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수학과 수준별 이동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eacher's Perception on Level-Differentiated Math Classes
Abstract
제7차 개정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반을 달리 편성하여
수업을 하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시작되었다. 이후, 다양한 연구와 교사들의 노력
들로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중학교
에서는 점차 수준별 이동수업을 지양하고 있다. 이에 현재 재직 중인 수학 교사
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는지 인식
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아래와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도내 수학교사들은 수준별 이동수업을 찬성하는가? 혹은 반대하는가?
둘째, 수학교사가 생각하는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무
엇이 있을까?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수준별 이동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수준에 맞
는 수업을 가능케 하고, 이를 통해 수업의 효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또한, 수준별 반 인원을 적절하게 배정하고 수준에 맞는 교재를 연
구하는 등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자가 살고 있는 제주도내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
였다. 표본의 수가 전체 수학 교사에 비해 작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분석을 위
해 인터넷을 활용한 설문조사 및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수준별 이동수업의 운영에 대한 찬성과 반대 여부를 학교급으로 나누어 볼
때, 중학교에서는 미세한 차이지만 반대의 의견이 많았고,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찬성의 의견이 더 많았다. 이러한 의견이 반영된 듯 현재 대부분의 중학교에서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운영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의견이 반영되어 운영되고 있지
않은지 혹은 교사들의 찬성 혹은 반대 의견에 영향을 주었는지도 좀더 세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셋째, 오랜 기간 동안 수준별 수업이 운영되면서 많은 개선해야 할 점이 제기되
었고, 이러한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노력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지원과 통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re started by organizing students with their levels. After that, efficiency of
these classes are increasing with various studies and teachers' efforts.
However, middle schools are reluctant to have these classes despite all the
eff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 on
level-differentiated classes through a surve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do teachers in the province agree or disagree with level-differentiated
classes?
Second,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efficiency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eachers think level-differentiated
classes can make students have the classes with their own levels and i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lessons. Also,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should be assigned properly and teachers' efforts to research textbooks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aimed at teachers working in Jeju. Because the number of
samples is less than the total of Math teachers in the country, conducting a
further survey on the Internet is recommended to have a more exact analysis.
Second, a majority of middle schools do not conduct level-differentiated
classes. But, most teachers acknowledge its effectiveness and they are willing
to do it. These opinions should be accepted by the government.
Third, many improvements are raised about level-differentiated classes.
Teachers's endeavors are essential to reform the classes. Also, supports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provided to schools.
Author(s)
홍채훈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18
Alternative Author(s)
Hong, Chae-Hoo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학교육
Advisor
양성호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ⅳ
국문 초록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2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수준별 수업의 개념 4
2.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 4
3. 수준별 수업의 기본방향 5
4. 수준별 수업의 기대효과 5
5. 수준별 수업의 성격과 유형 6
6. 수준별 수업의 심리학 배경 8
7.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수준별 수업 01
8. 선행연구의 고찰 1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7
1. 연구 대상 17
2. 연구 조사 도구 17
3. 자료 분석 18
Ⅳ. 결과 분석 19
1. 교사의 인식 분석 19
Ⅴ. 결론 및 제언 26
1. 결론 26
2. 제언 27
참고 문헌 29
Abstract 30
수학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설문지 3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홍채훈. (2016). 수학과 수준별 이동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