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he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Focusing on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직무 의욕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며, 이는 공교육의 음악 교육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목적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내 중등학교 음악교사 69명 중 42명(60.86%)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연구를 하였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과 음악교사로서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은 연구대상의 배경과 직무실태로 구성하였고, 직무만족도에 대한 내용은 네 가지 측면(개인적 측면, 사회관계적 측면, 환경적 측면, 전문성 신장 측면)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제주특별자치도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배경을 조사한 결과, 성별은 남성이 38.1%(16명), 여성이 61.9%(26명)로 응답하였고, 연령별로는 52세 이상이 28.6%(12명)로 가장 많았다. 교직경력으로는 38.1%(16명)의 비율인 17년 이상과 31.0%(13명)의 비율인 4년 이하가 대부분이었다. 재직유형으로는 중학교가 59.5%(25명), 고등학교가 40.5%(17명)으로 중학교에 근무하는 음악교사가 더 많았다. 해당직위는 평교사가 71.4%(30명)으로 과반수를 넘었다.
음악교사의 직무실태 분석결과, 먼저 직업선택 동기에 대한 결과는 대부분의 음악교사들은 음악을 지속적으로 접하기 위해 전공을 살리면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 자체를 선호하기 때문에 음악교사를 선택하였고, 이러한 직업선택 동기는 음악교사의 개인적 측면에 대한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보여 음악 관련 동기로 직업을 선택했을 때 비관련 동기에 비해 직무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의 직무만족도 분석결과, 만족도는 5점 만점에 전체 평균 3.52로 보통 기준(3.0)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체로 직무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직무만족도를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개인적 측면에서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96으로 네 가지 측면 중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환경적 측면에서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09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이를 위해 교육행정 기관은 음악교사의 행정적 업무를 경감시키고 교사 1인당 학생 수와 주당 수업 시수를 낮춰 정하여 학생들의 교육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또한 음악교사가 다양하고 활발한 교육활동을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도 요구된다. 한편 음악교사 역시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교사의 자질 향상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boost work motivation of music teachers working in middle schools arou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by carrying out a survey on their job satisfaction; moreover, it is aimed to seek for direc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wer of public music educa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2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which is 60.86% of all the music teachers aroun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survey consists of the contents about general information of the subjects and job satisfaction as music teachers. The general information section includes actual working conditions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the subjects while the job satisfaction section contains four aspects (the personal aspect, the social relation aspect,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spect).
The results obtained after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subjects, who ar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working arou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how that among all the respondents, 38.1% are men (16 men) while 61.9% (26 women) of respondents are women. Also By age, the percentage of those over 52 years old is the highest, being 28.6% (12 people). For the period of their teaching career,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have worked either for more than 17 years or less than 4 years, accounting for 38.1% (16 teachers) and 31.0% (13 teachers) respectively. For the places they work, 59.5% (25) work at middle schools, 40.5% (17) at high schools, indicating that more music teachers work at middle schools. For the position, 71.4% (30) of the respondents are regular teachers, exceeding well over the major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working conditions of music teachers, most of them chose to be music teachers because they prefer to teach students while making good use of their major and still be involved in the area of music. Such motivation for their career choice shows a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the personal perspective as a music teacher, indicating that teachers feel more satisfied when choosing jobs out of motivation related to music than with a motivation having nothing to do with music.
The analyzation results for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music teachers, show that the overall average level is 3.52, which is higher than the normal average of 3.0. This shows that most of them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The job satisfaction factor was analyzed in four different areas. The personal job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with 3.96 on average while the job satisfaction level for the environmental aspect was 3.09 on average, the lowest of the four.
In order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music teachers,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gency should relieve music teachers of their administrative workload and lower both the number of students assigned to one teacher and the hours of class he or she has to teach in a week, so that teachers can educate their students in a more systematic fashion. Additionally, for more diverse and brisk educationa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music teachers wi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music teachers should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through constant self-development.
Author(s)
이지연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63
Alternative Author(s)
Lee, Ji-yeo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박순방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연구방법 및 내용 3
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1. 직무만족도 5
가. 직무만족의 개념 5
나. 직무만족의 중요성 7
다. 교사의 직무만족도 8
2. 음악교사의 직무 11
가. 음악교사의 역할 11
나. 음악교사의 자질 1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5
1. 연구대상 15
가. 제주특별자치도 음악교사 현황 15
나. 조사대상 16
2. 분석도구 및 내용 16
3. 분석방법 18
Ⅳ. 결과 및 해석 19
1.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 19
가. 연구대상의 배경 19
나. 연구대상의 직무실태 21
2. 직무만족도 분석 30
가. 개인적 측면 30
나. 사회관계적 측면 32
다. 환경적 측면 34
라. 전문성 신장 측면 36
Ⅴ. 결론 및 제언 38
1. 결론 38
2. 제언 41
참고문헌 42
부록 44
ABSTRACT 5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지연. (2016).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