 성
찰하고, 성찰을 통해 필요성을 깨달은 환경감수성 이론을 토대로 2차 환경수업
을 실행하여 성찰한 연구이다.
교사인 연구자가 초등학교 환경수업의 난점으로 판단한 점은 환경교육을 통
해 배운 내용이 학생들의 실제 생활에서 실천으로 잘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다. 따라서 학생들의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수업 계획하고자 했고, 학생
들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가져오지 못했던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한 1차 환경수
업을 실시했다. 1차 환경수업은 주변 환경 문제에 대해 실태를 조사하고 해결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는 것이 주제인 프로젝트학습이었다. 프로
젝트학습 방법을 적용한 1차 환경수업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주변 환경의 문제
를 찾아내고 소집단(모둠)별 주제에 따라 자료 조사 및 수집 방법을 결정하여
프로젝트학습 활동을 진행했다. 모둠별로 학교 및 생활 주변의 문제를 찾아 홀로 운전 차량 문제, 자원 낭비 및 쓰레기 문제, 지구온난화 문제, 음식물 쓰레기
문제, 대체 에너지 문제에 대해 자료 수집 및 조사가 이루어졌고, 조사한 결과
를 바탕으로 해결 방안 및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발표도 했다. 연구자는
실천한 수업을 성찰하며 학생들의 수업 중에는 생각의 표현이나 발표에서 감정
과 기분에 대한 답이 많이 나온 것에 집중하였고, 감정이 학생들의 자발적인 환
경수업에의 참여와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행동을 위한 실천 의지를 갖는데 긍정
적인 역할을 했다는 생각으로 관련 이론을 찾아보았다.
환경감수성이란 환경에 대해 느끼는 감정적・ 정서적 감정과 주변 환경에 적
극적으로 반응하여 환경에 대해 인식하고, 인식한 것을 내면화하여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능동적인 태도이다. 환경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은 자연환경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기 보다는 학생들 스스로 자연환경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도
록 도와주는 것이며 자연환경 속에서 다양한 감정을 갖도록 하는 수업이다.
연구자는 1차 수업을 성찰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걱정, 안타까움, 놀
람 등의 환경감수성이 주로 언어로 표현되어 2차 수업에서는 학생의 표정, 행동
반응, 그림 복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환경 문제가 주된
내용이었으므로 부정적인 감정 표현이 많았는데 다양한 감정 표현의 상황을 제
시할 필요가 있었고, 환경감수성 측정 및 해석 또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었
다.
2차 환경수업은 환경감수성을 키우기 위한 수업 구성 영역으로 자연에 대한
관심, 심미적 체험, 정서적 안정, 자연에 대한 동정과 연민, 오염된 환경의 노출
의 5가지 영역을 선정했다.
총 3차시로 구성된 수업 중 1차시 수업은 야외수업으로 실시하여 학교를 둘
러보며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해보도록 했다. 학생들은 다양한 장소에서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나타냈고, 학생들의 감정 표현을 통해 환경에 대해 집중해서
체험할 수 있는 경험만으로도 환경감수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차
환경수업에서 얻은 성찰의 내용으로 감정을 언어 기술의 방법으로만 표현했던
한계를 개선해 2차시 수업에서는 감정을 구체물(클레이)로 만들어 나타내보도록
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감정의 다양한 표현 방법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지만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다시 자신의 감정 표현 구체물을 언어로 설명해야 했으므로 언어적 표현이 감정을 가장 섬세하게 개인의 내적 감정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것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어진 3차시 수업에서는 다양한 환경 상황에서 갖게 되는 자신의 여러 감정
을 크기에 따라 나누고 그 감정에 예상되는 행동을 적어보는 감정피자 활동을
실천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10가지 환경 상황에서 나타나는 자신의 감
정을 표현했고 그에 따른 행동을 떠올려보며 올바른 행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행동에 대한 실천 방법을 생각해보도록 했다. 또한 이 활동에
서 학생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난 점이 환경 상황에의 감정이입이었다. 이를 통
해 환경감수성을 키우기 위한 환경수업 구성 5가지 영역의 내용에서 나아가 감
정이입 또한 매우 중요한 환경감수성 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1차와 2차에 걸쳐 실천하고 성찰한 환경수업 실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환경수업은 학생들에게 환경에 대한 민감한 인
식 능력을 길러줄 수 있었다. 평소에 무심코 지나쳤던 주변 환경이 수업을 통해
집중하여 관찰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자연환경에 대한 지식뿐만 아
니라 자연환경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다양한 감정을 파악하게 되었다.
