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서·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군집 특성 및 서식지 이용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haracteristics of Waterbird Community and Habitat Use at Coastal Wetlands in the South and West Coasts of Korea
Abstract
서․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장봉도, 무의도, 대천천하구, 서천갯벌, 유부
도, 곰소만, 하의도, 증도, 도암만, 강진만)에서 서식하는 수조류의 도래현황에
대한 조사는 2008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수조류의 서식지 이
용현황은 2015년 10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3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를 부착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서․남해안 연안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는 96종 282,844개체(최대개체수 합계)
이었다. 최고 우점 분류군은 도요․물떼새류가 종수에서 37.5%, 개체수에서
67.1%를 차지하였으며, 수면성 오리류, 백로류, 갈매기류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
다. 우점종은 민물도요(Calidris alpina),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큰뒷부
리도요(Limosa lapponica),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 붉은어깨도요
(Calidris tenuirostris)이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도요․물떼새류가 서천갯벌과
유부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수면성 오리류는 도암만에서 가장 많이 관
찰되었다. 잠수성 오리류는 강진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갈매기류는 서
천갯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서․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은 수조류의
유사도지수(Ro)에 의해 3개 Group으로 나뉘었다. 1 Group은 수면성 오리류와
잠수성 오리류가 우점한 지역이었으며, 2 Group은 도요․물떼새류가 우점한 지
역이었다. 3 Group은 갈매기류가 우점한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역간 환경에
따른 종구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남해안 연안습지 9개 지역(서천갯벌에 유부도 포함)에서 출현한 대형저서
동물은 468종이 출현하였다. 그 중 다모류는 183종(39.1%)이 출현하여 최고 우점
한 분류군이었으며, 연체동물은 119종(25.4%)이 출현하여 차우점 분류군이었다.
밀도는 연체동물이 47.9%의 비중으로 최우점 분류군이었으며, 다모류가 30.4%를
차지하여 차우점 분류군이었다. 전체 밀도 중 1%이상 우점한 종은 연체동물이 5
종, 다모류가 4종, 갑각류가 5종으로 구성되었다. 지역별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을
보면 도암만에서 171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가 확인되었으며, 개체수는 무
의도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종다양도는 대천천 하구에서 가장 높았
다. 다모류는 도요․물떼새류의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종균등도, 종풍부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체동물은 도요․물떼새류의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도요․물떼새류와 퇴적환경과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퇴적환경 중 펄의 함량은
도요․물떼새류의 종수와 종다양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모래는
도요․물떼새류의 개체수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점토는 도요․물떼새
류의 종수와 개체수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흰뺨검둥오리의 MCP에 의한 행동권은 99.48㎢이었으며, KDE 90%는 61.15㎢,
KDE 70%는 27.02㎢, 핵심서식지인 KDE 50%는 13.82㎢로 확인되었다. 서천의
핵심서식지가 가장 넓었으며, 동진강, 안성천, 해남, 만경강의 순이었다.
흰뺨검둥오리는 내륙수에서 47.3%로 가장 이용률이 높았고, 다음으로 논 28.9%,
내륙습지 6.5%, 해양 5.6%의 순이었다. 하루 중 오전 6시와 8시 사이, 오후 4시에
서 6시 사이에 서식지 이용의 변화율이 가장 높았고, 오전 7시에 논에서 수계, 내륙
습지 등으로 이동하였으며, 오후 5시 경에 내륙수, 내륙습지, 연안습지, 등에서 논으
로 이동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만경강과 동진강의 경우 주․야간에서의 이용률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천에서는 주간에 연안습지 이용률이 가장 높았고, 야
간에는 논의 이용률이 높았다. 반면에 해남에서는 주간에 논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
으며, 야간에는 내륙수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흰뺨검둥오리의 하루동안 0.77㎞를
이동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서천의 흰뺨검둥오리가 1.25㎞로 가장 길었고, 동진강에
서 0.80㎞, 해남에서 0.71㎞, 안성에서 0.73㎞, 만경강에서 0.55㎞의 순이었다. 하루
중 오전 6시와 8시 사이 그리고 오후 4시와 6시 사이에 2㎞이상 이동하였으며, 나
머지 시간대에서는 1㎞ 미만의 이동거리를 보였다.
수조류에 의한 연안습지 등급을 평가한 결과, 점수에 의한 등급화는 유부도와
서천갯벌에서 Ⅰ등급, 곰소만, 도암만, 강진만이 Ⅱ등급으로 가치가 높았다. 또한
순위에 의한 등급화는 도암만이 1위, 서천갯벌이 2위, 곰소만이 3위, 유부도가 4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봉도의 경우 10위로 가치가 가장 낮았으나, 노랑부
리백로 등 멸종위기종의 번식지로 보호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었다.
The migration status of waterbirds inhabiting the 10 coastal wetlands in
the south and west coasts (Jangbongdo Island, Muuido Island, Daecheoncheon
Estuary, Seocheon Tidal Flat, Yubudo Island, Gomso Bay, Hauido Island,
Jeungdo Island, Doam Bay, Gangjin Bay) was examined from May 2008 to
March 2013, and the habitat use of waterbirds was investigated using Wild
Tracker(WT-3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from October 2015 to
February 2016. There were 282,844 waterbirds (sum of max number) from 96
species that migrated at the coastal wetlands in the south and west coasts of
Korea. For the most dominant taxonomical group, shorebirds accounted for
37.5%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67.1% of the total population, followed in
the order of dabbling ducks, herons, and seagulls. The dominate species were
Calidris alpina, Larus crassirostris, Limosa lapponica, Charadrius
alexandrinus, and Calidris tenuirostris. Shorebirds were observed most at
Seocheon Tidal Flats and Yubudo Island, and dabbling ducks were found
most in Doam Bay. Diving ducks were observed most at Gangjin Bay and
seagulls were seen most frequently at Seocheon Tidal Flats. The ten coastal
wetlands o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of waterbirds (Ro). Group 1 was the area
where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were dominant, group 2 was the area
where shorebirds were dominant, and group 3 was the area where seagulls
were dominant. It was eviden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cies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regional environments.
