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국어과 자기성찰학습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Self-Reflective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Motivation: Focused on the Language Subject Matter
Abstract
이 연구는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업동기에 미치
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자
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증진될 것이다.
가설 2.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학업동기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2-1.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2-2.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이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자기조절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2-3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이 실시된 실험집단 학생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과
제수준선호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 농어촌 지역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
년 16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자가 재직 중인 1개교 4학년 8명은 실험집단
으로 다른 1개교는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
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의 참여자에게는 국어과 자
기성찰 학습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동일한 차시에 전통적인 교과학습이 적용
되었다.
연구자는 4학년 1학기 국어 교과의 학습 단원 중 송재홍(2005)이 제시한 상담활
동의 유용성 평가 준거에 의하여 3개 단원을 선정하고, 송재홍(2006)이 제시한 자
기성찰 학습 수업 전개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하였다.
가설 1과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3.0에 의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
여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질적 분석은 수업 적용 중 학습지, 관찰, 면담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자아존중감에서 유의
미하게 증진되었다[t(14)=2.42, p<.05]. 따라서 실험집단에 적용한 자기성찰 학습은
초등학생 자아존중감 증진에 기여한다는 것을 지지하였다(가설 1).
둘째, 자기성찰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자신감[t(14)=2.17,
p<.05], 과제수준선호[t(14)=1.82, p<.05]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지만 자기조절효
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실험집단에 적용한 자기성찰 학습
은 학업동기 향상에 부분적으로 기여하였다(가설 2).
이상 종합해 볼 때, 이 연구는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이 자아존중감과 학업동
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밝히는 데 부분적으로나마 긍정적으로 기여하
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교사가 다양한 교과목에서 자기성찰 목표를
찾고 수업을 전개한다면 학생들이 학습을 자기의 삶과 연결시킬 수 있고 능동
적으로 배움을 실천하여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높은 학업동기를 형성하는 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reflective learning,
focused on the subject of language, on the self-esteem and mo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self-esteem of students who practice self-reflective
learning, in particular while studying language, would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Hypothesis 2. The motivation of students who practice self-reflective
learning in studying language would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 comparative group.
2-1. Self-confidence in students who practice self-reflective learning,
again, focused on language, would be significantly higher.
2-2.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tudents who practice self-reflective
learning focused on language as subject matter would als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o not.
2-3. Task difficulty preferences in students who practice self-reflective
learning focused on language as subject matter would be
significantly hig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ixteen 4th grade stud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at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Jeju-do.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of eight 4th grade
students from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works and eight from
another school as a comparative group. All students self-reported on a
scale of self-esteem and motivation in preliminary survey to set baselines
for self esteem and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ying language, participated in activities self-reflective learning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relying on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The researcher adopted as an instrument three units in accordance with
criteria for usability of subject matter as counseling means suggested by
Song Jae-Hong (2005), and applied self-reflective class development
theory suggested by Song Jae-Hong (2006).
The researcher paralleled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to examine 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Statistical analysis was
verified through total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significance
level from independence specimen by the SPSS Statistics 23. Qualitative
analysis was verified by programmed instruc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lf-esteem than ones in the comparative group [t(14)=2.42,p<.05]. This finding suggested that providi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learn self-reflectively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self-esteem (hypothesis 1)
Secon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lf-confidence [t (14) =2.17, p<.05]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 (14) =1.82, p<.05], but self-regulatory efficacy was not at
higher level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5). This suggested that
providi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in self-reflective learning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motivation (hypothesis 2).
When the study was combined,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study
positively contributed to figuring out the effects of self-reflective
learning focused on the language subject matter on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motivation. Therefore, if the lesson providi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find self-reflective learning would be conducted,
this could help students build positive self-esteem and high learning
motivation by making this lesson connected with their lives and students
fulfill their learning actively.
Author(s)
김은자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19
Alternative Author(s)
Kim, Eun Ja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
Advisor
송재홍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5
1. 자기성찰 학습 5
2. 자기성찰 학습과 자아존중감 8
3. 자기성찰 학습과 학업동기 12
Ⅲ. 연구 가설 18
Ⅳ. 연구 방법 19
1. 연구 설계 19
2. 연구 대상 19
3. 평가 도구 21
4. 국어과 자기성찰 학습의 구성 23
5. 자료 분석 36
Ⅴ. 연구 결과 38
1. 양적 결과 38
2. 질적 결과 39
Ⅵ. 논의 및 결론 45
참고 문헌 49
ABSTRACT 53
부 록 5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은자. (2015). 국어과 자기성찰학습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