둘째, 환경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감정 표현이 고루 이루어져 환경 보존을
위해 다양한 시각을 키울 수 있었다. 다양한 환경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그 상황에 대한 감정을 생각하여 실현될 행동을 예상해보는 수업은 학생들에게
앞으로 직면하게 될 환경 상황에 대한 간접 경험이 되고 친환경적인 행동을 선
택할 수 있는 연습이 되었다.
셋째, 환경수업의 새로운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다. 기존의 환경수업은 학생들
에게 환경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사실을 제시하고 새롭게 알게 된 내용에 따라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알아보는 수업이 많았다. 그러나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환경수업은 다양한 환경 상황에 대한 개개인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환경을 위해
바람직한 행동을 알아보는 수업이다. 따라서 환경수업의 새로운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다.
In this study, an environment class in elementary schools was conducted
and examined as a practice study on environment classes and the second
environment clas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ory, which was considered to be needed during the
examination.
What the researcher found difficult about environmen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s a teacher was that what students had learned throug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nded to be hard to be put into practice in
reality. Therefore the first environment class was conducted with contents in the textbook, which failed to motivate and interest students, to plan an
environment class that they can put into practice. The first environment
class was a project with the goal of investigating problem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ooking for what we could do about them. In
the first environment class with the project-based learning, students found
out surrounding environment problems on their own, decided methods of
researching and collecting data according to goals of each small-group and
conducted the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y. Each small-group found
problems around schools and in daily lives, collected and investigated data
on problems regarding self-driving cars, resource waste and garbage, global
warming, food waste and alternative energy, and gave a presentation on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what we could do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lass and focused on the majority of answers
regarding their feelings and moods as the expression of their responses and
thoughts in class and found relevant theories with the thought that feelings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environment
class and their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Environmental sensitivity is a positive attitude of responding actively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emotional feelings toward the
environment in its affective domain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and
internalizing what they have understood and putting it into practice in life.
The class designed to develop environmental sensitivity helps students have
an interest in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many different emotional
feeling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ress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concern, regret and surprise toward the
environment through examination in the first class and understand their
looks on their faces and behavior reaction through pictures in the second
class. There were also many negative feeling expressions since the
environmental issue was the main topic, which required presentation of a
variety of feelings and needed to examine the way environmental sensitivity
was measured and interpreted carefully.
In the second environment class, 5 areas, which included an interest in nature, esthetic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sympathy on nature and
exposure to the polluted environment, were selected as class components to
develop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first class among total three classes was an outdoor class where
students could walk around the school and express their feelings freely.
Students expressed their feelings in various places freely, which means
environmental sensitivity could be revealed just by focusing on the
environment by expressing their feelings. To improve the limit of expressing
what have been examined in the first class only with linguistic techniques,
the feelings were expressed with materials(clay) in the second class.
Although this method allowed many different ways of expressing feelings, it
showed that linguistic expressions represented individual's internal feeling
states best since they had to explain about their materials again for better
understanding.
In the following third class, different feelings that they had in many
different situations were classified by their size and they wrote down what
behavior they expected from the feelings. Students expressed their feelings
that they got in 10 environmental situations, thought about how they should
act based on the feelings and tried to come up with ways of acting on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What was noticeable from students in this
activity was empathy with environmental situations. This indicated that
empathy was also an important elemen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long
with the 5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 class to develop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meanings of practicing the environment class that was examined
across the first and second classe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environment clas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could help students hav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They could focu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used
to be neglected, and understand many different feelings with an interest in
the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knowledge about it by observing and
expressing how they felt in class.
Second, you could express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bout the environment and have various views about it. The class, in which they
indirectly experienced different environmental situations and predicted
behavior by thinking about how they felt about the situations, was good to
have an indirect experience and choose environment-friendly behavior
regarding environmental situations that they could face in the future.
Third, this could be a new approach to an environment class. Most of the
existing environment classes present students with new information and
facts about the environment and have them find out what they could do
about it. However, the environment clas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s a class where you find out individual feelings
about different environmental situations and determine desirable behavior for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could be a new approach for environment
classes.
Author(s)
김은영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14
Alternative Author(s)
Kim, Eunyou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사회교육
Advisor
정광중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동기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6
1. 환경감수성 6
2. 실행연구 13
Ⅲ. 1차 환경수업의 실행과 성찰 16
1. 계획 16
2. 실행 22
3. 성찰 39
Ⅳ. 2차 환경수업의 실행과 성찰 43
1. 계획 43
2. 실행 47
3. 성찰 71
Ⅴ. 결론 및 제언 80
참고 문헌 84
ABSTRACT 8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은영. (2015). 초등학교 환경수업 실행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