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Running and Rope-skipping Exercise on Physical Self-efficacy, Happiness in Schools and Physical Fit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이 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에 위치한 J시 I 초등학교 6학년 5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29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일상적인 학교생활을 하도록 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처리 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12주이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력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50m 달리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악력, 1000m 오래달리기-걷기, BMI 영역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미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행복감에서는 친구관계에 대한 긍정적 지각, 교사관계에 대한 긍정적 지각, 배려심 요인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은 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행복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효과적인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이 실시된다면, 학생들의 체력,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행복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running and rope-skipping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happiness in schools and physical fit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The subjects were 58 sixth grade students from a Jeju special self-governing elementary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29 students with 29 in the control group. Running and rope-skipping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tinued their routine school life. All subjects responded on scales to measure physical self-efficacy and happiness in schools.
Data management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and frequency analysis and two-way ANOVA were us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and my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data is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physical fitness,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ment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s in a 50m-sprint race(power), trunk flexion forward(flexibility), grip strength(muscular strength·muscular endurance), 1000m long-distance running(cardiopulmonary stamina), and BMI(body-mass index).
Secondly, in terms of perceived physical ability, which is a sub-factor of physical self-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which is a sub-factor physical of self-efficacy; statistically,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icacy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irdly,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case of happiness in schoo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appiness in schools can be found in factors such as in positive perceptions in friend relationships,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the level of caring for one another.
As shown above, running and rope-skipping exercise pro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fitness, physical self-efficacy and happiness in schools. Therefore, if effective program for running and rope-skipping are to be implemented in schools, it should be employed to help the students enhance their physical strength, physical self-efficacy and happiness in school from an elementary school level.
Author(s)
권승용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15
Alternative Author(s)
Kwon, Seung Yo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체육교육
Advisor
한남익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 문제 4
4. 연구 가설 5
5.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1. 달리기 운동 6
2. 줄넘기 운동 8
3. 체력 11
4. 신체적 자기효능감 13
5. 학교행복감 16
6. 선행연구고찰 18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연구절차 23
3. 실험방법 및 연구도구 23
4. 자료분석 및 처리방법 31
Ⅳ. 연구결과 32
1. 체력 32
2. 신체적 자기효능감 37
3. 학교행복감 41
Ⅴ. 논의 46
1.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46
2.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49
3.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50
Ⅵ. 결론 및 제언 52
1. 결론 52
2. 제언 53
참고문헌 54
ABSTRACT 59
부록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권승용. (2015). 달리기 운동과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