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roject Approach-appli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Focused on Jeju Gotjawal
Abstract
미술교육은 현재 우리의 삶과 분리된 학문이 아니라 인간의 삶 속에서 역동적
으로 살아 숨 쉬며 균형 잡힌 전인적 인격형성에 영향을 주는 통합적 생명활동
의 하나로써 의미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
하는 미술교육방법의 하나로써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연계하여 제주 곶자왈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미술교육 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제주 곶자왈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유아 미술 교육의 효
율적인 지도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미술수업에 효율적으로 다가가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과정으로 먼저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
법의 개념과 특성, 교수 방법, 교육적 의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유아의 발달
단계, 미술표현의 특징에 따라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
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주의 자연환경에 대해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접근법을 누리과정에 지역화 내용으로 재구성하고 이에 따
라 지도함으로써 유아 자신이 사는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아름답게 볼 수 있는
감수성과 그에 대한 주체적인 표현능력을 키울 수 있는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
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하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서로의 작품에 주목하여 개별성과 차이를 인정
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유아들이 자신이 사는 지역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끌게 되고 더 나아가
자신의 고장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
셋째,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일회성 교육이 아닌 다양하고 깊이 있는 미술 활
동을 통해 미술의 모든 영역에 대한 유아의 표현 능력을 이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주제 중심, 교사중심의
수업이 아닌 학생과 교사가 함께 수업을 진행하고, 한 가지 주제를 깊이 있고 다
양하게 접근해보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유아들이 창의적 표
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미술교육방법과의 비교 연구가 아니라 다양한 미술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중 유아들이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느끼고 주체적으로
미술수업에 참여하면서 프로젝트 접근법이 적합하며, 흥미롭고 의미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에 긍정적인 의의를 두었다.
Not as learning separated from out life, art education is currently expanding its
meaning as one of integrated activities of live affecting formation of balanced holistic
personality drawing breath in human life. As one of art education methods coping
actively with such changes and flow, this study looked for project approach-appli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Jeju Gotjawal by
connecting with Nuri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prepare grounds for the necessity of teaching of project
approach-applied art education at kindergartens, and access art class effectively by
concretely suggest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Jeju Gotjawal.
As research processe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first examined focusing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roject
approach for understanding project approach,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project
approach-appli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young children and characteristics of art expression.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research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enabling young children to develop sensitivity and independent expressivity
capable of looking at the nature and culture of the region they live by reconstituting
project approach suited to localized contents of Nuri curriculum and teaching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aforementioned to enable young children to learn
natural environment of Jeju in a natural way.
Educational effects expect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interactions may occur in the course of accepting and sharing
individuality and difference by paying attention to each other's work while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Second, young children become to have interest and concern for the region they
live,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have pride and self-esteem about one's
region.
Third, project approach-applied art education can lead young children's expressivity
for all areas of art through various and in-depth art activities, not as one-time
education for a single subject.
In conclusion, study results show that project approach-applied art class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 proceed with class together and access a single subject in a
more in-depth and various way, not subject or teacher-centered classes that are
commonly conducted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has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This study is not a comparative study with existing methods of art education and
gives a positive signification to the fact that project approach is one of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rt education which is suitable and can become an
interesting and meaningful teaching·learn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to participate
in art class initiatively with interest and confidence in art.
Author(s)
허여진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47
Alternative Author(s)
Heo, Yeo-Jin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박성진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1. 유아 미술교육 3
2. 유아의 미술표현 6
3. 프로젝트 접근법 10
Ⅲ.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의 실제 14
1. 곶자왈 프로젝트 준비단계 14
2. 곶자왈 프로젝트 시작단계 25
3. 곶자왈 프로젝트 전개단계 27
4. 곶자왈 프로젝트 마무리단계 47
5. 곶자왈 프로젝트 평가단계 51
6. 곶자왈 프로젝트 평가 결과 및 분석 54
Ⅳ.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58
ABSTRACT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허여진. (2016).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