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정보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초등교사의 초등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목적, 내용, 방법, 영향요인, 문제점 및 향후방향 등을 조
사하여 현행 정보교육을 진단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현직 초
등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으로 파악하기 힘든 심층내
용은 5명의 심층면담집단을 구성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는 연구방법을 사용하였
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의 초등교사들은 전체적으로 초등정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
다는 관점을 보였으며 최종학력, 심화전공, 연수이수, 연구회 경험, 수업경험과
초등정보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육목적 및 내용과 최종학력 및 심화전공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외 변인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초등정보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교사 내적 요인으로
교사의 관심을 꼽았고, 교사 외적요인으로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선택했다.
내적, 외적 영향요인과 교사의 여러 배경요인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초등교사들은 초등정보교육의 가장 큰 문제로 교사 내적 측면은 교사의
관심 부족과 교수 역량의 부족을, 교사 외적 요인은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꼽았
다.
다섯째, 초등교사들은 초등정보교육의 향후방향으로 정규교과 내 단원 또는 창
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정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와 같은 결론에 따라 정보교육에 대한 접근을 하향적 방식이 아니라 현장과
함께하는 정보교육을 제언한다. 정보교육을 실제 실시할 현장과 함께하는 정보교
육을 만들어 나간다면 미래 정보인재 육성에 큰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know for general awareness, purpose, contents,
method, influence factor, defect, and henceforward direction of Computer
Education through elementary school teacher group.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It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94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n
interviewed with 5 members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conclusio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teachers can cognize necessity of Compu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nd interests of Computer Education among teacher background
variables-highest level of schooling, major courses in university of education,
completing teacher training, experiencing study group, teaching experiences.
Next, In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and
major courses in university of educ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pose and contents of Computer Education. But in the rests of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rd, teachers point out that the biggest internal condition for Computer
Education is interests of teachers and the biggest external condition for it is
administrative support and financial assist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influence conditions of Computer Education among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The fourth, teachers point out that the biggest internal problem in Compu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the lack of interests and capability
of teachers and the biggest external problem in it is administrative support and
financial assists.
Finally, teachers think that Compu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to do by the unit in regular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us, this study suggest Computer Education have to progress with
education field not top-down approach. If we make Computer Education with
education field, we can pave the way for the great talents.
Author(s)
고영해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24
Alternative Author(s)
Ko, Yeonghae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컴퓨터교육
Advisor
박남제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2
3. 용어의 정의 2
4.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5
1. 정보과학적 사고 5
2. 정보교육 8
Ⅲ. 연구 방법 16
1. 연구 대상 16
2. 연구 절차 17
3. 측정 도구 19
4. 분석 방법 23
Ⅳ. 연구 결과 24
1. 초등교사의 초등정보교육 인식 24
2. 정보교육의 교육목적 및 내용, 교육방법, 영향요인 인식 31
3. 정보교육의 문제점 및 향후방향 인식 46
Ⅴ. 결론 및 제언 5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영해. (2015). 초등정보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