A total of 468 macrobenthic species appeared in nine coastal wetlands of
the west and south (Yubudo Island included in Seocheon Tidal Flats). Among
them, 183 species (39.1%) of Polychaeta appeared, thus being the most
dominant taxonomical group, and 119 species (25.4%) of Mollusca appeared,
making it the sub-dominant taxonomical group. For concentration, Mollusca
was the most dominant taxonomical group with 47.9%, followed by
Polychaeta at 30.4%. Species that accounted for more than 1% of the total
concentration were five species for Mollusca, four species for Polychaeta, and
five species for Crustacea. When examining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by
region, 171 species appeared in Doam Bay for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and the highest population was found at Muuido Island. Species diversity was
highest at Daecheoncheon Estuary. Polychaeta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of shorebirds, species diversity, species
evenness, and species abundance, and Mollusc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of shorebirds, and species diversity.
Upon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shorebirds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ud content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number of shorebird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while san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pulation of shorebirds. Lastly, cla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of shorebirds.
For Anas poecilorhyncha, area was 99.48㎢, KDE 90% was 61.15㎢, KDE
70% was 27.02㎢, and KDE 50%, which is the core habitat, was found to be
13.82㎢. By region, Anas poecilorhyncha of Seocheon was found to be the
biggest core habitat, followed in the order of Dongjin River, Anseong River,
Haenam, and Mangyung River.
Anas poecilorhyncha showed highest use in inland water at 47.3%,
followed by use of 28.9% in paddy fields, 6.5% in inland wetlands, and 5.6%
in ocean areas. The rate of change of habitat use was highest between 6
a.m. and 8 a.m. and between 4 p.m. and 6 p.m. They moved from paddy
fields to river systems and inland wetlands at around 7 a.m., and moved
from inland waters, inland wetlands, coastal wetlands, and oceans to paddy
fields at around 5 p.m. When examining by reg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use rates of habitats. In the case of Mangyung River and Dongjin River,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between day and night, but the fluctuation was
small. However, in Seocheon, the use rate of coastal wetlands in the daytime
was highest, while use of paddy fields was highest at nighttime. Meanwhile
at Haenam, use rate of paddy fields was highest in the daytime, and use rate
of inland waters was highest at nighttime. Anas poecilorhyncha moved 0.77㎞
in a day. By region, Anas poecilorhyncha moved the most in Seocheon at
1.25㎞, and was followed by Dongjin River at 0.80㎞, 0.71㎞ at Haenam, 0.73
㎞ at Anseong, and 0.55㎞ at Mangyung River. From 6 a.m. to 8 a.m. and
from 4 p.m. to 6 p.m., they migrated over 2㎞, and in the remaining time
ranges, they moved less than 1㎞.
Upon evaluating the coastal wetland grade by waterbirds, when grading
by score, Yubudo Island and Seocheon Tidal Flats had the highest values at
Grade I, followed by Gomso Bay, Doam Bay and Gangjin Bay at Grade II.
When grading by ranking, Doam Bay was first, Seocheon Tidal Flats second,
Gomso Bay third, and Yubudo Island was fourth. On the other hand,
Jangbongdo Island appeared to have the lowest value ranking tenth, but it
still has high value for preservation as it is a breeding ground for
endangered species such as the Egretta europhotes.
Author(s)
신용운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05
Alternative Author(s)
Shin, Yong un
Department
대학원 과학교육학부생물교육전공
Advisor
오홍식
Table Of Contents
Contents ⅰ
List of Tables ⅳ
List of Figures ⅷ
ABSTRACT 1
I. 연구의 배경 4
1. 서남해안의 자연환경 특성 4
2. 연구사 7
1) 서남해안 수조류 군집 7
2) 서식환경과 수조류 7
3) 수조류의 분포요인 8
4)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 9
3. 연구의 목적 10
II. 서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분포 및 특성 11
1. 서론 11
2. 연구방법 12
1) 조사지역 및 시기 12
2) 연구 방법 24
3. 연구 결과 27
1) 서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분포 및 특성 27
2) 지역별 유사도 비교와 군집분석 41
4. 고찰 46
III. 도요물떼새류의 서식지 이용 특성 49
1. 서론 49
2. 연구 방법 51
1) 대형저서동물 채집 51
2) 도요물떼새류 조사 방법 52
3) 통계 분석 52
3. 연구 결과 53
1) 퇴적물과의 관계 53
2) 잠재적 식이물의 군집 현황 55
3) 잠재적 식이물과의 관계 58
4. 고찰 63
IV. 오리류의 서식지 이용 특성 66
1. 서론 66
2. 연구 방법 68
1) 오리류 포획 및 위치추적기 부착 68
2) 통계 분석 69
3. 연구 결과 70
1) 행동권분석 70
2) 서식지 이용 분석 85
3) 흰뺨검둥오리의 일일 이동 95
4. 고찰 99
V. 연안습지 등급 평가 102
1. 서론 102
2. 연구 방법 103
1) 등급 평가 방법 103
3. 연구 결과 106
1) 점수 등급화 106
2) 순위 등급화 108
4. 고찰 111
VI. 종합 고찰 112
VII. 결론 및 제언 116
VIII. 적 요 120
IX. 참고문헌 122
APPENDIX 134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신용운. (2016). 서·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군집 특성 및 서식지 이용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Science Education > Biolog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