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부지화' 감귤에서 열매가지와 어미열매가지의 잎이 유엽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the Leaves of Bearing and Bearing Mother Shoots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eafy Fruit in 'Shiranuhi' Citrus
Abstract
본 연구는 '부지화('不知火', 'Shranuhi')'[(C. unshiu Marc. × C. sinensis
Osbeck) × C. reticulate Blanco]에서 열매가지의 신엽과 어미열매가지의 구엽
이 과실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품질 과실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농가 포장에 재식된 15년생 '부지화'를 이용하여 2014년 12
월 20일부터 2016년 5월 11일까지 17개월에 걸쳐 열매가지 또는 어미열매가지
의 잎을 적엽처리하였다. 구엽의 적엽처리인 경우 신엽 8엽을 제외 또는 신엽 4
엽을 포함한 모든 구엽을 제거하였으며, 신엽의 적엽처리는 2차 생리낙과 이후
7월, 10월, 12월에 각각 구엽을 남기고 모든 신엽을 제거하였다. 구엽의 적엽에
따른 과실 무게, 종경, 횡경, 과형지수 및 과피두께에 있어서 신엽 8엽 남김 처
리와 대조구와는 차이가 없었으나, 신엽 4엽 남김 처리에서는 유의하게 낮게 나
타났다. 과실의 당도는 대조구에 비해 4엽 남김 처리에서 낮았으나 산함량은 대
조구에 비해 4엽 남김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당산비가 신엽 4엽 남김,
8엽 남김 및 대조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과피의 착색도 Hunter a 값은 차이
가 없었다. 구엽의 적엽에 따른 이듬해 신초발아는 구엽을 적엽하지 않은 대조구
에서 가장 빨리 진행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신엽 8엽 남김 및 4엽 남김 구엽 적
엽처리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듬해 봄순의 발아 및 개화에 있어서는 구엽 적엽처
리에서 대조구보다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신엽 8엽 남김과 신엽 4엽 남김 순으로
나타났다. 신엽의 적엽여부와 시기에 관계없이 수확기 과실의 횡경, 종경, 무게,
과형지수 및 과피 착색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실의 당도, 산함량
과 당산비에 있어서는 7월 신엽의 적엽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월 적
엽, 12월 적엽 및 무처리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열매가지 두께와 전분 함량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어미열매가지 구엽의 엽록소 지수와 광합성능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었다. 본 연
구는 '부지화'감귤에서 과실품질에는 어미열매의 구엽이 열매가지의 신엽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함을 보여주었으며 고품질 과실 생산을 위해서도 구엽의 유지 관
리가 핵심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primary data for high quality
production by evaluating the effect of old leaves from fruit bearing mother
shoot and new leaves from fruit bearing shoo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hiranuhi' [(C. unshiu Marc.× C. sinensis Osbeck) × C.
reticulate Blanco] fruit. The experiment had been performed for seventeen
months from 20th of December, 2014 to 11th of May, 2016 using fifteen
years old 'Shiranuhi' trees. Leaves of fruit bearing shoot and fruit bearing
mother shoot were defoliated. Two different defoliation methods for old
leaves defoliation were applied, the one defoliates all leaves except 4 new
leaves and the other left 8 new leaves. For new leaves defoliation, all new
leaves were defoliated leaving old leaves in July, October, and December
respectively after the secondary physiological fruit drop. Defoliation of old
leaves and the consequential changes on fruit weight, fruit length, fruit
diameter, fruit shape index, and fruit peel thick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4 new leaves left than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8 new leaves left. Total soluble solids was lower and
acidity was higher in 4 new leaves left than the control. Therefore the ratio
of total soluble solids to acidity was highest in the control followed by 8
new leaves left and 4 new leaves left,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ue of Hunter a for peel chromaticity. Axillary
bud sprouting was observed foremost in the control followed by 8 new
leaves left and 4 new leaves, successively. Number of return spring flush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8 new leaves left and 4 new leaves left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As the result of defoliation of new
leav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uit diameter and length,
weight, fruit shape, and peel chromaticity. Total soluble solids, acidity, and
ratio of total soluble solids to acidity were highest in July defoliation
followed by October, December defoliation, and the control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no tendency and no difference in
thickness and starch content of fruit bearing shoot between treatments.
Photosynthesis rate and chlorophyll index of old leaves left in fruit bearing
mother shoots were not affected by the defoliation of new leaves in the
bearing shoot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indicated that old leaves from fruit bearing mother shoot affect the fruit
quality of 'Shiranuhi' more than new leaves from fruit bearing shoot, and
the maintenance control of old leaves could be a critical factor for high
quality fruit production.
Author(s)
좌태산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40
Alternative Author(s)
Joa, Tai-San
Department
산업대학원 원예학과
Advisor
송관정
Table Of Contents
Abstract . V
List of Tables VI
List of Figures VIII
Ⅰ. 서언 . 1
Ⅱ. 재료 및 방법 3
1. 식물재료 . 3
2. 열매가지와 어미열매가지의 적엽처리 . 3
3. 과실 및 수체 생육조사 . 6
4. 통계 검정 . 7
Ⅲ. 결과 및 고찰 8
1. 어미열매가지 구엽의 적엽 처리가 과실 생육에 미치는 영향 8
2. 열매가지 신엽의 적엽 처리가 과실 생육에 미치는 영향 17
Ⅳ. 적요 25
Ⅴ. 참고문헌 . 27
Ⅵ. 감사의 글 2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Citation
좌태산. (2016). '부지화' 감귤에서 열매가지와 어미열매가지의 잎이 유엽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Horticul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