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점토를 활용한 초등 미술 수업 지도방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Art class using clay at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he 3rd and 4th graders
Abstract
많은 사람들에게 '미술'은 '그리기'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유치원에서부터 초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미술수업 활동의 대부분이 그리기에 치중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국립국어원의 정의에 따르면, 미술이란 공간 및 시각의 미를 표현하는 인간 활동을 뜻하며 그림 외에 조각, 건축, 공예 등 만들기 부분도 미술활동에 포함된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한국교육 미술수업의 70%가 그림 그리기에 취중 되어 있어 학생들의 상상력과 생각을 표현하기에 매우 제한적이다.
그리기가 주가 되는 수업에서는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는 학생은 스스로를 미술에 소질이 없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자신감의 상실은 미술교과를 멀리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기가 주가 되는 미술수업에서 잃었던 학생들의 자신감을 되찾아 주기 위해서 점토가 지닌 성질을 이용할 필요가 있겠다. 점토를 만지고 주무르며 자신이 원하는 작품을 만들어 가는 활동들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회복해 가게 된다.
그리기가 2차원적인 미술활동에 그쳤다면, 만들기는 3차원적인 표현을 할 수 있어 학생들의 상상력에 도움을 준다. 또한 점토라는 재료는 다른 재료와 달리 자연적인 재료로 촉감이 좋아 만드는 과정 중 정서적 안정과 기쁨을 느끼게 해 주기에 본 연구는 점토의 장점을 인식하고 점성을 알고 다룰 수 있는 3-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Ⅱ장에서는 미술교육에서 점토가 지닌 유용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점토가 지닌 특성과 여러 가지 종류의 점토들의 특징 및 학교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점토들을 알아보았고, 점토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유용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5개 교과서들 속에 나온 점토 관련 수업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출판사별 점토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점토 수업이 만들기, 환경꾸미기, 장식하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점토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모습들을 실었다. 점토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지도 방안을 고찰하고 교과서에 실린 작품을 보고 따라 만드는 활동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분들을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점토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주는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 작품 만드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활동에 자신감을 갖게 해 준다. 둘째, 점토를 통한 만들기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셋째, 점토를 이용한 작품 활동은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을 증대시켜 학생의 사회성을 신장시킨다.
점토를 활용한 미술수업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육적 효과가 크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미술 수업은 물론 다른 교과와 연계하여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In general, the meaning of 'Art' is reckoned to be 'draw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mostly art-class from nursery school in Korea mainly focuses on drawing activities.

According t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 meaning of art is to express spatial and visual images and the range of Art includes not just drawing but also sculpture, architect, craft etc. However, 70% of art-class in Korea education focuses on drawing and this is a very limited way to express students' imagination and thoughts.
This type of art-class makes students to feel a lack of confidence about art if they are not good at drawing and they have tendency to avoid the art-class.

In order to restore their confidence, I suggest clay as a main material to use in the art class. Through the activities of touching clay and making process, I expect students to have more confidence about art.

Therefore, this research is about how craft-class exerts an influence on students and clay was chosen as a material for the craft-class.

Where as drawing is two-dimensional art activity, craft is three-dimensional work and this helps students to be more creative thinking about space. In addition, clay is a very natural material and it has good feeling to touch. It helps emotional stability of students. Especially, I created a program which is able to apply for primary school students between year three and four because they should understand and manage viscosity.

In Chapter Ⅱ, I reviewed the positive points of clay material and its character. I researched different type of clays and what clays are suitable for art-class and how clay can be used in different ways.

In Chapter Ⅲ, I reviewed the clay-work classes of five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2009. I found the differences of clay-classes among publishers and it could be applied in many different ways such as craft and environment decoration etc.

In Chapter Ⅳ, I added the practically developed clay-work programs. I critically reviewed the program guideline and found the difficult points of the clay activities, which should simply follow and copy the making process of the textbooks. After reviewing the programs, I restructured and created new clay-work program.

From this research, these are the educational values of art-class using clay. First of all, the making process gives students more confidence about art-activities. Secondly, it improves students' creativity. Lastly, it improves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ity among students.

As it has been reviewed, clay-work art class has a variety of educational effects and I emphasize the necessity of research for clay-class. Furthermore, it needs to be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and applied in many different ways.
Author(s)
김효준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18
Alternative Author(s)
Kim, Hyo June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
Advisor
임춘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미술교육에서의 점토의 유용성 4
1. 점토의 특성 및 종류 4
2. 점토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유용성 7
Ⅲ. 초등미술 교육의 점토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11
1. 초등학교 3∼4학년 점토 관련 교과서 분석 11
2. 교과서의 점토활동 내용 분석 결과 21
Ⅳ. 점토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23
1. 점토를 활용한 프로그램 실제 지도 방안 23
2. 점토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24
3. 점토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효과 54
Ⅴ. 결론 57
참고 문헌 61

ABSTRACT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효준. (2015). 점토를 활용한 초등 미술 수업 지도방법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Art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